청산하지 못한 역사의 역습
▲ 倭(왜나라) 여자가 입는 기모노는 허리(人)에 볏단(委위)을 두른 것 같다. /그림=소헌

 

▲ 전성배 한문학자. 민족언어연구원장. <수필처럼 한자> 저자.
▲ 전성배 한문학자. 민족언어연구원장. <수필처럼 한자> 저자.

광복 후 3년 만에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반민특위)가 만들어 졌다. 그럼으로써 35년 동안 억압받았던 민중의 한을 풀고 애국선열의 넋을 위로하며 친일청산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되었다. 하지만 미군정이 발목을 잡았다. 국내 혼란을 원하지 않는다는 구실 아래에 친일부역자들을 다시 끌어다 쓴 것이다. 일제를 위해 일했던 자라면 미제를 위해서도 일해 줄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정권 유지에 혈안이 된 이승만은 오히려 처단 대상이었던 매국노들을 애국자라고 옹호하며, 민족지도자들은 '빨갱이'라는 이데올로기로 덮어씌워 숙청하였다. 결국 단 한 명도 처단하지 못하고 반민특위는 해산되었으며, 그들은 이땅에 토왜土倭(토착왜구)라는 별종을 번식시켰다.

'얼굴은 한국인이나 창자는 왜놈인 도깨비 같은 자로서 나라를 좀먹고 인민을 병들게 하는 인종을 일컫는다.'(대한매일신보 1910)

부왜주옥(附倭駐獄) 왜놈에게 딱 달라붙어 민족을 해치는 무리들을 옥에 가두어 두다. 황군이 되어 독립군을 때려잡았고, 일경日警이라는 일왕의 충실한 개가 되었으며, 역사와 문화를 왜곡歪曲하며 민족의 얼을 말살하였다. "광복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하고 부왜역적질을 하면 3대가 떵떵거리며 산다"며 숭일崇日로 나섰던 것이다. 이러한 자들을 부를 때 쓰는 말이 있다. "예라, 주옥(족) 같은 것들아!"

附 [붙다 / 의탁하다 / 따르다]
①付(줄 부) 마주 선 앞사람(人)에게 손(寸촌)을 뻗어 물건을 건네주는 것이다. ②언덕(阜부) 뒤에서 남의 눈을 피해 뇌물을 주는(付부) 자들은 왜놈에게 딱 달라붙은 '토왜'가 틀림없다.

倭 [왜나라 / 일본]
①委(맡길 위)는 가을걷이를 한 볏단(禾화)을 이거나 등에 짊어지고 가는 여자(女)다. 예로부터 집안 살림은 여자에게 맡겼다. ②오래도록 볏단을 머리에 이고 다닌 여자(委위)의 키는 화살(矢시) 만큼 작아서 난쟁이(矮왜)로 불린다. ③倭(왜나라 왜) 족속(人인) 여자가 입는 '기모노'는 허리춤에 담요를 달아매는데 그 모습이 마치 볏단을 두른(委위) 것과 비슷하다. ④倭國의 성씨는 약 30만 개에 달하는데, 남자(人)를 만나면 논(禾화)이고 밭이고 간에 여자(女)와 관계를 맺고 아이를 갖게 되었기 때문이다. 밭 한가운데서(田中), 대나무밭에서(竹田), 보리밭에서(麥田).

2차 대전 후 독일에 부역附逆한 자들을 철저하게 응징하고 처단했던 프랑스와는 달리 우리는 그러하지 못했다. 이로써 친일 매국노들에게 면죄부를 부여한 것은 물론, 그들이 지금까지 지배세력으로 자리하고 있으니, 고스란히 민중 사이의 갈등을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작은 도둑은 나라를 훔치고 큰 도둑은 역사를 훔친다(小盜竊國 大盜竊史). 한때 우리나라를 훔쳐간 그들이 이제 역사까지 훔치려고 하고 있다. 영화 '암살'에서 변절한 염석진을 사살하려는 독립군이 물었다. "왜 변절했는가?" 놈이 답했다. "누가 광복될 줄 알았겠나?"

/전성배 한문학자. 민족언어연구원장. <수필처럼 한자>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