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오는 날, 태극기 달아도 될까요?

입력
수정2019.08.15. 오전 9:20
기사원문
남형도 기자
TALK new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머니투데이 남형도 기자] [심한 눈·비 바람 등으로 훼손될 정도가 아니면 달아도 무방]

#직장인 김경수씨(37)는 국경일마다 태극기를 꼭 다는 편이다. 올해 광복절(8월15일)은 특히나 더 신경쓸 예정이다. 그런데 태풍이 온다고 해서 걱정이다. 비오는 날에 태극기를 달아도 될지 헷갈려서다.

오늘(15일)은 일본의 경제 도발 조치 속에 맞는 제74주년 광복절이다. 국경일인만큼 태극기를 #직장인 김경수씨(37)는 국경일마다 태극기를 꼭 다는 편이다. 올해 광복절(8월15일)은 특히나 더 신경쓸 예정이다. 그런데 태풍이 온다고 해서 걱정이다. 비오는 날에 태극기를 달아도 될지 헷갈려서다.

오늘(15일)은 일본의 경제 도발 조치 속에 맞는 제74주년 광복절이다. 국경일인만큼 태극기를 달려고 하는 이들이 많을터. 태극기엔 어떤 의미가 담겨 있는지, 또 어떤 때에 다는지, 날씨에 따라 어떻게 달아야 할지 알아둘 필요가 있다.



태극기, 어떤 의미일까






국기 제정 논의가 있었던 건 1876년 고종 때였다. 한 해 전인 1875년, 일본군함 운양호가 강화도에 불법 침입해 무력 도발을 감행했었다. 이걸 계기로 강화도조약 체결이 논의되는 동안 일본은 "운양호에 일본 국기가 달려 있었는데, 왜 포격을 했느냐"며 외려 따졌다. 이에 국기 제정의 필요성이 활발히 논의됐고, 1883년 정식으로 국기가 채택됐다.

태극기는 흰색 바탕 가운데 태극 문양과 네 모서리의 건곤감리(乾坤坎離) 4괘(四卦)로 돼 있다.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를 뜻하고,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성을 의미한다.

가운데 태극 문양은 음(陰 : 파랑)과 양(陽 : 빨강)의 조화를 상징한다. 우주 만물이 음양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생성하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형상화했다.

네 모서리의 4괘는 음과 양이 서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효(爻 : 음 --, 양 ―)의 조합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그 가운데 건괘(乾卦)는 우주 만물 중에서 하늘을, 곤괘(坤卦)는 땅을, 감괘(坎卦)는 물을, 이괘(離卦)는 불을 상징한다. 이들 4괘는 태극을 중심으로 통일의 조화를 이루고 있다.

태극기는 '국경일에 관한 법률' 제2조의 규정에 따른 국경일에 단다. 3·1절(3월1일), 제헌절(7월17일), 광복절(8월15일), 개천절(10월3일), 한글날(10월9일) 등이다. '각종 기념일 등에 관한 규정 제2조'에 따른 기념 중 현충일(6월6일), 국군의 날(10월1일)에도 단다. 그밖에 국가장법 제6조에 따른 국가장 기간에도 매단다.



야간엔 조명을, 눈·비 심할 땐 달지 말아야






태극기는 매일·24시간 달 수 있지만 야간에는 적절한 조명을 해야 한다. 국기가 심한 눈·비와 바람 등으로 그 훼손이 우려되는 경우에는 달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반대로, 그 정도로 날씨 상황이 안 좋은 게 아니면 달아도 무방하다.

올해 광복절에도 제10호 태풍 '크로사'(KROSA)의 영향으로 전국이 흐리고 비가 올 전망이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날 태풍 크로사의 가장자리에서 만들어진 구름대의 영향으로 전국이 대체로 흐리고 가끔 비가 올 것으로 보인다. 경상 해안과 강원 영동, 울릉도·독도에는 매우 강한 바람이 불 것으로 전망되니 이를 참고해서 달 필요가 있다.

태극기에 때가 묻거나 구겨진 경우에는 국기가 훼손되지 않는 범위에서 이를 세탁하거나 다려서 다시 사용할 수 있다. 태극기를 못 쓰게 된 경우엔 쓰레기통에 버리지 말고 '국기수거함'에 넣어야 한다.

남형도 기자 human@mt.co.kr

▶주식투자 감 잡고 싶다면 [재테크 칼럼]
▶바람 피운 배우자 4가지 징후 [변호사 가사상담] 주요 이슈만 콕콕!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TALK new

응원의 한마디! 힘이 됩니다!

응원
구독자 0
응원수 0

쓰레기를 치우시는 여사님께서 쓰레기통에 앉아 쉬시는 걸 보고 기자가 됐습니다. 소외된 곳을 떠들어 작은 거라도 바꾸겠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