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수궁의 인문학 산책
찜하기

덕수궁의 인문학 산책

  • 저자
    황인혁
  • 출판
    시간의물레
  • 발행
    2018.08.31.
책 소개
“인문학으로 덕수궁 입궐하기” “경운궁·덕수궁 그 궁호(宮號)의 의미” “경운궁에 남겨진 조선 왕들의 발자취를 인문학이라는 돋보기로 따라가다” “인조반정 이후 역사 속에서 사라졌던 정동은 구한말 미국공사관을 시작으로 서구 열강의 공사관과 선교사들이 들어와 정착하면서 다시 세간(世間)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리고 을미사변 이후 고종의 아관파천을 계기로 조선 정치의 중심공간으로 급변하였다. 고종은 즉시 경운궁을 중건하고 대한제국을 선포하여 제국의 중흥을 도모하였지만 기울어져가는 조국의 운명을 돌이킬 수는 없었다. 경운궁은 한일합방 이후 일제 36년을 거치면서 궁궐의 위상을 잃고 낭만이 깃든 역사공원으로서 현대인의 사랑을 받고 있다. 태생적 정체성을 잃어버린 경운궁. 이것이 경운궁에 내재된 진정한 비애(悲哀)는 아닐까?” 경운궁은 짧은 역사와 아픈 기억 그리고 심각한 훼손 등으로 정서적으로나 학술적으로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경운궁에 대한 연구나 관심이 다른 궁궐에 비해 상대적으로 빈약한 편이다. 경운궁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은 이유는 일제의 무분별한 파괴와 왜곡된 복원이 큰 역할을 하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그렇게 남아있는 유물을 있는 그대로 해석할 경우 또 다른 왜곡을 낳을 수도 있다. 이러한 오류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일제시대 이전 단계의 자료들을 최대한 발굴하고 정리해야 한다. 경운궁의 위상이 바로 잡힐 때, 경운궁과 함께 했던 대한제국 더 나아가 근대화의 실체도 더욱 선명하게 우리에게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덕수궁의 인문학 산책’에서는 다양한 시각자료를 활용하여 경운궁의 현 위치를 알기 쉽게 보여주며, 경운궁이 위치한 정동을 왕릉, 생활, 궁궐의 세 공간으로 구분함으로서 경운궁의 역사를 상징적 사건들에 따라 생생히 보여줄 수 있도록 만들었다. 경운궁은 비록 국난의 시기에 임시적 성격으로 태어난 비운의 궁궐이었지만, 그 속에 담긴 역사적ㆍ시대적 흔적들은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남겨주고 있다. ‘덕수궁의 인문학 산책’은 이런 경운궁이 주는 교훈을 독자들에게 생생하게 전하고자 한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이 진정한 미래가치에 대해 고민하고 성찰하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책 정보

책 정보

  • 카테고리
    한국문화
  • 쪽수/무게/크기
    184429g177*226*12mm
  • ISBN
    9788965112419

책 소개

“인문학으로 덕수궁 입궐하기”

“경운궁·덕수궁 그 궁호(宮號)의 의미”
“경운궁에 남겨진 조선 왕들의 발자취를 인문학이라는 돋보기로 따라가다”

“인조반정 이후 역사 속에서 사라졌던 정동은 구한말 미국공사관을 시작으로 서구 열강의 공사관과 선교사들이 들어와 정착하면서 다시 세간(世間)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리고 을미사변 이후 고종의 아관파천을 계기로 조선 정치의 중심공간으로 급변하였다. 고종은 즉시 경운궁을 중건하고 대한제국을 선포하여 제국의 중흥을 도모하였지만 기울어져가는 조국의 운명을 돌이킬 수는 없었다. 경운궁은 한일합방 이후 일제 36년을 거치면서 궁궐의 위상을 잃고 낭만이 깃든 역사공원으로서 현대인의 사랑을 받고 있다. 태생적 정체성을 잃어버린 경운궁. 이것이 경운궁에 내재된 진정한 비애(悲哀)는 아닐까?”

경운궁은 짧은 역사와 아픈 기억 그리고 심각한 훼손 등으로 정서적으로나 학술적으로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경운궁에 대한 연구나 관심이 다른 궁궐에 비해 상대적으로 빈약한 편이다.
경운궁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은 이유는 일제의 무분별한 파괴와 왜곡된 복원이 큰 역할을 하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그렇게 남아있는 유물을 있는 그대로 해석할 경우 또 다른 왜곡을 낳을 수도 있다. 이러한 오류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일제시대 이전 단계의 자료들을 최대한 발굴하고 정리해야 한다. 경운궁의 위상이 바로 잡힐 때, 경운궁과 함께 했던 대한제국 더 나아가 근대화의 실체도 더욱 선명하게 우리에게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덕수궁의 인문학 산책’에서는 다양한 시각자료를 활용하여 경운궁의 현 위치를 알기 쉽게 보여주며, 경운궁이 위치한 정동을 왕릉, 생활, 궁궐의 세 공간으로 구분함으로서 경운궁의 역사를 상징적 사건들에 따라 생생히 보여줄 수 있도록 만들었다.
경운궁은 비록 국난의 시기에 임시적 성격으로 태어난 비운의 궁궐이었지만, 그 속에 담긴 역사적ㆍ시대적 흔적들은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남겨주고 있다. ‘덕수궁의 인문학 산책’은 이런 경운궁이 주는 교훈을 독자들에게 생생하게 전하고자 한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이 진정한 미래가치에 대해 고민하고 성찰하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인문학으로 덕수궁 입궐하기”



“경운궁.덕수궁 그 궁호(宮號)의 의미”

“경운궁에 남겨진 조선 왕들의 발자취를 인문학이라는 돋보기로 따라가다”



“인조반정 이후 역사 속에서 사라졌던 정동은 구한말 미국공사관을 시작으로 서구 열강의 공사관과 선교사들이 들어와 정착하면서 다시 세간(世間)의 주목을 받게 되었다. 그리고 을미사변 이후 고종의 아관파천을 계기로 조선 정치의 중심공간으로 급변하였다. 고종은 즉시 경운궁을 중건하고 대한제국을 선포하여 제국의 중흥을 도모하였지만 기울어져가는 조국의 운명을 돌이킬 수는 없었다. 경운궁은 한일합방 이후 일제 36년을 거치면서 궁궐의 위상을 잃고 낭만이 깃든 역사공원으로서 현대인의 사랑을 받고 있다. 태생적 정체성을 잃어버린 경운궁. 이것이 경운궁에 내재된 진정한 비애(悲哀)는 아닐까?”



경운궁은 짧은 역사와 아픈 기억 그리고 심각한 훼손 등으로 정서적으로나 학술적으로 크게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경운궁에 대한 연구나 관심이 다른 궁궐에 비해 상대적으로 빈약한 편이다.

경운궁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은 이유는 일제의 무분별한 파괴와 왜곡된 복원이 큰 역할을 하였다. 경우에 따라서는 그렇게 남아있는 유물을 있는 그대로 해석할 경우 또 다른 왜곡을 낳을 수도 있다. 이러한 오류에 빠지지 않기 위해서는 일제시대 이전 단계의 자료들을 최대한 발굴하고 정리해야 한다. 경운궁의 위상이 바로 잡힐 때, 경운궁과 함께 했던 대한제국 더 나아가 근대화의 실체도 더욱 선명하게 우리에게 다가올 수 있을 것이다.

‘덕수궁의 인문학 산책’에서는 다양한 시각자료를 활용하여 경운궁의 현 위치를 알기 쉽게 보여주며, 경운궁이 위치한 정동을 왕릉, 생활, 궁궐의 세 공간으로 구분함으로서 경운궁의 역사를 상징적 사건들에 따라 생생히 보여줄 수 있도록 만들었다.

경운궁은 비록 국난의 시기에 임시적 성격으로 태어난 비운의 궁궐이었지만, 그 속에 담긴 역사적ㆍ시대적 흔적들은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남겨주고 있다. ‘덕수궁의 인문학 산책’은 이런 경운궁이 주는 교훈을 독자들에게 생생하게 전하고자 한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이 진정한 미래가치에 대해 고민하고 성찰하는 기회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

1. 경운궁의 위치



2. 정동의 성격

(1) 왕릉공간

(2) 생활공간

(3) 궁궐공간



3. 역사 둘러보기

(1) 광해군 시절

(2) 고종 시절



4. 건물 둘러보기

(1) 대한문

(2) 즉조당

(3) 준명당

(4) 석어당

(5) 중화전

(6) 함녕전

(7) 덕홍전

(8) 정관헌

(9) 석조전

(10) 미술관

(11) 문(門)

(11) 중명전

(12) 황궁우

(13) 연못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작가 소개

정보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레이어닫기
황인혁
글작가
저자 황인혁건국대학교 문학박사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저서]『CAD와 건축』, 도서출판 서우, 2010『조선 왕릉 산도』, 시간의물레, 2017『경복궁의 상징과 문양』, 시간의물레, 2018[논문]화상처리법을 이용한 경도측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조선시대 『선원보감』의 분석과 활용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조선왕실 산도 중 「장릉도」와 「사릉도」에 관한 연구, 2014『璿源寶鑑』의 기본구성과 제작배경, 2013『璿源寶鑑』에 수록된 산도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2014준경묘·영경묘 산도에 대한 비교 연구, 2017

판매처

전문 서점 4
정보
도서를 전문으로 판매하는 온라인 서점입니다.
레이어닫기
목록보기
일반 쇼핑몰 10
목록보기

쇼핑몰에서 정확한 가격과 상품정보를 확인하세요!

신고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해주세요
신고

작가 소개

정보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레이어닫기
황인혁
글작가

저자 황인혁건국대학교 문학박사건국대학교 문화콘텐츠학과 겸임교수[저서]『CAD와 건축』, 도서출판 서우, 2010『조선 왕릉 산도』, 시간의물레, 2017『경복궁의 상징과 문양』, 시간의물레, 2018[논문]화상처리법을 이용한 경도측정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조선시대 『선원보감』의 분석과 활용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조선왕실 산도 중 「장릉도」와 「사릉도」에 관한 연구, 2014『璿源寶鑑』의 기본구성과 제작배경, 2013『璿源寶鑑』에 수록된 산도의 표현기법에 관한 연구, 2014준경묘·영경묘 산도에 대한 비교 연구,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