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의 문화표상 1: 국가 민족 국토
찜하기

동아시아의 문화표상 1: 국가 민족 국토

국가·민족·국토
  • 저자
    신성곤,박찬승
  • 출판
    민속원
  • 발행
    2015.01.30.
책 소개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동아시아문화연구총서」 제4권 『동아시아의 문화표상. 1: 국가 민족 국토』. 한국, 중국, 일본의 국가 민족 국토의 표상들이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어떻게 형성되어 왔고, 또 오늘에는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책 정보

책 정보

  • 카테고리
    주제별 역사/문화
  • 쪽수/무게/크기
    4520g160*230*0mm
  • ISBN
    9788928507047

책 소개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동아시아문화연구총서」 제4권 『동아시아의 문화표상. 1: 국가 민족 국토』. 한국, 중국, 일본의 국가 민족 국토의 표상들이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어떻게 형성되어 왔고, 또 오늘에는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에 실린 논문들은 한국, 중국, 일본의‘ 국가·민족·국토’의 표상들이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어떻게 형성되어 왔고, 또 오늘에는 어떤 의미를 지니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있다.



특히 근대 국가 성립 이후‘ 국가·민족·국토’의 표상들이 강력한 힘을 갖게 되었고, 세계화가 진행되는 오늘의 상황 에도 그러한 표상들은 여전히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 있다는 점에서‘ 국가·민족·국토’의 표상에 대한 분석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연구 기간의 부족으로 관련된 주제들을 충분히 다루지 못한 점을 아쉽게 생각다. 2, 3차 년도의 연구 성과는 이 시리즈의 2, 3권으로 출판될 예정이다. 동학과 독자 제현의 질정을 바란다.





글쓴이(집필순)



전우용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신성곤 |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

백광준 | 서울시립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 교수

박규태 | 한양대학교 일본언어문화학과 교수

김창민 | 전주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차혜영 | 한양대학교 한국언어문학과 교수

목수현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객원연구원

배관문 | 한림대학교 생사학연구소 HK연구교수

박찬승 | 한양대학교 사학과 교수

이경희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교수

박은정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오수경 | 한양대학교 중어중문학과 교수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

서설

제1부
국가ㆍ민족의 표상

한국인의 국기관國旗觀과 '국기에 대한 경례' ∥전우용
-국가 표상으로서의 국기國旗를 대하는 태도와 자세의 변화 과정-
종묘宗廟 제도制度의 탄생∥신성곤
-종묘宗廟의 공간과 배치를 중심으로-
청말, 한족 표상의 구축∥백광준
라프카디오 헌의 신도관∥박규태
-내셔널리즘과 신국표상을 중심으로-
문화표상에 나타난 문화적 정체서으이 경쟁∥김창민
-오키나와 슈리성의 사례-
식민지 극대 부르주아의 표상의 정치학, 개벽사 『별건곤』의 '조선의 자랑'호 연구∥차혜영
관광 대상과 문화재 사이에서∥목수현
-숭례문, 황궁우, 경회루를 통해 본 근대 '한국' 표상 건축물의 위상-

제2부
국토의 표상

국토의 시각적 표상과 애국 계몽의 지리학∥목수현
-최남선의 논의를 중심으로-
'신국 일본'의 이미지 변천사∥배관문
-중세 일본의 국토 표상과 관련하여-
백두산의 '민족 영산'으로의 표상화∥박찬승
'일본의 상징'으로서의 후지산∥이경희
-그 표상을 둘러싼 또 하나의 시좌-
근대 이전 한문漢文 기록記錄을 통해 본 금강산金剛山 표상表象∥박은정
중국의 '오악五嶽' : 지리적 표상에서 문화적 표상으로∥오수경
-유네스코 세계유산 신청을 계기로 다시 본 오악 담론-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판매처

전문 서점 2
정보
도서를 전문으로 판매하는 온라인 서점입니다.
레이어닫기
목록보기
일반 쇼핑몰 6
목록보기

쇼핑몰에서 정확한 가격과 상품정보를 확인하세요!

신고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해주세요
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