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오늘의 토막뉴스] '철광석 가격 하락' 여파에...철강·전방산업까지 연쇄타격 외

 

 

'철광석 가격 하락' 여파에...철강·전방산업까지 연쇄타격

 

하반기부터 하향 안정화된 철광석 가격에 철강업과 전방산업들의 시름이 깊어졌다.  

 

국내 대표 철강사인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14%, 38%로 줄어들며 부진을 면치 못했다. 업계에서는 철강사의 부진 원인으로 ‘철광석 가격 변동’을 꼽았다.

 

철광석 가격은 지난 7월 톤당 120달러까지 치솟다 이달 들어 100달러 수준으로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그동안 철광석 가격 급등의 원인인 브라질과 호주 공급차질이 회복세를 보이고 비수기에 들어서며 철광석 가격이 줄어든 것으로 내다봤다.

 

철강사들은 수익성 회복을 위해 원재료 인상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할 속내를 보였지만 이 마저 쉽지 않다. 전방산업들의 부진을 이유로 가격 인상에 회의적이기 때문이다.

 

특히 철강사들에게 부담을 줬던 철광석 가격이 최근 하락세를 보이는 점도 제품 가격 인상 움직임에 찬물을 끼얹을 가능성이 높다.

 

조선업의 경우 이전보다 시황이 나아지긴 했으나 미·중 무역분쟁과 글로벌 경기 침체 여파로 여전히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

 

조선 3사 가운데 상반기까지 올해 초 내세운 수주 실적 절반을 채운 곳은 단 한 곳도 없다. 조선해운시황 분석업체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세계 신규 선박발주량은 1026만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42.3% 감소했다.

 

대우조선해양과 ·현대ㆍ삼성중공업등 조선3사의 상반기 수주액도 95억8000만달러로 지난해 상반기에 비해 19.1%나 줄었다.

 

또 최근 일본 정부의 ‘수출규제’로 추가 경제 보복 대상이 조선업이 될 거란 관측이 나오면서 업황은 더욱 밝지 않을 전망이다.

 

자동차는 2분기 영업이익 흑자를 기록하며 순조로운 출발을 보이는 듯 했으나 우호적인 환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실제 현대자동차와 기아자동차의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7.3%, 5.0% 떨어졌다.

 

또 현대차와 기아차 노조는 지난달 29~30일 쟁의행위 찬반투표에 들어갔다. 투표에 앞서 현대차와 기아차 노조는 중앙노동위원회에 쟁의조정을 신청했고, 중앙노동위원회의 조정중지 결정이 내려질 경우 파업권 확보 및 즉각적인 투쟁에 나설 수 있게 돼 회사에 차질이 생길 것으로 예측된다.

 

업계관계자는 "노조가 파업에 돌입할 경우 현대기아차의 올해 판매목표 760만대(현대차 468만대, 기아차 292만대) 달성은 사실상 불가능할 것"으로 내다보며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국제유가, 美中 불확실성 속 혼조세…WTI 54.93달러

 

국제유가가 혼조세를 나타냈다.
 

12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9월 인도분 서부 텍사스산 원유(WTI)는 전 거래일보다 배럴당 0.8%(0.43달러) 오른 54.93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런던 ICE 선물거래소의 10월물 브렌트유는 오후 3시26분 현재 배럴당 0.09%(0.05달러) 내린 58.48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이 국제유가를 좌지우지하고 있다. 지난주에는 미중 무역전쟁 격화에 급락했다가 주 후반 낙폭을 일부 만회했다.
 

안전 자산으로 꼽히는 국제 금값은 오름세를 지속했다.
 

뉴욕상품거래소에서 12월 인도분 금은 전 거래일보다 온스당 0.6%(8.70달러) 오른 1,517.20달러를 기록했다.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에... 재건축단지 10월전 분양 가닥

 

서울의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 조합들이 분양 일정을 예정보다 앞당겨 정부의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시행의 직격탄을 피하려 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된다.

 

13일 서울 강동구 둔촌주공 재건축 단지 조합 등에 따르면 조합은 이날 긴급이사회를 소집해 전날 정부의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발표에 대한 대응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둔촌주공은 단일 재건축 단지로는 국내 최대 규모로, 건립 가구 수가 1만2032가구에 일반분양 물량만 4787가구에 달하는 초대형 정비사업이다.

 

지하철 9호선 둔촌오륜역과 보훈병원역, 지하철 5호선 둔촌동역 등 트리플역세권으로 향후 서울 강동권의 랜드마크 단지로 거듭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미 이주를 완료하고 철거를 위한 준비까지 마친 조합은 지난달 2일까지 조합원들의 희망 평형에 대한 분양 변경 신청을 진행했다.

 

내달 조합원 분담금 확정을 위한 관리처분 계획 변경 총회를 개최해 착공을 앞두고 인허가 행정을 마무리한 뒤 10월에는 조합원 동호수 추첨, 11월에는 모델하우스 건립과 일반분양 절차에 돌입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 분양가 산정을 놓고 대립하면서 후분양을 고려했다가 전날 정부의 분양가상한제 발표로 다시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HUG에서 책정한 이 단지의 평균 분양가는 3.3㎡당 2500만∼2600만원 수준으로, 조합의 희망 분양가인 3600만∼3800만원과 천만원 이상 차이가 난다.

 

그러나 건설업계에서는 이 단지가 분양가상한제를 적용받으면 분양가가 3.3㎡당 2200만원 수준으로 더 떨어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에 따라 둔촌 주공 재건축 시공사인 현대건설 등은 일반분양 시점을 10월 중으로 앞당기는 방안을 검토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가 민간택지 분양가 상한제 적용 시점을 '최초 입주자모집공고'로 일원화했기 때문.

 

아울러 정부의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 발표가 있었던 전날 서울 강남권에서는 재건축을 앞둔 단지들과 신축 아파트 단지 간의 희비가 극명하게 엇갈렸다.

 

◆국내 주식형 펀드에 사흘째 자금 순유입

 

국내 주식형 펀드 자금이 사흘째 순유입했다.
 

13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9일 기준 국내 주식형 펀드(상장지수펀드 제외)에 529억원이 설정되고 156억원이 해지돼 373억원이 순유입했다. 이로써 국내주식형 펀드 자금은 3일째 자금이 들어왔다.
 

해외 주식형 펀드는 119억원이 해지되고 373억원이 빠져나가면서 254억원이 순유출했다.
 

국내·외 주식형 펀드 설정원본은 78조3630억원으로 전 거래일보다 1351억원 늘었다. 설정원본에 운용 손익을 더한 순자산총액은 74조4947억원으로 전 거래일보다 4322억원 늘었다.
 

국내·외 채권형 펀드 설정원본은 121조8014억원으로 전 거래일보다 1768억원 늘었다. 순자산총액은 125조445억원으로 전 거래일보다 1885억원 늘었다.
 

단기금융상품인 머니마켓펀드(MMF) 설정원본은 118조8267억원으로 전 거래일보다 1조1195억원 늘었다. 순자산총액은 전 거래일보다 1조1434억원 늘어난 119조9443억원이다.

 

국내 조선업, 7월 수주량 세계 1위…중국은 2위

 

한국 조선업계가 지난달에도 세계 선박 수주 1위를 기록해 3개월 연속 중국을 앞지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영국의 조선·해운 분석기관인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7월 전 세계에서 발주된 선박 25척, 55만CGT(표준화물선 환산톤수) 가운데 한국 조선업계가 절반인 27만CGT(10척)를 수주했다.

 

중국 조선업계는 20만CGT(11척)를 수주하며 2위에 머물렀고 일본은 3만CGT(1척)로 3위를 기록했다.

 

올해 들어 7월까지 누적 수주량은 중국이 474만CGT(점유율 40%)로 1위이며 한국은 374만CGT(32%)로 2위를 기록했다. 이어 일본 145만CGT(12%), 이탈리아 114만CGT(10%) 순이었다.

 

한국의 누적 수주량 기준 점유율은 4월에 중국과 17%포인트까지 벌어졌지만, 최근 3개월 연속 중국을 앞지르며 격차는 8%포인트로 좁혀졌다.

 

세계 누적 발주량은 7월 말 기준으로 1182만CGT로 작년 동기 대비 43%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7월 말 세계 수주잔량도 전월보다 225만CGT(3%) 감소했으며 국가별 감소량은 중국(-77만CGT), 일본(-70만CGT), 한국(-56만CGT) 순으로 집계됐다.

 

다만, 지난해 7월 말과 비교하면 중국과 일본은 각각 9%, 24% 감소했지만, 한국은 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수주잔량은 중국(2795만CGT), 한국(2031만CGT), 일본(1365만CGT) 순으로 집계됐다.

 

이밖에 선가는 액화천연가스(LNG)운반선 등 고가 선박의 가격이 오르지 않아 6월과 같은 수준을 보였다. 7월 클락슨 신조선가지수(Newbuilding Price Index)는 전월과 같은 131포인트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청년발언대

더보기


기자수첩

더보기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