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몽자회 ()

목차
관련 정보
훈몽자회
훈몽자회
언어·문자
문헌
조선전기 학자 최세진이 어린이들의 한자 학습을 위하여 1527년에 간행한 교재. 한자교학서.
목차
정의
조선전기 학자 최세진이 어린이들의 한자 학습을 위하여 1527년에 간행한 교재. 한자교학서.
내용

1527년(중종 22)에 간행된 이래 여러 차례 중간되었다. 편저자는 그 당시 한자학습에 사용된 ≪천자문≫과 ≪유합 類合≫의 내용이 경험세계와 직결되어 있지 않음을 비판하고, 새·짐승·풀·나무의 이름과 같은 실자(實字)를 위주로 교육할 것을 주장하여 이 책을 편찬하였다.

상·중·하 3권으로 되어 있는데, 각 권에 1,120자씩 총 3,360자가 수록되어 있다. 한자의 배열은 상권에 천문(天文) 이하 16문, 중권에 인류(人類) 이하 16문으로 주로 전실자(全實字)를 수록하였고, 하권에는 잡어(雜語)라 하여 반실반허자(半實半虛字)를 수록하였다. 한자의 수에 있어서 ≪천자문≫과 ≪유합≫을 압도하고 그 내용도 새로워 실용적 가치가 매우 컸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책의 상권 첫머리에 ‘훈몽자회인(訓蒙字會引)’과 ‘범례’가 실려 있는데, ‘범례’의 끝에 ‘언문자모(諺文字母)’라 하여, 그 당시의 한글 체계와 용법에 대한 간단한 설명이 붙어 있다. 그 내용은 크게 세 가지로 간추릴 수 있다.

① ‘속 소위 반절 27자(俗所謂反切二十七字)’라는 주가 보여주듯이, 이 ‘언문자모’는 훈민정음의 28자 중에서 ‘ㆆ’이 빠진 체계를 보여준다. ② 이 27자를 초성종성통용팔자(初聲終聲通用八字), 초성독용팔자(初聲獨用八字), 중성독용십일자(中聲獨用十一字)로 나누었다.

③ 각 글자 밑에 기역 其役, 니은 尼隱, 디귿 池○末, 리을 梨乙, 미음 眉音, 비읍 非邑, 시옷 時○衣, 이응 異凝”, “키 ○箕, 티 治, 피 皮, 지 之, 치 齒, ? 而, 이 伊, 히 屎”, “아 阿, 야 也, 어 於, 여 余, 오 吾, 요 要, 우 牛, 유 由, 으 應 不用終聲, 이 伊 只用中聲, ? 思 不用初聲”과 같은 표기가 있다.

이것은 우리 문자사의 중요한 기록이다. 이 ‘언문자모’ 때문에 최세진은 한글 자모의 이름을 지은 작명부(作名父)로 간주되기도 하였지만, 여덟 글자만 받침으로 쓸 수 있다는 규정을 만든 장본인으로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 ‘언문자모’는 그 당시에 널리 행하여진 관습을 최세진이 적어놓은 데 지나지 않는다.

②와 같이 여덟 글자만 받침으로 쓴다는 규정은 ≪훈민정음해례 訓民正音解例≫와 성현(成俔)의 ≪용재총화 ?齋叢話≫에 이미 보이는 것이며, ③은 자모의 이름을 적은 것이라기보다는 그 발음을 표시한 것이었다.‘초성종성통용팔자’에 대해서는 두 자씩 적으면서 첫 자는 초성의 발음, 끝 자는 종성의 발음을 나타낸다고 분명히 기록하고 있으며, ‘초성독용팔자’에 대해서는 한 자씩만 적은 사실이 그 증거가 된다. 한글의 이름이 형성된 연유를 밝혀주는 중요한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훈몽자회≫는 3,360의 한자에 대하여 각자마다 ‘天 하?텬―道尙左日月右旋’과 같이 ① 새김, ② 자음, ③ 주석을 붙여놓았다. ①·②는 모든 한자에 다 있으나 ③이 붙은 것은 전체 한자의 7할 정도이다. ①의 새김은 국어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된다. ②의 자음표기도 우리나라 한자음연구의 좋은 자료가 된다. ③의 내용을 보면 한자의 자체(字體)에 관한 것, 자음과 의미에 관한 것, 용례(用例)에 관한 것 등이 있다. 특히, 중국속어에 관한 설명이 적지 않게 들어 있다.

이 책은 지금까지 여러 차례 간행되었다. 1527년에 간행된 원간본(原刊本)은 활자(乙亥字)로 찍어낸 것으로 일본 경도(京都)에서 멀지 않은 히에이산(比叡山)의 에이산문고(叡山文庫)에 간직되어 있다. 이 초간본이 나온 뒤 곧 개정판이 간행되었다. 이 개정판은 목판본으로 한자를 크게 1행에 네 자씩 배열하여 학습에 편하도록 하였다.

임진왜란 이전에 몇 차례 간행되었는데 일본 동경대학(東京大學) 소장본, 손케이카쿠문고(尊經閣文庫) 소장본이 알려져 있다. 위의 원간본과 중간본들은 서로 내용에 조금씩 차이가 있다. 이 가운데 원간본과 동경대학본은 1971년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에서, 손케이카쿠본은 1966∼1967년≪한글≫에 영인된 바 있다.

임진왜란 후에도 여러 차례 간행되었다. 규장각도서에 있는 내사본(內賜本)은 임진왜란 후 고전중간사업의 일환으로 1613년(광해군 5)에 간행된 것이다. 여기에서 한 가지 특기할 만한 사실은 하권 끝 장(35장)의 뒷면 첫 행의 제3자와 제4자가 본래는 ‘?漫’인데, 이것이 ‘洛汭’로 바뀐 책이 간행되기도 하였다는 점이다.

1913년 조선광문회(朝鮮光文會)에서 간행된 ≪훈몽자회≫는 주시경(周時經)의 ‘재간례(再刊例)’가 붙어 있는 것으로 사실상 최후의 간본이었는데, 이 책에는 ‘洛汭’로 되어 있다.

참고문헌

「훈몽자회고(訓蒙字會攷)」(방종현, 『동방학지』 1, 1954)
「훈몽자회연구(訓蒙字會硏究)」(이기문, 『한국문화연구총서』 5, 서울대학교한국문화연구소, 1971)
집필자
이기문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