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훈몽자회 언문자모 해석
初 聲 終 聲 通 用 八 字
 ㄱ(其役) ㄴ(尼隱) ㄷ(池末) ㄹ(梨乙) ㅁ(眉音) ㅂ(非邑) ㅅ(時衣) ㆁ(異凝) 
末 衣 兩 字 只 取 本 字 之 釋 俚 語 爲 聲
 其 尼 池 梨 眉 非 時 異 八 音 用 於 初 聲
 役 隱 末 乙 音 邑 衣 癡 八 音 用 於 終 聲
 初 聲 獨 用 八 字
 ㅋ(箕) ㅌ(治) ㅍ(皮) ㅈ(之) ㅊ(齒) ㅿ(而) ㅇ(伊) ㅎ(屎)
 箕 字 亦 取 本 字 之 繹 俚 語 爲 聲

현대어 해석 부탁 드려요
내 프로필 이미지
  • 질문수19
  • 채택률78.9%
  • 마감률94.7%
닉네임비공개
작성일2019.09.24 조회수 394
질문자 채택
1번째 답변
duks****
채택답변수 152받은감사수 2
영웅
프로필 사진

한문, 한국사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프로필 더보기

초성, 종성으로 통용되는 여덟글자이다.

ㄱ(기역), ㄴ(니은), ㄷ(지말=디끝),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의=시옷), ㅇ(이응)

末(말)자와 衣(의)자는 다만 본래 글자를 풀이에서 세속의 소리를 가져왔다.

(※디귿과 시옷에서 '귿'과 '옷'으로 발음되는 한자는 없습니다. 그래서 끝 말를 통해 끝(귿)이라는 음을 빌려왔고, 옷 의를 통해 옷이라는 뜻의 음을 빌려와서 적었다는 뜻입니다.)

기, 니, 지, 리, 비, 시, 이의 여덟개 소리는 초성에 쓰인다.

역, 은, 말(끝), 을, 음, 읍, 의(옷), 응의 여덟개 소리는 종성에 쓰인다.

초성으로 홀로 쓰이는 여덟 글자이다.

ㅋ(기(키)), ㅌ(태), ㅍ(피), ㅈ(지), ㅊ(치), ㅿ(이), ㅇ(이), ㅎ(히)

키자 또한 본래 글자의 풀이에서 세속의 소리를 가져왔다.

(※ 한자로 읽으면 箕는 키 기로 읽지만, 키라는 뜻에서 ㅋ을 가져왔다는 이야기입니다.)

알아두세요!

위 답변은 답변작성자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포인트 선물할 때 참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