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NAVER 연예

[인터뷰①]신세경 "차분한 이미지? 맞아요, 그것도 저의 한 부분이죠"

신세경은 인터뷰를 통해 자신의 다양한 면을 인정하며 타인이 언급하는 '이미지'로부터 자유로워진 내면을 보여줬다. 제공|나무엑터스 [매일경제 스타투데이 박세연 기자]

사람은 누구나 다양한 면을 갖고 있지만 특정 면모가 유독 부각되면 그 면모가 그 사람의 ’이미지’가 되기 마련이다. 드라마나 영화 등 작품 속 인물로 대중을 만나는 배우들도 마찬가지. 아니 어쩌면 더할 터. 마치 작품 속 인물의 캐릭터가 그를 연기한 배우의 실제 성격인 양 여겨지고, 그 잔상이 강하면 강할수록 그 이미지가 고착화되는 경향이 있다.

배우 신세경(29)도 한동안 그런 이미지 속에 갇혀 있었다. 1998년, 아홉살 어린 나이에 서태지 ’Take 5’ 뮤직비디오 출연을 계기로 방송가에 입문한 그는 이후 영화 ’어린 신부’(2004), 드라마 ’토지’(2005), ’선덕여왕’(2008)에 이어 출연한 ’지붕뚫고 하이킥’(2009~2010)에서 보여준 다소 차분하고 어두운 캐릭터 탓, 지난 수년간 ’차분’ ’조신’ ’청순’ 등의 키워드 안에 갇혀 있었다.

하지만 그는 20대의 시작과 함께 쉼표 없이 달려온 지난 10년 동안, 신중하고 과감한 변주를 이어왔다. 그 과정에서 누군가는 신세경의 변신에 놀랐을테고, 신세경의 변신과 도전을 접하지 못한 또 다른 누군가는 여전히 그를 ’여성여성한’ 배우로 기억했을테다.

"많은 분들이 저를 차분한 이미지로 보신다는 걸 아는데, 어릴 땐 ’내 성격은 그렇지 않은데’라며 다르다고만 생각했어요. 그런데 지금 생각해보면, 분명 그런 면모도 있었던 것 같아요. 가령 공식석상에선 차분한 편인데 편한 사람들과 있을 땐 오두방정일 때도 있고. 사람은 입체적인 거니까, 하나의 단면만 두고 ’나는 이런 사람이에요’라고 내밀기 어렵더라고요. 차분한 것도 제 자신인 것 같아요."

신세경은 `신입사관 구해령` 속 구해령이 실제 자신과 닮은 점이 많다고 밝혔다. 제공|나무엑터스 짧지 않은 시간 동안 변주해오며 신세경은 ’대중’으로 명명되는 타인의 시선에서 자유로워짐과 동시에, 스스로 반짝이는 내면의 성장을 이뤄냈다. 어쩌면, 이미 신세경은 ’인간사’의 수많은 질문 중 한가지 답은 분명히 찾은 건지도 모르겠다.

최근 성공적으로 끝낸 MBC 드라마 ’신입사관 구해령(극본 김호수, 연출 강일수)에서도 세상의 질문에 당차게 답하는 신세경을 만날 수 있었다. 드라마는 조선의 첫 문제적 여사(女史) 구해령과 반전 모태솔로 왕자 이림의 ’필’ 충만 로맨스 실록. 극중 예문관 여(女)사관 구해령 역을 맡은 신세경은 이전 출연했던 사극인 ’뿌리깊은 나무’ 속 소이, ’육룡이 나르샤’ 속 분이와 또 다른 구해령만의 매력을 그려내기 위해 적지 않은 시간 공을 들였다.

"이번 작품은, 전에 했던 사극과는 느낌이 달랐어요. 그런 점이 또 다른 숙제이기도 했고, 흥미로운 지점이기도 했죠. 되게 여러 가지 요소가 있었는데, 일단 설정 자체가 조선시대에 여자가 관복 입고 출퇴근 한다는 , 판타지지만 흥미로운 상상을 해본 거죠. 그런 부분을 보는 분들이 불편하지 않게 표현하고 싶었어요. 그리고 이 여자의 성향이나 성정을 불편하지 않게 표현하고 싶었죠. 구해령이라는 인물이 서사에 잘 어우러지게 하는 것을 고민 많이 했습니다."

과거에 비해 열린 사회임은 분명하지만 여전히 보수적인 한국 드라마의 환경 속, 진취적인 여성 캐릭터를 시청자에게 납득시키기 위해선 ’불편함’을 초월해야만 했다. "구해령이 보여준 말과 행동들 모두 그 시대를 떠올리면 하기 어려운 것들이었어요. 저조차 조선시대에 여자가 저 정도까지 할 수 있나? 싶은 마음도 들었는데, 시청자를 납득시키기 위해서는 제가 그 고정관념에서 자유로워져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드라마 중·후반부터는 조금의 의심하지 않고 표현할 수 있었지만 초반엔 고민을 좀 했어요."

신세경은 `신입사관 구해령`를 시청자에 납득시키기 위해 스스로 고정관념을 떨쳐야 했다고 말했다. 제공|나무엑터스 능동적이라면 둘째가라면 서러울 주체적이고 진취적인 여성 구해령. 실제 자신과 닮은 점이 많아 신세경으로선 더 끌릴 수밖에 없었다.

"성격적으로 구해령과 닮은 점이 많다. 물론 저는 사회화가 진행된 사람이라 불꽃을 누르고 사는 경향이 있죠.(웃음) 그렇지만 구해령이라는 친구는 현대보다도 훨씬 더 각박할 수 있는 조선시대에도 외칠 것을 외치고 사는 친구라서, 대본 읽으며 카타르시스를 느꼈어요. 가령 일식을 소개하는 장면 등이 개인적으로 왜 카타르시스라고 느꼈냐면, 요즘 시대에는 여자가 목소리 높인다거나 보폭 넓게 걷는다고 뭐라 할 사람 없지만 그 시대에는 이상하게 보일 수 있는 것이잖아요. 현대인 입장에서 볼 때 묘한 카타르시스가 느껴지는 지점이라 생각했어요. 이건 단순히 성별의 문제만이 아니거든요. 그 시대에는 더 그랬을테고, 일상에서 무심코 캐치도 못 하고 지나가는, 의식도 못 한 채 저지르고 있는 차별이 있을텐데 그런 것들에 대한 유쾌한 일침이 있을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그걸 조선시대로 옮겼을 때 단적으로 가장 흥미롭게 보여줄 수 있는 게 여성이라는 부분이라서, 흥미롭게 잘 표현된 것이라고 생각해요." (인터뷰②에서 계속)

psyon@mk.co.kr

▶네이버 메인에서 '매일경제'를 받아보세요
▶뉴스레터 '매콤달콤' 구독 ▶무궁무진한 프리미엄 읽을거리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연예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광고

AiRS 추천뉴스

새로운 뉴스 가져오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