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관형어와 부사어

범인은 바로 너야
할때요

1.바로가 부사고 너가 대명사고
부사가 체언을 수식하는 예시잖아요
근데 인강에서 바로가 체언을 수식하니까 관형어라고 했거든요

그럼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학생들이 부지런하다
라는 문장에서
특히도 학생들이라는 체언을 수식하니까 관형어 아닌가요?
학교 선생님이 준 프린트에 특히가 체언을 수식하는 성분부사어라고 나와 있어서요.

인강이 잘못말한건지 아님 둘이 다른 경우인건지;;

2. 그리고 '우리나라에서'는 부사인 거 같은데 거기에 '는'이 붙은 '우리나라에서는'은 문장성분이랑 품사가 뭔지도 궁금해요
내 프로필 이미지
  • 질문수197
  • 채택률66.8%
  • 마감률71.1%
닉네임비공개
작성일2019.05.12 조회수 1,823
질문자 채택
2번째 답변
맞춤법
채택답변수 1만+받은감사수 168
수호신 eXpert
프로필 사진

2020 교육, 학문 분야 지식인

#맞춤법1위 #문법1위

국어 맞춤법, 문법 1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프로필 더보기

1. 범인은 바로 너야.

'바로 갔다, 바로 잤다'처럼 용언을 수식하는 쓰임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부사로 다루는데, 이 문장은 특이하게 부사가 대명사 '너'를 수식하는 경우입니다. 부사는 일반적으로 부사어(용언, 부사, 문장 수식)가 되는데, 대명사 '너'를 수식하니까 관형어라고 한 것 같네요. 부사는 부사어가 되는데, 체언(명사, 대명사, 수사)을 수식하는 특이한 경우일 때는 견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부분이니까, 책에서 다루는 대로 접근하시면 됩니다.

2. 우리나라에서는 특히 학생들이 부지런하다.

'특히 어렵다, 특히 맛있다'처럼 용언을 수식하는 쓰임이 일반적이니까 부사로 다룹니다. 그리고 이 문장에서는 끝에 있는 '부지런하다(형용사)'를 수식하고 있으니까 문장성분상으로는 부사어입니다. 바로 뒤에 있다고 해서 그것을 수식하는 것이 아닙니다. 의미상으로 한 덩어리를 이루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서 '새 신발, 헌 신발'은 의미상으로 한 덩어리를 이루는데, '높이 신발, 멀리 신발'은 의미상으로 한 덩어리를 이루지 못합니다. 그래서 '새 신발, 헌 신발'만 수식어/피수식어의 관계입니다.

수식어/피수식어의 관계일 때는 마치 한 단어처럼 그것을 한 마디로 읽을 수 있습니다. '특히 학생들'을 읽으면 부자연스럽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새 신발, 헌 신발'과 비교해 읽어 보세요. 부사 '특히'는 부사어가 되어 '부지런하다(형용사)'를 수식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은 부사격조사 '에서'와 보조사 '는'이 덧붙어 있는데, 체언 뒤에 조사가 붙을 때는 격조사에 의해서 문장성분이 결정됩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부사격조사)'로 합쳐질 때 이미 부사어라고 정해진 것입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서는'의 문장성분은 부사어입니다.

알아두세요!

위 답변은 답변작성자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포인트 선물할 때 참고해주세요.

1번째 답변
비공개 답변
비공개율 8%최근답변 2024.01.16.
식물신
프로필 사진

관점에 따라 서로 맞는 말이 될 수 있습니다.

관형어, 부사어 는 문장 성분을 말합니다.

인강에서는 수식하는 기능에 초점을 두고 관형어라고 했습니다.

틀렸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학교에서는 '특히'의 품사인 부사에 초점을 두고 그것의 성분또한 '부사어'로 보았습니다.

이런 관점역시 틀렸다고 할 수 없습니다.

(제가 최근에 본 문법서에서도 '특히'과 같은 부류를 부사-부사어 로 취급한다고 했습니다. 이렇게 본 책에서는 이렇게 볼 것이다 라는 말 자체가 다른 문법서에서는 다르게 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도 할 수 있겠죠??)

2.

이게 좀 어렵네요.

'에서'가 여기서 부사격 조사로 쓰였다고 보기에도 애매합니다.

부사격 조사 '에서'가 갖는 의미로 쓰였다고 보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부사격 조사 '에서'는 행위가 일어나는 장소, 비교 기준, 출발점, 근거 등의 의미를 갖는데, 이 중 어느 하나에도 속한다고 보기 어렵습니다.

'우리나라는 학생들이 부지런해' 이런 식의 의미로 쓰인 것이라서, 그렇다면 '주격 조사'로 볼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에서'가 주격조사로 쓰이려면 서술어가 행위성이 있는 동사여야 하는데 그렇지도 않습니다.

ex) 학교에서 선생님들에게 통지서를 보냈다.

그럼에도 부사격 조사보다는 주격조사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할 것 같습니다.

서술절을 안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우리 학교에서는 [ 학생들이 부지런하다]

서술절에서 전체 주어와 서술절의 주어는 '전체-부분, 유형-사례, 부류-구성원’의 의미 관계를 갖는다고 보는데

여기서는 '부류 - 구성원'으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