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물 다섯 번의 기다림 - Advent Kalender

입력
수정2020.06.19. 오후 3:40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독일의 11월은 분주하다. 12월 1일을 준비하는 중이다. 12월 1일이 되면 25일이 될 때까지 매일의 날짜를 세면서 하루 하루를 의미 있게 보낸다. 1일부터 25일까지, 크리스마스, 즉 대림절을 따르는 달력을 기념하는데 사용하는 특별한 달력이 있다. 독일어로 “Advent Kalender”라는 달력이다. Advent는 기독교에서 크리스마스 전 4주간 예수의 성탄과 다시 오심을 기다리는 교회력 절기이다. 그래서 어드벤처 칼렌다 크리스마스 달력이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19세기와 20세기 독일 루터교인들에 의해 처음 사용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Advent의 어원은 ‘오다’라는 뜻의 라틴어에서 유래하였다. * 요즘의 독일의 슈퍼마켓과 상점들에서는 다양하고 어드벤처 칼렌다를 판매하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12월 1일이 되기 전에 여러 다양한 달력 중 나만의 특별한 달력 하나를 선택한다. 부모들은 아이들을 위한 크리스마스 달력을, 연인들은 서로를 위한 달력을, 이웃을 위한 달력을, 또 스스로에게 줄 나만의 선물이 될 달력을 설렘 담아 고른다.

스물 다섯 번의 나날은 매일이 선물을 기다리는 설레는 작은 마음의 모양을 하고 있다.달력은 작은 주머니나 뚜껑, 종이 상자들을 열어보면 안에 무엇인가가 들어있거나 쓰여있는 기본적인 틀을 가진다. 스물 다섯 개의 종이로 된 창문 모양을 뜯으면 나오는 스물 다섯 개의 따뜻한 성탄 음악이 들려오는 달력, 앙증맞은 그림이 그려져 있는 작은 사이즈의 동화책 스물 다섯 개가 들어있는 달력, 스물 다섯 개의 작은 크리스마스트리 오너먼트가 들어있는 달력, 스물 다섯 개의 속담이 쓰여져 있는 달력 등 종류에 따른 디자인도 매우 다양하다.

크리스마스 달력과 함께, “Advent Kerzen” 라고, 크리스마스 촛불도 함께 준비한다. 올해 자신들의 탁자에 놓아둘 초를 고르는 일도 중요하다. 네 개의 초를 거실의 탁자 위에 두고, 12월 1일 Advent 첫 주부터 25일이 있는 마지막 주까지 한 주에 한 초씩 불을 밝힌다. 집집마다 초의 길이를 다르게 하기도 하고 같은 크기의 초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네 번째의 초에 불이 켜지면 드디어 크리스마스가 있는 주간이 온 것이다.

그림 1 : 스물 다섯 개의 그림이 그려져 있는 Advent Kalender
사진출처 : https://de.wikipedia.org/wiki/Datei:Richard_Ernst_Kepler_-_Im_Lande_des_Christkinds.jpg


그림 2 : 문을 열면 각기 다른 스물 다섯 개의 그림이 그려져 있다. 가장 아래층 커다란문은 24일에 열어보면 된다. 사진출처 : https://images.app.goo.gl/5dwMjskHA9J8xvTz9


그림 3 : Advent Kalender 가 인테리어에 활용되기도 한다
사진출처 https://www.selbst.de/adventskalender-aus-holz-30621.html


이 시대의 크리스마스가 모든 이에게 종교의 영역을 넘어 특별한 의미가 된지 오래이다. 많은 사람들이 크리스마스 달력을 사고, 하루 하루가 지날 때마다 동그래진 눈으로 오늘의 날짜를 들여다보고, 열어본다. 그리고 무엇인가에 대한 염원을 담아 촛불을 밝힌다. 무엇을, 누군가를 기다리는가. 기다리는 마음이 알알이 맺히는 날이 더해진다. 아이들의 작은 설렘과 바람, 어른들의 동심, 잊을 수 없고, 잊어서는 안 되는 이야기들, 우리가 지켜내야 할 것들, 그 가치 있고 쉽게 얻을 수 없는 마음이 매일 매일에, 스물 다섯 번 더해진다.

특별한 12월을 맞기 위한 기다림과 설레임은 그 동안의 쓸쓸함과 절망과 지나온 시간들에 반추하고 있는 모습이다. 누구든지 오늘이 오기까지, 언제나 평온만이 있지 않았을 터, 우리는 모두 서로 싸워왔고, 서로를 미워했고, 서로 서로 화해해왔다. 그러한 우리는 지금, 무엇을 그리고 누군가를 기다리고 있을까? 우리 서로는 서로에게 자신의 세계만이 전부라 여기는 일종의 믿음을 갖고 있었다. 서로에게 서로가 공감할 수 없는 결론 같은 마침표에 이르렀을 때, 서로는 서로 서로 각자의 세계를 밖으로 꺼내 놓는다. 그럴 때마다 우리는 얼굴을 붉혔고, 목소리를 높이려고 입술을 오므렸다 벌린다. 서로의 두 눈은 미안하다는 말 대신에, 그저 눈치를 줬다. 서로는 서로의 동요 앞에 서서 서로를 답답하게 꽉 움켜쥐는 공기를 느껴왔고, 그 공기는 너와 나를 넘어 사회와 세계를 가득 메웠다. 논쟁과, 투쟁과, 전쟁과, 싸움으로 계속해서 얼굴을 붉히고, 목소리를 높이고, 입술을 움직였다. 그러다 어느 날 갑자기, 서로는 서로에게 지금의 우리들의 삶에 대하여 묻는 때가 생길 것이다. 서로의 오늘을 다르게 살 수 있을까 궁금해하면서.

이제 궁금증이 기대감으로 바뀌는 거다. 서로는 내일을 증명하기 위해 어제와는 또 다른 하루를 매일 맞을 것이다. 누군가를 향한 우리 각자의 믿음의 맥락의 여정을 따져볼 것이다. 그래도 여전히 우리는 가끔 서로의 미움에 닿을 것이고, 가끔 서로를 향한 그리움에 젖을 테지만, 끝없이 사랑했던 순간을 기억하기 위한 힘을 낼 것이다. 그리고 지금부터라도 격렬하고 뜨겁게 사랑하며 살아갈 것이다. 그렇게 지금의 우리는 내일을 기다리는 거다. 12월 1일을 열어보는 마음이다. 당신의 내일의 숫자 안에는 무엇이 들어있을 것인가? 네 번째의 초에 불을 밝힐 시간이다. 당신은 무엇을 기다리는가?

[박소진 시인]

▶네이버 메인에서 '매일경제'를 받아보세요
▶'매일경제' 바로가기 ▶뉴스레터 '매콤달콤' 구독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