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여워”…1500년 전 ‘3단 표정’ 얼굴 토기 나왔다(사진)

입력
수정2019.12.03. 오후 3:04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소월리 유적지에서 발견된 사람 얼굴 모양의 토기. 문화재청 제공


경북 경산 소월리 유적지에서 다양한 표정을 하고 있는 1500년 전 사람 얼굴 모양을 한 토기가 출토됐다. 이전에도 국내에서 사람 얼굴 모양이 장식된 토기가 발굴된 적은 있지만 이번에 출토된 것은 3개 면에 돌아가며 얼굴 모양이 표현된 첫 사례라 눈길을 끌고 있다.

3일 문화재청은 화랑문화재연구원(원장 오승연)이 발굴·조사해온 경북 경산시 소월리 유적에서 5세기쯤 만들어진 의례와 관련된 사람 얼굴 모양의 토기(투각인면문옹형토기)가 1점 출토됐다고 밝혔다.

발견된 토기는 높이 28㎝가량으로 토기 윗부분 가운데에는 원통형으로 낮게 튀어나온 구멍을 뚫었다. 토기 옆면에는 같은 간격으로 원형 구멍을 뚫어 귀를 표현했다. 각 구멍 사이에 만들어진 세 개의 면에는 조금씩 다르게 표현한 얼굴 무늬를 각각 새겨 각각 무표정하거나 심각한 듯하거나, 말하는 것 같은 인상을 준다.

문화재청 제공

토기 표면에 사람 얼굴을 표현하면서 두 눈과 입은 기다란 타원형으로 밖에서 오려냈으며 콧구멍에 해당하는 2개의 작은 구멍은 안에서 밖으로 찔러 만들었다. 또 콧등을 중심으로 양쪽을 살짝 눌러서 콧등을 도드라지게 표현하기도 했다.

사람 얼굴 모양 토기가 출토된 구덩이는 지름 1.6m가량의 원형으로 건물지군 사이 한쪽의 빈 공간에 있었다. 내부조사가 반 정도 진행된 상태에서 토기가 발굴된 것으로 전해졌다.

시루와 결합된 사람 얼굴 모양의 토기. 문화재청 제공

또 이곳에서는 바닥을 의도적으로 떼어낸 시루도 함께 출토됐는데, 시루의 몸통 중간 부분에 소뿔 모양 손잡이 2개가 붙어있어 두 토기를 함께 결합해 썼을 것으로 보인다. 토기의 제작 기법과 특징 등으로 미루어보아 5세기 전반 또는 그 이전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당시 유적에서 베풀어진 일종의 의례 행위와 관련됐을 것으로 연구원은 추정했다.

연구원은 “토기가 의례와 연관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만큼 유적의 중심을 이루는 주변 고상건물터도 당시의 의례와 관련된 시설의 일부였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며 “현재 조사가 진행 중인 구덩이 내부에서는 토기 외에도 유기물, 목재 등이 추가로 확인돼 앞으로 분석을 통해 유적의 성격을 좀 더 분명하게 밝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사람 얼굴 모양 토기와 시루 출토 당시 모습. 문화재청 제공

한편 토기가 발견된 소월리 유적은 금호강의 지류인 청통천 주변에 형성된 넓은 평야를 조망할 수 있는 나지막한 언덕에 자리하고 있다. 화랑문화재연구원은 지금까지 발굴조사를 통해 삼국∼통일신라 시대의 고상건물지(땅 위에 기둥을 세우고, 그 기둥 위에 바닥 면을 만든 건물)와 구덩이(수혈), 토기 가마를 비롯해 고려∼조선 시대의 무덤 등 많은 수의 유구가 확인됐다고 밝혔다.

유적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고상건물지는 사용 목적이 분명하지는 않지만 구릉의 완만한 경사면에 밀집되어 있으며, 주변으로 배수를 위한 도랑과 구덩이들과 울타리(추정) 등을 배치하고 있어 일반적인 거주보다는 특수한 목적의 건물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사람 얼굴 모양 토기. 문화재청 제공


소설희 인턴기자

[국민일보 채널 구독하기]
[취향저격 뉴스는 여기] [의뢰하세요 취재대행소 왱]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