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전문가 김남식 교수 "아스팔트 공사와 가림막 때문에 흔들릴 수도"
"해상 교량, 경간 길고 데크 가벼워 일반 교량보다 흔들릴 가능성 높아"
"타코마 붕괴, 내풍 설계 없었던 시절 발생… 이순신대교와 비교 안 돼"

이순신다리가 심하게 흔들린 까닭은 정말 ‘공진 현상’ 때문일까? 일부 네티즌이 아스팔트 공사 중이던 이순신대교가 흔들림 현상을 보인 원인으로 ‘공진 현상’을 지목하고 나서 논란이 일고 있다. 교량 전문가는 공진 현상 때문에 이순신다리가 흔들리진 않았을 것으로 일단 보고 있다.

전남 여수시 묘도동과 광양시 금호동을 잇는 이순신대교는 26일 오후 흔들림 현상을 보여 전면 통제됐다. 당시 다리 위를 달리던 운전자들은 “아스팔트가 순간적으로 아래로 쑥 사라졌다가 다시 위로 솟구치기를 수십 차례 반복했다” “전방 도로가 오르락내리락 하는 게 보일 정도로 출렁거렸다. 흔들리는 정도가 너무 심했다”라고 말했다. 한 운전자는 “살면서 이리 공포감을 느꼈던 적은 처음”이라고까지 말했다. 당시 이순신대교가 얼마나 심하게 흔들렸는지 짐작할 수 있다.

이처럼 이순신대교 흔들림 현상이 공포심을 느낄 정도로 심했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일부 네티즌이 ‘공진 현상’을 다리가 흔들린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아이디가 ‘ff_7****’인 네티즌은 “타코마 다리는 초속 60m까지 견딜 수 있었지만 초속 19m의 바람에 종잇장처럼 펄럭이다가 무너졌다”면서 “공진 현상 때문이다. 설계된 하중보다 작은 바람이 불어도 다리의 고유진동수랑 맞아떨어지면 크게 공진하게 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astr****’은 “다리 자체의 공명주파수와 바람이 다리를 지나며 생기는 와류의 주파수가 우연히 일치하거나 배수의 조건이 형성되면 공진 현상이 일어나 다리가 흔들릴 수 있다. 아주 심한 경우 다리가 흔들리다가 붕괴될 수도 있다. 미국의 타코마 브릿지의 붕괴가 그 예다”라고 주장했다.

두 네티즌이 언급한 타코마 협교 붕괴 사고의 원인은 공진 현상이다. 공진은 외부 진동 주파수와 물체의 고유한 진동수가 순간적으로 일치할 때 진폭이 매우 커져 발생하는 흔들림이다. 1940년 7월 1일 개통된 워싱톤 주의 타코마 협교는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다리라는 격찬을 들었지만 4개월 뒤 무너지고 말았다. 시속 190km에 이르는 강풍도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한 타코마 협교는 바람으로 인한 진동에 의해 진폭이 점점 커지는 공진 현상으로 인해 붕괴했다. 거대한 교량 구조물이 꽈배기처럼 비틀어지더니 중앙부터 부서지기 시작해 맥없이 무너졌다. 다리 상태를 점검하려고 촬영하던 한 대학교수에 의해 붕괴 장면이 고스란히 동영상 카메라에 잡혔다.

이와 관련해 한 교량 전문가는 공진 현상 때문에 이순신다리가 흔들리진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구조동역학ㆍ교량공학 전문가인 김남식 부산대학교 교수(토목공학과)는 기자와의 통화에서 이순신대교가 공진 현상으로 흔들리진 않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타코마 협교가 붕괴한 건 1940년대예요. 내풍 설계도 안 돼 있을 때죠. 타코마 붕괴 사고 후부터 해상교량의 내풍 설계를 하기 시작한 겁니다. 이순신대교가 공진 현상으로 흔들렸을 가능성은 아주 낮을 겁니다. 공진은 아닐 겁니다.”

기자가 “전남도는 다리 양쪽 난간에 높이 1.2m, 길이 2.26km의 천 가림막을 설치한 게 다리가 흔들린 원인인 것으로 보고 있다”고 하자 김 교수는 “(가림막이) 바람에 저항을 하니까 그럴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해상 교량은 일반 교량에 비해 교량 경간이 길기 때문에 차량이 다니는 데크가 가볍다. 그래서 언제든지 흔들릴 수 있다”며 “(해상 교량은) 보통 많이 흔들린다. 남해대교 같은 곳을 걸어 다니다 보면 많이 흔들린다. 흔들리는 게 당연하다”고 말했다.

다음은 김 교수와의 일문일답.

-이순신대교가 흔들린 원인이 무엇이라 보고 있나.

(직접 조사하지 않았기 때문에 사고의) 내막을 잘 모른다. 무거운 질량(아스팔트)을 놓고 보수공사를 하고 있었다는 말이 있다. (하지만 아스팔트가) 있다고 흔들리는 게 아니다. 진동 원인, 즉 진동원이 있어야 흔들린다. 바람이든 지진이든 차량이든 진동 원인이 있어야 한다. 교량에 질량이 있다면 교량의 고진동 수가 바뀌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쉽게 흔들릴 수도 있다.

-이순신대교가 흔들릴 때 전남 여수에는 초속 8.2m의 바람이 불었다.

질량이 한쪽에 몰려 있으면 뒤틀림이 심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초속 8m면 바람이 아주 없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런데 그곳은 통상적으로 그 정도 바람이 불지 않겠나. 처음부터 심하게 흔들렸다면 개통할 때부터 문제가 되지 않았겠나.

-과거 타코마 협교가 공진 현상으로 붕괴한 적이 있다. 이순신대교도 공진 현상 때문에 흔들렸을 가능성이 있나.

그건 1940년대다. 내풍 설계도 안 돼 있을 때다. 그래서 내풍 설계를 하기 시작한 거다. 타코마 붕괴 사고 후부터 해상교량의 내풍 설계를 하기 시작하게 된 거다. 그 가능성은 아주 낮을 것이다. 공진은 아닐 것이다.

-전남도는 다리 양쪽 난간에 높이 1.2m, 길이 2.26km의 천 가림막을 설치한 게 다리가 흔들린 원인이라고 하는데.

가림막이 바람에 저항을 하니까 그럴 수도 있겠다. 해상 교량은 일반 교량에 비해 교량 경간이 길기 때문에 차량이 다니는 데크가 가볍다. 그래서 언제든지 흔들릴 수 있다. 보통 많이 흔들린다. 남해대교 같은 곳을 걸어 다니다 보면 많이 흔들린다. 교량은 진동이 없어야 하는 걸로 알고 있는 사람이 많지만 평생 엄청나게 진동한다. 흔들리는 게 당연하다.

-그렇다면 이순신대교가 흔들리는 현상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는 얘긴가.

좀 더 지켜봐야지 뭐라고 얘기할 수 없는 정보가 없다. 정보가 있어야 자세히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저작권자 © 데일리한국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