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탈 화산 폭발… 폐쇄됐던 국제공항 운영 일부 재개

입력
수정2020.01.13. 오후 6:35
기사원문
장지영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세계에서 가장 작은 활화산… 앞서 폭발 때는 대규모 사상자 발생
필리핀에서 13일(현지시간) 폭발한 탈 화산 인근에 위치한 바탄가스주 아곤실로의 주민들이 피신하기 위해 화산재로 뒤덮인 도로를 지나고 있다. EPA연합뉴스


필리핀 수도 마닐라 인근 관광명소인 탈(Taal) 화산이 폭발해 마닐라의 국제공항의 운영이 중단되고 주민과 관광객들이 대피했다. 탈 화산은 세계에서 가장 작은 활화산으로, 1977년 이후 43년 만에 분화했다.

필리핀 지진화산연구소는 13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12일 오후 1시부터 탈 화산 주분화구 내부에서 활발한 증기 활동이 있었고, 이것이 13일 오전 2시49분에서 4시28분까지 마그마성 분화로 발전했다”고 밝혔다.

탈 화산은 전날 오전 천둥소리와 비슷한 굉음과 진동을 내며 증기 활동을 시작하더니 화산재를 뿜어냈다. 이어 저녁 7시 30분쯤 높이 10∼15㎞에 달하는 테프라(화산 폭발로 생성된 모든 종류의 쇄설물) 기둥을 만들었다. 이어 다음날 새벽 두 시간 가까이 용암을 내뿜었다. 호수로 둘러싸인 화산섬 인근 지역에서는 규모 2.9~3.9 사이의 지진이 최소 75차례 관측됐다. 한때 쓰나미 우려가 제기됐지만 다행히 발생하지 않았다.

수도권인 케손시 북쪽에까지 화산재가 떨어지자 필리핀 지진화산연구소는 전날 탈 화산섬을 영구 위험지역으로 서포하고 경보 4단계를 발령했다. 최고 단계는 5단계다. 전날 저녁 6시 이후 마닐라의 니노이 아키노 국제공항과 클락 국제공항이 전면 폐쇄됐으며 화산 분화구 주변 반경 14㎞ 내 거주하는 모든 주민들에게는 대피령이 내려졌다. 로이터는 1만6000여명의 주민과 관광객이 대피했다고 전했다. 또한 필리핀 당국은 13일 수도권과 인근 지역의 모든 관공서와 학교에 각각 휴무령과 휴교령을 내렸고, 민간기업에도 휴업을 권고했다.

필리핀은 ‘불의 고리’로 불리는 환태평양 조산대에 위치해 화산 활동과 지진 피해가 잦은 편이다 칼 화산은 1911년과 1965년 폭발해 각각 1500명, 200명이 사망했다. 하지만 매년 수천 명의 관광객이 탈 화산을 찾아 분화구까지 트래킹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필리핀 지진화산연구소는 “탈 화산에서 위험한 수준의 폭발이 수 시간이나 수일 내로 일어날 수 있다”면서도 “용암 분출이 일어났다고 해서 탈 화산이 위험한 폭발 단계에 진입했다는 뜻은 아니다”고 설명했다. 레나토 솔리돔 소장은 CNN과의 인터뷰에서 “아직 1965년과 1911년, 1754년처럼 폭발이 일어날 징후는 보이지 않는다”면서 “(위험한 분출이 일어나려면) 화산재와 돌, 가스가 시간당 60㎞ 속도로 호수를 가로질러 수평 이동하는 현상이 나타나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필리핀 당국은 13일 아키노 국제공항의 운영 재개를 일부 허락했다. 국제공항은 해당 터미널 이용 항공사들의 동의를 구한 항공편에 대해서만 운항을 재개하고 있다. 항공기 이륙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재개했으며, 착륙은 12시부터 허가가 났다.

비록 공항 운영이 재개됐지만 대다수의 항공편이 예정된 시간보다 지연되고 있다. 필리핀 항공 당국들은 “터미널 관리와 항공기 수용 능력 확보를 위한 작업으로 항공편 간 대기시간이 길어질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일부 항공편의 운항 재개 소식을 들은 탑승객들이 몰리면서 아키노 공항과 클락 공항은 혼잡을 빚고 있다. 탈 화산의 추가 폭발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진 것이 아닌 만큼 최대한 빨리 필리핀을 탈출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한국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 보라카이나 세부 등은 이번 화산 폭발과 거리가 먼 만큼 안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수도 마닐라에서 세부는 약 600㎞, 보라카이는 800㎞ 가량 떨어져있다. 세부 직항과 보라카이 직항 노선은 정상 운항하고 있다.

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국민일보 채널 구독하기]
[취향저격 뉴스는 여기] [의뢰하세요 취재대행소 왱]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