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륜스님의 즉문즉설’, 답은 쉬운데 그걸 문제로 갖는 우리들

[엔터미디어=정덕현] “이 세상에 귀신이 있는 지 없는 지 궁금해요.” tvN 설특집 <법륜스님의 즉문즉설>의 첫 질문자인 6살 아이의 질문은 엉뚱했다. 하지만 이에 대한 법륜스님의 답변은 너무나 쉽고 명쾌했다.

“귀신은 있는 것 같기도 하고 없는 것 같기도 한 게 귀신이야. 왜냐하면 어두운 데 가면 귀신이 보이는 것 같아. 그런데 밝은 데 가면 없는 것 같아. 어릴 때는 있는 것 같아. 어른이 되면 없는 것 같아. 마음이 두려울 때는 있는 것 같은데 마음이 편안하면 없는 겉 같아.... 귀신 만나고 싶어요? 안 만나고 싶어요? 안 만나고 싶어요? 귀신을 안 만나려면 마음을 편안하게 가지고 항상 마음을 밝게 가지면 귀신이 있든지 없든지 상관없어요. 내가 안 만나기 때문에.”

귀신이 있는가 없는가가 문제가 아니라 내가 만날 것인가 안 만날 것인가의 문제라는 것. 아이의 엉뚱한 질문이었지만 그 답변에는 우리네 삶에 대한 통찰이 담겨 있었다. 무언가 두려운 어떤 것이 있을 때 우리가 무얼 들여다봐야 하는가가 그 답변에 들어 있었기 때문이다. 그건 두려운 존재가 아니라 내 자신이라는 것이다.



미국에서 성과주의로 살다 보니 지치고 우울증도 있었고 각성제와 수면제로 버티는 삶을 토로하는 한 질문자. 그는 운명적으로 정해진 일, 즉 소명이란 존재하는가라는 결코 쉽지 않은 질문을 던졌다. 하지만 법륜스님의 답은 너무나 간단했다. 소명이란 없다는 것.

“소명이란 없습니다. 자기가 만드는 거예요. 인생에서 어떻게 살아야 된다고 정해진 길은 없고 어떤 사명 소명이란 것도 없습니다. 그러나 내가 의미를 부여하는 거죠.... 본래 주어진 의미는 없습니다. 자기가 의미를 부여하고 그 의미에 따라 살아가는 것뿐이지.. 그것이 힘들면 그만 두면 되요. 원래는 없는 거니까. 근데 지쳤다는 건 거기에 너무 집착하고 있다는 거예요. 그러니 오히려 내려놓고 편안하게 지내보는 것이 좋아요. 욕심이 많은 것 같아요. 어떤 일을 했기 때문에 지친 게 아니라 지나치게 욕심을 내고 집착을 하기 때문에 자기가 피곤한 거지 외국인들과의 경쟁이나 미국이란 사회하고도 관계가 없어요.” 결국 나를 괴롭히는 건 외부적인 요인이 아니라 나 자신이라고 법륜스님은 말하고 있었다.

백종원 씨가 내 남편이었으면 좋겠다는 엉뚱한 질문에도 스님의 답변은 유머러스하면서도 날카로웠다. “제가 볼 때는 쥐가 계속 쓰레기장만 뒤지면서 음식을 찾다가 어느 날 접시에 자기가 제일 좋아하는 고구마가 딱 얹혀 있어. 햐 나한테도 이럴 때가 있구나 그 안에 뭐 들었을까. 예 쥐약입니다. 다 돌보시는 분들이 있어서 쥐약이 자기한테 안 나타나는 거고 나타나면 쥐약인 줄 알아요.”



남편의 가치를 제대로 보지 않고 있다는 이야기였다. 대화가 안된다는 이야기에도 법륜스님은 말이 대화지 “네가 바꿔라”라는 말이라고 했다. 그런데 안 바뀌니까 남편하고 말하기 싫어진 거라는 것. 스님은 “진정한 대화는 들어주는 것”이라며 관점을 바꿔보라 했다. 그리고 남편만한 남자 찾기 어렵다며 “가능하면 있는 거 다듬어서 쓰는 게 나아요”라고 유머를 담아 답했다.

딸이 가정을 버리다시피 하며 봉사를 많이 해 가슴이 아프고 사위 보기 민망하다는 어머니에게도 스님은 거침이 없었다. 남의 인생에 간섭하지 말라는 것. 이미 독립된 가정을 이루고 있는 달은 남이라고 선을 그었다. 자신은 가정에 충실했다며 딸이 왜 그러는지에 대해 이해를 못하는 어머니에게 스님은 “엄마는 가정에 충실하지 딸은 봉사에 충실한 것”이라며 다를 게 없다고 했다. 그리고 부부지간에 부인이 열심히 봉사하고 남편이 밥을 해준다고 잘못된 건 아니하고 했다. 그러면서 “내 딸인데 잘 살지 않겠냐” 하는 신뢰를 가지라고 했다.



공부를 하려 하는데 계속 핸드폰을 보게 되고 공부를 안하는 게 고민이라는 중학교 2학년된 학생에 대해 스님은 오히려 질문을 던짐으로써 스스로 깨닫게 해주었다. 뜬금없이 아침에 일어날 때 몇 시에 일어나느냐고 물어본 스님은 “일어나야지 일어나야지를 열 번 외치는 건” 잃어나기 싫다는 뜻이라고 했다. 몸이 말은 안듣는다는 학생의 말에 스님은 일어나기 싫어서 안 일어나는 거지 몸하고는 아무 관계없다고 말했다. 그리고 이 비유를 공부에 대한 이야기로 이어갔다. “자기는 누워서 일어나야지 일어나야지 일어나야지 하고 내 누워 있듯이 공부해야지 공부해야지 공부해야지 하고 안하고 있는 거예요.” 그리고 공부하기 싫으면 안해도 괜찮고 대학을 안가도 괜찮다고 했다. 자신처럼. 하지만 대학을 가겠다면 마음을 내서 공부를 하라 했다.

알코올 중독 때문에 인생을 망치고 있다는 심각한 질문도 던져졌다. 스님은 술 자체는 음식이어서 괜찮지만 술을 먹고 취기에 이르는 건 나쁜 건 아니어도 어리석은 일이라고 했다. 그런데 그 어리석은 일이 남에게 해를 끼치면 나쁜 일이 된다는 것. 질문자는 병이기 때문에 술을 먹으면 안 된다고 못 박았다. “독을 자꾸 먹는 습관이 있다면 먹고 죽던지 아니면 더 센 강한 자극을 줘서 자기를 보호하든지 그런 길 밖에 없어요.” 다소 센 답변이었지만 그런 결심이 아니라면 스스로의 인생을 괴롭게 살 수밖에 없을 터였다.



죽음에 대한 질문도 이어졌다. 한 요양원에서 물리치료사로 일하는 질문자는 죽음이 낯설다며 “아름다운 삶의 마무리에 대한 자세”를 물었다. 하지만 스님은 “아름다운 죽음이란 없다”고 먼저 답을 던진 후 다만 그걸 어떻게 받아들이느냐만이 다를 뿐이라고 했다. 즉 늙는 과정을 삶으로 받아들이면 편안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거고 늙는 걸 거부하거나 하면 자꾸 마음이 괴로워진다는 것. 스님은 봄에 꽃피고 가을에 낙엽지는 것이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괴로워야 할 일이 있는 게 아니라 그걸 거스르면 괴로운 일이 생긴다”고 했다. 죽음이라는 피할 수 없는 고통을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는가에 대한 명쾌한 답변이었다.

설 특집으로 마련된 <법륜스님의 즉문즉설> 1회는 굉장히 독하고 때론 엉뚱한 질문이 나왔지만 의외로 스님의 답변은 너무나 간단하고 쉬웠다. 그건 무얼 말해주는 걸까. 어쩌면 우리가 삶에서 겪는 많은 이들이 자연스러운 것들이지만 우리 스스로 그걸 자연스럽게 받아들이지 못해서 많은 고민과 고통을 겪고 있다는 것이 아닐까. 마음을 조금 내려놓거나 관점을 조금 바꾸는 것만으로도 쉽게 해결될 수 있는 일들에 우리가 너무 집착하고 있었던 건 아닌지. 스님의 ‘즉설’은 그 간단함만으로도 그걸 말해주고 있었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저작권자 ⓒ '대중문화컨텐츠 전문가그룹' 엔터미디어(www.enter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저작권자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