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위편삼절 읍참마속

위편삼절과 읍참마속

 

1한자,

2한자음뜻,

3겉뜻

4속뜻,

5동의어,2개정도

6반대어,2개정도

7문장활용,2개정도

8유래

 

이것좀 가르쳐주셍용 ~~!!! 내공많이드려염!!!

간단하고 명확하게 해주세요

유래는 옛날이야기 형식으로 해주시면 좋아염

내 프로필 이미지
  • 질문수21
  • 채택률90.5%
  • 마감률100.0%
닉네임비공개
작성일2009.08.17 조회수 5,748
질문자 채택
1번째 답변
bhja****
채택답변수 1,996받은감사수 2
물신
프로필 사진

전통 예절, 의식 74위, 문화재 13위, 세시풍속, 명절 32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프로필 더보기

⊙ 위편삼절(韋編三絶) -

 

1. 한자 - 韋編三絶

 

2. 한자음뜻 - 韋 가죽 위/ 編 역을 편/ 三 석 삼/絶 끊어질 절/

 

3. 겉뜻 - 가죽끈으로 맨 책이 세 번이나 닳아 끊어졌다.

 

4. 속뜻 - 한가지 책을 되풀이하여 숙독(熟讀)하며 열심히 읽음을 이르는 말.

 

5. 동의어, 2개정도  -
① 위편삭절(韋編數絶) - 책을 열심히 읽다보니 책갈피가 자주 끊겼다.
② 형설지공(螢雪之功) - 반딧불과 눈을 밝은 빗으로 책을 읽어 성공하다.

 

6. 반대어, 2개정도  -
① 위편무절(韋編無絶) - 책 일기를 게을리 하니 책갈피가 새것이다.
② 독서권로(讀書倦勞) - 책 일기를  싫어하여 피로(疲勞)함

 

7. 문장활용, 2개정도  -
① 김 국장의 책 읽은 정성은 위편삼절(韋編三絶)로도 비유가 안 된다.
② 공자가 늦은 나이에 주역을 좋아하여 주역을 읽으니,  가죽끈이 세 번 끊어질 정도였다.

 

8. 유래 - 사기(史記) 공자세가(孔子世家) - 위편(韋編)은 가죽으로 맨 책끈을 말하는데, 그 가죽끈이 세 번이나 닳아 끊어졌다는 뜻이다.  사기에 이런 구절이 있다. 공자가 늦은 나이에 주역을 좋아하여 주역을 읽으니,  가죽끈이 세 번 끊어질 정도였다 (孔子晩而喜易 讀易 韋編三絶)  이 고사는 공자와 같은 성인도 학문 연구를 위해서는 피나는 노력을 한다는 비유이다. 또한, 후인들의 학문에 대한 열의와 노력을 나타내는 말로도 인용된다.

 


⊙ 읍참마속(泣斬馬謖) - 사사로운 감정을 버리고 엄정히 법을 지켜 기강을 바로 세우는 일

1. 한자 - 泣斬馬謖

 

2. 한자음뜻 泣 -울 읍/ 斬 벨 참/ 馬 말 마/ 謖 일어날 속/

 

3. 겉뜻 - 눈물을 먹음 고 마속의 목을 벰.

 

4. 속뜻 - 큰 목적을 위하여 자기가 아끼는 사람을 버림을 이르는 말.

 

5. 동의어, 2 개정도 -
① 읍참지친(泣斬至親) - 눈물을 먹음 고 죄가 있는 가까운 친척의 목을 배다.
② 백참충신(백참충신) - 죄를 물어 충신의 목을 백 번이나 밴다.

 

6. 반대어, 2 개정도 -
① 불참죄인(不斬罪人) -죄인의 목을 배지 않는다.
② 망참반역(忘斬叛逆) - 모반한 죄인의 목을 배는 것을 잊어버렸다.

 

7. 문장활용, 2 개정도 -
① 사사로운 감정을 버리고 엄정히 법을 지켜 기강을 바로 세우려면 읍참마속을 해야한다.
② 큰 목적을 위하여 자기가 아끼는 사람을 버림을 읍참마속 이라고 비유한다.

 

8. 유래 -  울며 마속(馬謖)의 목을 벤다는 뜻으로 촉지(蜀誌) 〈마속전(馬謖傳)〉에 나오는 말이다. 촉(蜀)나라의 제갈 량(諸葛亮)은 가정(街亭)의 싸움에서 자기의 명령·지시를 따르지 않고 제멋대로 싸우다가 패한 부장(部將) 마속을, 그 전날의 공과 두터운 친분에도 불구하고 울며 목을 베어 전군의 본보기로 삼았다는 고사에서 비롯되었다.


 

알아두세요!

위 답변은 답변작성자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포인트 선물할 때 참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