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업체 '실시간 수업'에 28만8천명 몰려…사실상 '온라인 학교'
학생들에게는 이미 익숙…고교학점제 시행되면 수요 더 늘듯
학교 개학연기 '온라인 수업' 활성화 계기 될까…교육계 '주목'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한 개학 연기가 초·중·고등학교 온라인 수업을 활성화하는 계기가 될지 주목된다.

교육부는 개학이 2일에서 23일로 늦춰지며 발생한 '수업결손' 보완 대책으로 온라인 수업을 내놨다.

특히 다음 주부터는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 운영하는 'e학습터'나 EBS의 '온라인 클래스' 등을 이용해 온라인으로 교사가 학생에게 예습 거리를 내주고 피드백해주는 '온라인 학급'을 구축해 운영한다.

7일 교육계에서는 개학이 연기돼 수업이 없는 기간이 15일로 초중고 최소 법정 수업일수(190일)의 10% 가까이 돼 온라인 수업을 활용하는 것이 불가피한 상황이라 이번 개학 연기가 의도치 않게 온라인 수업에 대한 거부감을 낮출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학생들은 이미 온라인 수업에 익숙하다.

대학입시를 앞둔 수험생이 여러 온라인강의사이트에서 잘 가르친다고 소문난 이른바 '1타 강사'의 온라인 수업을 골라 들으며 자신만의 '커리큘럼'을 만드는 일은 이제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다.

입시업체 이투스교육에 따르면 학교 개학이 늦춰진 데 맞춰 이 업체가 진행한 '온라인 라이브 클래스'는 첫날인 2일 이용자가 10만7천여명에 달했다.

5일까지 나흘간 누적 이용자는 28만8천75명으로 집계됐다.

이투스교육의 온라인 라이브 클래스는 오전 9시부터 오후 4시까지 각 과목 강사가 돌아가며 실시간 방송으로 50분짜리 수업 2~3개를 진행하는 방식이다.

사실상 '온라인 학교'였던 셈이다.

교육계는 입시 준비를 위해서가 아닌 중·고등학교 수업을 대체하기 위한 온라인 수업이 도입된 때를 2012년으로 본다.

교육부는 2009년 집중이수제를 도입하면서 학교를 옮기거나 편입한 학생은 학교별로 집중이수 과목이 달라 일부 과목을 이수하지 못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수요가 적어 학교마다 개설하기 어려운 과목을 온라인으로 수강할 수 있게 하고자 2012년 2학기 '과목 단위 온라인 수업'을 도입했다.

이듬해인 2013년에는 초중등교육법 시행령을 고쳐 '교육상 필요한 경우 원격수업 등 정보통신매체를 이용해 수업할 수 있다'는 규정을 마련했다.

한국교육개발원이 2018년 발간한 '고교 교과 선택권 강화를 위한 온라인 수업 개선 방안 연구' 보고서를 보면 온라인 수업을 신청한 학생은 2013년 1학기 708명에서 2018년 2학기 6천131명으로 증가했다.

현재 학생선수 학습보충을 위해서도 온라인 수업이 활용되고 있다.

중·고교 학생선수가 언제, 어디서든 교과수업을 들을 수 있는 '이-스쿨' 이용자는 지난해 4만9천여명(중학생 2만6천556명·고등학생 2만2천534명)에 달했다.

고등학생도 대학생처럼 원하는 수업을 골라 듣고 정해진 학점을 이수하면 졸업을 인정받는 '고교학점제'가 시행되면 온라인 수업은 더 활성화할 전망이다.

고교학점제는 올해 마이스터고서 시작해 2025년 전 고교로 확대될 예정이다.

서울시교육청은 작년 '서울형 고교학점제 운영계획'에서 매우 적은 학생이 수업을 듣기 원하는 과목 등을 온라인 수업으로 개설하겠다고 밝혔다.

온라인 수업 활성화를 위해선 아직 보완할 점이 많다.

2018년 한국교육개발원 연구진이 온라인 수업을 들은 학생 919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수업을 '정기적으로 듣지 않았다'는 학생이 28.7%로 정기적으로 수업을 들었다는 학생(26.7%)보다 많았다.

44.5%는 '보통이다'라는 답을 내놨다.

온라인 수업 교사에게 한 번 이상 질문했다는 학생은 14.3%에 그쳤다.

나머지 85.7%는 온라인 수업을 들으며 단 한 번도 질문하지 않았다.

온라인 수업이 교육과정에 맞춰 단계별로 학습하며 교사와 학생이 상호작용하는 '양질의 수업'이라고 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교육청별로 '온라인 수업 이수 기준'이 다른 점도 해결할 문제다.

2018학년도 1학기 기준으로 서울 등 10개 시·도는 정해진 진도의 3분의 2 이상을 들으면 이수로 인정된다.

인천 등 5개 시·도는 진도율이 70% 이상, 강원은 80% 이상, 부산은 90% 이상이어야 한다.

또 서울 등 10개 시·도는 과제가 없는 반면 부산과 경기 등 7곳은 정해진 진도율을 충족하는 것 외에 과제를 요구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