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뇌염모기 비상…영ㆍ유아 예방 접종 서둘러야

입력
기사원문
권대익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일본뇌염을 일으키는 작은빨간집모기가 올해 첫 발견됐다. 면역력이 약한 영ㆍ유아는 예방 백신을 맞아야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일본뇌염 매개모기인 ‘작은빨간집모기’가 올해 첫 발견되면서 26일 일본뇌염 주의보가 발령됐다. 작은빨간집모기는 전체적으로 암갈색을 띠고 뚜렷한 무늬가 없으며 주둥이의 중앙에 넓은 백색 띠가 있는 소형 모기로 길이는 4.5㎜ 정도다.

일본뇌염은 사람 간 전염이 일어나지 않지만 뇌염에 걸렸을 때 심각한 증상을 보이거나 사망에 이를 위험이 있어 예방 접종 권고 대상이라면 백신을 맞아야 한다.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리면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혈액 내에 전파돼 급성으로 신경계 증상을 일으키는 감염병에 걸리게 된다. 뇌염이 발생하면 사망률이 높고, 회복되더라도 신경계 합병증 발생 비율이 높다.

하지만 작은빨간집모기에 물린다고 해서 무조건 뇌염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를 가지고 있지 않은 작은빨간집모기도 있다.

일본뇌염바이러스에 감염된 모기에 물린 사람의 99% 이상이 증상이 없거나 열을 동반하는 가벼운 증상을 보인다.

하지만 극히 드물게 뇌염으로 악화할 수 있다. 초기에는 열과 두통, 구토, 복통, 지각이상 증상을 보이고 급성기에는 의식장애, 경련, 혼수상태가 되고 심하면 목숨을 잃을 수 있다.

최근 전 세계가 비상사태에 이르도록 만든 코로나19처럼 사람 간 전파가 일어나지는 않는다. 일본뇌염은 일본뇌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돼지를 작은빨간집모기가 흡혈한 후 사람을 물었을 때 전파된다.

일본뇌염 매개모기 유충은 주로 논, 연못, 관개수로, 빗물 고인 웅덩이 등 비교적 깨끗한 물에 서식한다. 모기 구제는 성충보다 유충 시 효과적이니 거주지 주변 웅덩이 등 고인 물을 없애는 것이 모기 방제를 위한 중요한 수칙이다.

면역력이 약한 영ㆍ유아는 감염되면 신경계 합병증 발생 비율이 높고 회복되더라도 심각한 후유증이 생기므로 예방백신을 반드시 접종해야 한다.

일본뇌염 예방 백신은 생후 12개월 시기 영ㆍ유아부터 접종이 가능하다. 영ㆍ유야의 경우 생백신은 2회, 사백신은 5회 접종을 모두 마쳐야 방어면역이 충분히 형성되므로, 접종 완료 시기를 앞당기는 게 좋다.

영ㆍ유아에 접종 가능한 일본뇌염 백신은 종류에 따라 접종 횟수와 스케줄이 다르다. 살아 있는 바이러스 독성을 약화시켜 생산한 생백신은 생후 12개월에 첫 접종하고 12~24개월 후 한 번 더 접종하면 된다. 이르면 생후 24개월 만에 2회 예방접종이 완료된다.

반면, 죽은 바이러스 일부를 이용해 생산한 사백신은 생후 12~35개월에 1~3차 기초 접종 후 만 6세와 만 12세 추가접종으로, 총 5회 접종해야 끝난다.

김기환 인천성모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일본뇌염 예방을 위해 예방 접종은 권장 횟수와 스케줄을 지켜 접종을 끝내는 게 중요하다”며 “접종 횟수가 많아지거나 연령이 높아질수록 예방접종 완료율이 떨어질 수 있다”고 했다.

김 교수는 “접종률이 떨어지면 면역력이 감소할 수 있으므로, 권장 접종 스케줄을 챙기기 어렵다면 접종 횟수가 적은 백신을 고려해 보는 것도 방법”이라고 덧붙였다.

일본뇌염 백신은 쥐 뇌조직이나 햄스터 콩팥세포 등 살아 있는 동물세포를 배양해 만들거나, 실험실에서 베로세포(vero cell)를 배양해 생산한다. 베로세포 배양법이란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백신 생산법의 하나로, 살아 있는 동물 세포를 사용하지 않아 오염 위험이 적고 세포를 일관성 있게 배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국내에 최근 도입된 일본뇌염 백신 중에는 생백신의 접종 편의성 장점과 베로세포 배양법의 장점을 합친 ‘베로세포 배양 생백신(사노피 파스퇴르의 ‘이모젭’)’도 있다. 단, 무료인 다른 백신들과 달리 국가필수예방접종 백신에 포함되지 않아 병ㆍ의원에서 유료로 접종하면 된다.

권대익 의학전문기자

 ▶네이버에서 한국일보 뉴스를 받아보세요

 ▶뉴;잼을 보면 뉴스가 재밌다 [뉴스레터 구독하기]

 ▶한국일보닷컴 바로가기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