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수 할머니, ‘정의연’ 전신 ‘정대협’ 작심비판 왜

입력
수정2020.05.25. 오후 8:49
기사원문
김건호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여성으로서 갖은 수모 당한 위안부 “공장 노동한 정신대와 어떻게 같나”

이용수 할머니는 25일 기자회견에서 정의기억연대(정의연)의 전신인 정신대대책협의회(정대협)에서 위안부 문제와 정신대 두 사례를 묶어 활동한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생명을 걸고 끌려간 위안부가 공장에 갔다 온 정신대 할머니와 합해져 이용당했다”는 것이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92) 할머니가 25일 오후 대구 수성구 만촌동 인터불고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 할머니는 이날 “위안부와 정신대가 어떻게 같으냐. 30년 동안 앉아서 사죄해라 배상해라고 하는데 일본 사람들이 뭔 줄 알아서 사죄하고 배상하느냐”며 “뒤섞어서는 사죄도 하지 말고 안 해도 된다는 거 아니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신대는 남자를 대신해서 노동력 증대 차원으로 징용당한 것이라서 위안부와는 근본적으로 성격이 다르다.

위안부 할머니는 일제강점기에 일본군 위안소로 강제로 끌려가 성폭행당한 여성들을 일컫는 말이다. 정대협 등에서는 정신대와 위안부를 혼용해 사용해 왔으나 엄밀하게는 구분된다. 정신대는 전시체제 아래에서 일본 제국주의의 전투력 강화를 위해 노동력을 제공하는 조직을 지칭하므로 위안부 할머니들에게 사용하기에는 적절한 표현이 아니다.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 평화의소녀상의 모습. 김경호 기자
이 할머니가 이날 정대협에 대해 강도 높게 비판한 것은 정대협이 2015년 한·일 위안부 협상에서 실제 피해자인 위안부 할머니들을 배제했다는 비판과 관련되어 있다. 윤미향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은 당시 정대협의 상임대표였다.

이 할머니는 지난 7일 기자회견에서 “당시 10억엔이 일본에서 들어오는데 (윤미향) 대표만 알고 있었고, 피해자들은 알지 못했다”고 밝혔다. 정의연은 이와 관련해 “합의 발표 전날 당시 외교부가 기밀 유지를 전제로 일방적으로 통보했다며 윤 당선자는 구체적인 액수에 대해 전혀 알지 못했다”고 반박한 상황이다. 이 할머니는 합의 당시 정부 관계자 면담 대화 내용 등의 조속한 공개를 촉구하기도 했다.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위안부 관련 시민활동은 정신대 문제와 함께 논의돼 온 게 사실이다. 1990년 창립된 정대협에서 다뤄온 위안부 문제는 2015년 협상 타결에 반대해 정의기억재단(정의연의 전신)이 만들어지면서 표면상 분리되었지만 이후 2018년 두 단체가 통합해 지금의 정의연으로 출범했다. 정대협과 정의기억재단은 조직을 통합 운영하기로 하면서 당시 정대협 상임대표였던 윤 당선인을 초대 이사장으로 선출했다.
더불어시민당 윤미향 당선인. 연합뉴스
다만 현재까지도 정대협이 별도로 해산 공시를 하지 않은 탓에 두 법인은 여전히 각자 존속하면서 모금과 피해자 지원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일부에서는 이를 근거로 같은 활동을 하면서 두 곳에서 모금활동을 한다고 비판하고 있다.

김건호 기자 scoop3126@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자 프로필

세계일보 산업부에서 IT, 통신, 방송, 게임사, 스타트업을 출입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