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기상청 1,254건

제공처 정보

  • 적도 무역풍이 평년보다 강해지면 서태평양의 해수면과 수온은 평년보다 상승하게 되고, 찬 해수의 용승 현상 때문에 적도 동태평양에서 저수온 현상이 강화되어 엘니뇨의 반대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을 라니냐라고 한다.

  • 기체 상수화학용어사전 이상(異想)기체의 상태식 PV=RT(P는 압력, V는 1 mol의 체적, T는 온도)에서 상수 R이며, 기체의 종류에 따르지 않는 보통 상수. 그 값은 8.3144JK-1mol-1. 기체 상수를 아보가드로수(數)로 나눈 것은 기체분자 1개당의 기체 상수로서, 볼츠만 상수가 된다. 외국어 표기 氣體常數(한자), gas constant(영어) 기체상수화학용어사전 이상기체(理想氣體) 1mol의 상태방정식은 압력을 P, 부피를 V, 절대온도를 T라 할 때 PV=RT로 표시되는데, 이때의 R을 말한다. R은 기체의 종류에 따르지 않는 보통상수이며 따라서 이상기체 1mol을 취하면 R의 값은 8.3144 JK-1mol-1가 된다. 외국어 표기 gas constant(영어) 기체상수영양학사전 물리학상 상수의 하나. 이상기체의 식 pV=nRT(p: 압력, V: 기체 1mol의 체적, n: mol수, T: 절대온도)로 정의되는 R을 말한다. 이 값은 R=8.3144J

  • 1900년대 이후 우리나라에서 관측된 지진해일은 모두 네 차례였으며, 모두 동해의 일본 근해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에 동반된 것이었다. 특히 1983년과 1993년에 발생한 지진해일은 우리나라 동해안에 상당한 피해를 입혔다. 이는 동해의 일본 근해에서 발생한 지진해일이 우리나라에 많은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1983년 5월 26일 일본 아키다현 서쪽 해역에서 발생한 규모 7.7(일본기상청 발표 규모)의 지진으로 일본은 물론 우리나라와 러시아를 포함한 동해상에 큰 지진해일이 발생하였다. 이 지진해일로 인해 일본에서는 지진해일의 해일고가 15m까지 기록되었으며, 러시아에서는 5m, 우리나라 동해안의 임원에서는 3.1m의 해일고를 기록하였다. 주민제보에 의하면 가장 피해가 컸던 임원항에서는 ‘꽝’하는 폭음과 함께 수심 5m의 항구바닥이 드러날 정도로 한꺼번에 물이 빠져나갔다가 10분쯤 후 ‘쏴’하는 소리와 함께 다시 밀려왔다고 한다. 이 지진해일은 5명...

  • 지구 내부에서 암석의 급격한 파괴로 발생하는 지진에 의해 탄성체인 지구 내부 또는 표면을 따라 전파되는 탄성파를 지진파라 한다. 지진파는 전파 특성에 따라 실체파와 표면파로 나눌 수 있다. 실체파는 지구 내부 깊숙이 전파되어 지표에 도달하며, P파와 S파가 있다. P파의 명칭은 가장 먼저 도착한다는 의미인 Primary wave에서 유래되었으며, 지각에서의 전파속도는 5~7km/sec 이다. P파는 어떤 매질을 전파해 갈 때, 전파 방향으로 입자들 사이의 간격을 탄성적으로 압축과 팽창을 반복하여 부피의 변화를 일으킨다. S파의 명칭은 두 번째로 도착한다는 의미인 Secondary wave에서 유래되었으며, P파의 전파속도보다 약 1.7배 느리다. S파는 지진파의 전파 방향에 직각으로 매질을 진동시킴으로써 매질의 모양의 변화를 일으키며, 지진기록에서 P파의 진폭보다 크게 나타난다. 표면파는 지구의 표면을 따라 전파되며, 레일리파와 러브파가 있다. 레일리파가 전파할 때, 지표

  • 시베리아·유럽·소련·알래스카·캐나다 등의 북극해 연안 툰드라기후 지역 일대의 수목이 없는 평야 지대를 말한다. 낮은 언덕 내부는 영구동토이고, 표층만이 짧은 여름 동안에 녹아서 이끼 종류가 무성하고 낮은 관목이 섞여서 자란다. 긴 겨울 기간은 빙설로 덮여 있다. '툰드라'라는 용어는 핀란드어로 '수목이 없다'는 뜻이다. 아한대기후와 달리 여름의 기온이 올라가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가장 따뜻한 달의 평균기온이 0℃ 이상, 10℃ 이하이다. 겨울에는 혹한이 지속되며 기온이 -45℃ 이하가 되는 날도 있다.

  • 분해능환경공학용어사전 (1) 현미경이나 망원경 등의 최소 식별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서, 접근해 있는 2개의 광원을 식별할 수 있는 최소의 거리 또는 시각을 말한다. 시각은 빛의 파장에 비례하므로 파장이 짧은 빛을 사용하면 분해능을 좋게 할 수 있다. (2) 분광기에서는 접근한 2개의 스펙트럼선을 분리하는 능력을 말하며, 분해능은 프리즘보다 회절격자가 매우 좋다. 외국어 표기 resolving power(영어), 分解能(한자) 참조어 전자 현미경(electron microscope) 분해능Basic 고교생을 위한 물리 용어사전 분해능은 가까이 붙어 있는 두 물체를 분리시켜 볼 수 있는 능력을 말한다. 먼 곳에 있는 두 물체가 망원경과 이루는 각을 분해각이라고 하는데, 두 물체가 분리되어 보이는 최소의 분해각이 그 망원경의 분해능이다. 대물 렌즈의 지름이 커지면 분해능이 커져 더 세밀한 관찰이 가능하다. 외국어 표기 分解能(한자) 분해능비파괴 검사 용어사전 탐촉자로부터의 거리

  • 유라시아판 동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한반도는 판의 경계로부터 수백km 떨어진 판내 지역에 속하며, 한반도와 그 주변에서 발생하는 지진들을 판내 지진이라 부른다. 일반적으로 판내 지진의 특성은 지진 발생이 시공간적으로 산만한 분포를 보이며, 판 경계 지진에 비해 상대적으로 발생빈도가 작고 규모도 작은 편이다. 한반도의 지진활동에 대한 지진자료는 지진계가 발명되기 이전인 19세기까지의 역사문헌에 서술되어 있는 역사지진자료와 19세기 이후 아날로그를 포함한 디지털 지진계에 기록된 계기지진자료로 구분할 수 있다. 역사기록에 의하면 한반도에서도 수많은 지진이 발생하였음을 알 수 있으며, 이들 중 최소한 40회는 인명 및 재산 피해기록이 있는 대규모 지진으로 추정된다.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증보문헌비고 등의 사료에서 수집한 자료를 이용하여 작성한 한반도의 역사지진목록에 의하면 서기 2년부터 1904년까지 한반도의 역사지진자료는 총 1...

  • 아열대고압대기상백과 남·북위 30∼35° 사이에 띠 모양으로 자리잡은 기압이 높은 지역을 말한다. 중위도고압대라고도 하며, 연중 하강기류가 있어서 습도가 낮고 날씨가 좋다. 세계 사막 지역의 대부분이 이 고압대의 영향을 받아 형성된 것이다. 아열대고기압은 아열대 해양 상에서 주로 발달한 키가 큰 고기압으로 대기대순환에 의한 역학적 원인으로 발생한다. 외국어 표기 subtropical high-pressure zone(영어) 아열대고압대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일련의 아열대고기압에 의하여 형성된 고압대를 말하며, 아열대(기압)마루라고도 하고, 남북 양반구의 위도 30° 부근을 중심으로한 기압이 높은 지대임. 외국어 표기 subtropical high-pressure belt (or ridge)(영어), 亞熱帶高壓帶(한자), あねったいこうあつたい(일본어)

  • 단층해양용어사전 암석이나 지층에 생긴 틈을 경계로 그 양측의 지괴가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미끄러져 어긋난 것을 단층이라 한다. 단층은 단층면의 경사, 상하반의 이동방향, 퇴적암에 대한 단층의 주향 등에 따라 정단층(normal fault), 역단층(reverse fault), 변환단층(transform fault) 등 여러 가지로 구분된다. 외국어 표기 斷層(한자), fault(영어) 참조어 정단층, 역단층 단층Basic 중학생이 알아야 할 사회· 과학상식 수평으로 퇴적된 지층이 압력을 받아 끊어진 것. 좌우로 당기는 장력을 받아 끊어져 상반이 내려간 지질 구조를 정단층, 횡압력을 받아 끊어진 단면이 올라간 지질 구조를 역단층이라 한다. 외국어 표기 斷層(한자) 단층농업용어사전: 농촌진흥청 일정한 화석종(化石種)들에 의해 특징 지워지며, 일정한 시대에 형성된 퇴적물의 비교적 분명한 특성을 지닌 토양의 층. 외국어 표기 horizon(영어), fault(영어), 斷層(한자),

  • 태양은 표면 온도가 6,000 ℃이고, 중심부의 온도는 약 1,500만 ℃에 이르러 막대한 양의 열과 빛을 내놓는다. 그러나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약 1억 5,000만km 떨어져 있기 때문에, 지구에 이르는 태양복사에너지의 양(태양상수)은 약 2cal에 지나지 않는다. 태양복사에너지는 수소가 원자핵 융합 반응에 의해 헬륨으로 변할 때 생기는 질량 결손에 의한 에너지이다. 이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필요한 에너지의 근원일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기상 현상이나 바다에서 해류의 원동력이 되기도 한다.

  • 태풍의 진행 방향에 대해서 오른쪽 반원을 위험 반원, 왼쪽 반원을 가항 반원이라 한다. 위험 반원에서는 태풍의 풍향과 일반류의 바람(무역풍, 편서풍)의 풍향이 비슷하여 풍속이 더 증가하고 가항 반원에서는 태풍의 풍향과 일반류의 바람이 서로 상쇄되므로 폭풍의 정도는 비교적 약하다. 그러므로 항해 중 태풍을 만나게 될 경우, 가항 반원 쪽으로 가야 피해를 줄일 수 있다. 일례로 1959년의 사라호와 1987년의 셀마호는 경남 내륙 지방을 통과하였는데 부산, 진주를 포함한 경남 해안 지방에 막대한 피해를 준 것은 바로 위험 반원에 놓여 있었기 때문이다. 특히 1995년 7월 23일 충무, 여수를 통과한 태풍 패이는 사라호에 버금가는 935hPa의 A급 태풍으로 시속 35km의 빠른 속도로 북상하면서 위험 반원에 놓였던 진주, 산청 등지에 많은 피해를 주었으며 주로 비보다는 강풍에 의한 피해가 더 심하였던 특이한 태풍이었다.

  • 1. 태풍의 예보 태풍의 진로나 이동속도를 정확히 예상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이다. 현재의 진도된 기상학과 컴퓨터를 이용한 태풍진로 예보는 크게 향상되었으나 24시간 예보의 평균 오차범위는 190km 내외로 아직까지 완전한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태풍예보는 선진국과 같이 예보모델에 의한 수치예보 자료와 통계에 의한 예보방법 등을 사용하고 있으나 한반도에 접근하는 태풍은 진로변화가 심한 북위 25°∼30° 부근의 전향점을 거쳐 북상하기 때문에 태풍진로와 장시간 예보는 더욱 어려워 진다. 2. 태풍의 예상진로 표시와 이용법 • 태풍 예상진로 태풍의 예보는 정확히 선이나 점으로 경로나 위치를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나, 오차를 고려하여 확률원으로 나타낸다. 우리나라는 태풍 예상시 12시간, 24시간, 36시간후의 예상위치 범위를 발표한다. 그러나 태풍의 움직임이 매우 불규칙적이고, 진로나 이동 속도가 종종 변경될 때에는 컴퓨터도 인간의 두뇌와...

  • 해양 연구에 있어서 해수의 밀도 변화는 매우 중요하다. 이는 해수의 밀도분포가 해수의 운동을 유발하기 때문인데 밀도는 수온이 증가하면 감소하고, 염분과 수압이 증가하면 증가한다. 해양 표면의 염분과 수온의 분포는 지리적인 위치와 기후의 영향을 받아 변화하며 밀도변화에 대한 이들의 영향은 수압에 의한 영향보다 훨씬 크다. 해수의 밀도는 수온과 염분, 수압의 함수로서 일반적으로 1.020~1.031g/cm3 정도로 깊이가 증가하면 밀도도 증가한다. 수온이 낮을수록 커지고 염분이 높을수록 커지기에 표면 해수가 냉각되거나 염분이 높아져 밀도가 증가하면 무거워져서 해수의 연직 순환이 시작된다. 해수의 연직운동은 해양 내부의 밀도분포에 따라 나타나는 연직방향의 물의 안정도에 따라 좌우되기에 주변의 물보다 밀도가 큰 수괴는 침강하여 자신과 같은 밀도를 갖는 층까지 하강한다. 해수의 밀도가 상층보다 하층쪽이 클 경우에는 안정된 성층(成層)을 유지하게 되지만 상층이 갑자기...

  • 공기밀도기상백과 단위 부피 중에 포함된 공기의 질량을 말한다. 공기는 거의 일정한 성분으로 조성된 혼합기체이지만, 수증기는 변동이 큰 성분의 하나이다. 같은 온도, 같은 압력 아래에서는 습윤공기의 밀도가 건조공기의 밀도보다 작다. 외국어 표기 air density(영어) 공기밀도지구과학사전 단위 체적 당 공기 질량을 말한다. 0°C와 1000 hPa에서의 공기 밀도는 약 1.275 kg/m3이다. 공기밀도는 지면에서 가장 크며 고도에 따라 감소한다. 외국어 표기 空氣密度(한자), air density(영어) 공기 밀도토목용어사전 공기의 밀도. 1기압 15℃ 일 때 0.001226g/㎤. 공기의 관성력을 평가하는 데 중요한 물리량이다. 외국어 표기 air density(영어), 空氣密度(한자) 공기밀도항공우주공학용어사전 주어진 체적에서 공기의 질량. 공기의 밀도. 외국어 표기 air density(영어)

  • 절대 습도체육학대사전 공기 중에 현존하는 수증기의 양. 1㎥의 공기 속에 존재하는 g 단위의 수증기 양에 의해서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습도는 상대 습도(%) 또는 비습(比濕)으로 표시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것은 어떤 기온하에서 수증기가 포화된 상태에서의 절대 습도와의 비(比)이다. 따라서 상대 습도는 포화(최대) 수증기압에 대한 현존 수증기압의 비이기도 하다. 외국어 표기 絶對濕度(한자), absolute Feuchtigkeit(독일어) 분야 보건, 위생 절대 습도인테리어 용어사전 기상학에서는 용적 단위의 절대 습도 σ(g/m2, g/cm3)를 말함. 즉, 습한공기 1m3 속의 수증기 중량 g를 말한다. 기계 설비 방면에서는 중량단위 절대 습도 χ㎏/㎏ㆍdry air를 말함. 즉, 건조 공기 1㎏와 혼합되어 있는 수증기의 중량(humidity ratio, specific humidity)을 말한다. 외국어 표기 absolute humidity(영어), 絶對濕度(한자) 절대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