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철환의 음악동네>오디션 오른 ‘무늬만 현역 가수’의 비애… 눈물이 길을 열어주기를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진해성 ‘사랑 반 눈물 반’

“모든 방송 매체가 트로트로 몰려가는 이 상황이 좀 웃기네.” “2020년의 현상입니다. 너그러이 해량하소서.” “웃긴다는 거지 화를 내는 건 아니야.” 송골매 출신 DJ 배철수와 문자를 주고받다가 불현듯 방송사 회의실 풍경이 떠올랐다. “꿩 잡는 것이 매다.” 아침회의에서 부장님은 매의 눈으로 이 속담을 인용했다. 시청률이 잘 나온 PD의 별명은 송골매, 그 반대의 경우는 그냥 매 맞는 표정으로 훈시를 들어야 했다.

이번 주 편성표를 보자. ‘밤이면 밤마다’ 트로트 오디션의 행진이다. 수요일엔 ‘트롯신이 떴다’(SBS), 목요일엔 ‘미스 트롯2’(TV조선), 금요일엔 ‘트로트의 민족’(MBC), 토요일엔 ‘트롯전국체전’(KBS2). 시작한 쪽은 ‘오리지널의 힘’을 내세운다. 그렇다면 나머지는 부화뇌동인가, 김 빼기 작전인가. 제작진은 ‘시청률 높은데 자존심이 무슨?’, 광고주는 ‘매출 높으면 됐지 다양성은 무슨?’일 수 있다. 느긋한 건 시청자다. 그들은 의리로 보는 게 아니다. 재밌으니 보는 거다. 감탄, 감동이 사라지는 순간 그들은 썰물처럼 빠져나간다. 아무 일 없었다는 듯 그들은 생활의 현장으로 돌아갈 거다.

유행은 그런 것이다. 이제 나는 출연자의 심정으로 이 사태(?)를 관망한다. 그들은 절박하다. 부르고 싶다. 부르고 싶은데 불러주는 데가 없다. 절벽에 서본 사람만이 그 마음을 이해할 것이다. 무대가 고픈 이들에게 오디션 프로그램은 오아시스다. 하지만 누구나 그 물을 맛보는 건 아니다. 그날 그 자리에서 자기에게 맞는 노래로 최선을 다했을 때 ‘바로 이 맛이야’가 나온다. 대진 운도 따라야 한다. “저 사람만 나오지 않았다면 내가 그 자리를 차지할 텐데….”

주철환 프로듀서·작가·노래채집가


후발주자인 ‘트롯전국체전’(KBS2)에도 수많은 사연을 지닌 기성, 신인이 나와 기량을 뽐냈다. ‘돌고 돌아가는 길’(원곡 노사연)을 부른 반가희는 1974년생이다. ‘가요무대’(KBS1)에도 자주 등장하는 가수인데 ‘메소드 창법’이 특징이다. 기계처럼 부르는 게 아니라 노래 속에 자신을 완전히 집어넣고 부른다. 그날 부른 노래 가사가 그의 복잡한 심정을 대변했다. ‘산 넘어 넘어 돌고 돌아’ ‘강 건너 건너 흘러 흘러’ ‘발밑에는 동그라미 수북하고’ ‘이내 몸은 그 안에서 흘렀네’ ‘동그라미 돌더라도 아니 가면 어이해’ ‘그 물 좋고 그 뫼 좋아 어이해도 가야겠네’ ‘내 꿈 찾아 가야겠네’ 재야의 고수라는 말을 듣는 이들은 솔직히 억울할 거다. 그들은 재야에 있고 싶어서 있겠는가.

눈물은 두 가지 속성을 지녔다. 일시적으론 눈물이 앞을 가리지만 때론 앞길을 열어주기도 한다. 눈물이 사람을 감동시키기 때문이다. ‘미스터 트롯’을 보면서 ‘만약 이 사람이 나왔으면 판도가 좀 달라졌을 텐데’하는 가수가 몇 명 있었는데 그중 하나가 ‘사랑 반 눈물 반’의 진해성(1990년생)이다. 나이는 임영웅보다 한 살 많은데 가창력이 어마어마하다. 콘서트 전석매진 경력까지 지니고 있는 그가 ‘트롯전국체전’에 나왔다. “무늬만 현역 가수지 사람들이 모른다. 10년을 하든 20년을 하든 티가 안 난다. 욕심이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는데 오디션 프로그램 아니면 트로트 가수로서 이름을 알릴 기회가 없다.”

위기가 기회라지만 사실은 기회 또한 위기다. 그가 서 있는 문은 기회의 문일 수도 있고 위기의 문일 수도 있다. ‘내 마음은 호수요’로 유명한 시인 김동명은 ‘당신이 만약 내게 문을 열어주시면’(1923)으로 등단했다. 출연자들이 이 시를 읊을 때 심사위원들은 박강성의 노래 ‘문밖에 있는 그대’를 들으면 어떨까. ‘문밖에 있는 그대 눈물을 거둬요/ 가슴 아픈 사랑을 이제는 잊어요’ 출연자에겐 ‘오늘은 져도 내일은 이긴다’는 주문이 필수다. 해를 보라. 지고 다시 뜨지 않나. 꽃을 보라. 지고 다시 피지 않나. 해는 매일 지고 꽃도 매년 지는데 평생에 몇 번 지는 걸 갖고 뭘 그러나.

프로듀서·작가

노래채집가

[ 문화닷컴 바로가기 | 문화일보가 직접 편집한 뉴스 채널 | 모바일 웹 ]


[Copyrightⓒmunhwa.com '대한민국 오후를 여는 유일석간 문화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구독신청:02)3701-5555)]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