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덕 신공항](하) 활주로에 고추?…수요 창출·교통망 구축이 핵심

입력
수정2021.01.02. 오전 7:35
기사원문
손형주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활주로 변경 기술 용역 착수…환경·태풍·연약지반·사업비 문제 검증대에

부산신항과 가덕도
[연합뉴스 자료사진]


(부산=연합뉴스) 손형주 기자 = "활주로에 고추를 말릴 수도 있다."

가덕도 신공항을 둘러싼 논란 중 지역민들의 귀에 가장 거슬리는 말이다.

이에 지역민들과 지역 정치권은 인천공항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한해 1천만명의 국제선 이용객이 이용한 김해국제공항의 기능을 이전하는 것인데 지역을 무시하는 망언이라며 반발한다.

그렇다면 가덕도 신공항은 우리나라 제2관문공항 역할을 할수 있을까.

부산신항과 가덕신공항 복합물류 조감도
[송영길 의원 제공]


"선거용 오명은 어떡하고…" 가덕도 신공항 건설을 향한 첫발을 뛰게 된다고 하더라도 제2관문 공항 역할을 하려면 넘어야 할 과제가 많다.

우선 선거용 공항이라는 수도권과 대구·경북 여론을 돌리는 것이 관건이다.

가덕도 신공항이 지역민을 위한 지방공항이 아닌 관문공항으로 나아가려면 부·울·경을 제외한 다른 지역의 지지없이 건설되기 힘들다.

부·울·경은 국가균형발전이란 측면에서 가덕도 신공항이 조속히 건설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부산시 자체 조사 결과에 따르면 가덕도 신공항 건설에 따른 생산유발효과는 88조9천420억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37조2천억원, 취업유발 효과는 53만6천453명에 이른다.

가덕도 신공항이 인천공항에 이은 제2 관문공항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건설되려면 철도·도로 등 교통망 확충과 구체적인 이용객과 항공물류 수요 예측이 필수다.

부산시는 '기존 조사에서 보듯 수요는 충분하다'는 입장이지만 김해국제공항처럼 가덕신공항이 저비용항공사 거점 공항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가 항공업계 일각에서 제기된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24시간 공항이 생긴다고 해서 미주노선과 유럽노선이 다수 생긴다고 단정할 수 없다"며 "수요는 지금 당장 예측할 수 없지만, 항공사 경영 효율성 측면에서 보면 한 국가에 한개의 거점 공항이 운영되는 것이 좋기 때문에 외항사와 국내 대형항공사가 적극적으로 노선 개설에 나설지 미지수다"고 말했다.

신공항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기 때문에 가덕신공항이 일본 수요까지 흡수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부산시 신공항추진본부 관계자는 "지금도 동남권 신공항 유럽, 미주 노선 수요는 충분히 있는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한다"며 "항공 수요라는 것은 계속 늘어나고 있고 지리적으로 일본 규슈지역 항공 수요까지 끌어들일 수 있는 가능성도 있다"고 설명했다.

부산시와 민주당은 가덕신공항은 부산 신항과 연계한 물류허브 공항으로 큰 장점이 있기 때문에 단순히 지금의 김해공항과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말한다.

민주당 이낙연 대표는 "동남권 산업단지에서 나온 항공 물류가 처리되지 못하고 인천공항까지 가서 처리되는 게 99%이고, 거기에 드는 물류비용만 7천억원이 든다는 통계가 있다"며 "그 돈만 10년 아껴도 공항 하나 만들 돈이 나온다"고 가덕도 신공항에 힘을 싣는 발언을 한 적도 있다.

2020년 부산시 가덕신공항 수정안
(부산=연합뉴스) 2016년 영남권 신공항 타당성 조사 당시 프랑스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의 가덕신공항 안을 일부 수정한 2020년 부산시 가덕신공항 수정안. 2020.11.17 [부산시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wink@yna.co.kr


교통망 확충, 사업비·환경 문제는? 가덕도 신공항 건설을 위해선 부족한 교통망 확충도 주요 과제 중 하나다.

부산시는 현재 추진 중인 광역교통망 구축사업이 완성되면 영남권 주요 도시에서 1시간 내 접근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

가덕신공항이 건설되면 광역교통망 구축사업이 더 탄력을 받아 접근성 문제는 자연스럽게 해결될 것으로 기대한다.

핵심은 철도망 연결이다.

부·울·경이 기존에 운영되거나 계획된 동해선, 부전~마산 복선전철을 부산신항 배후철도까지 연결하고 또 이를 가덕도 신공항까지 철도로 연결하면 부산 부전역에서 23분, 울산 태화강역에서 59분, 경남 진주에서 48분이 걸린다고 부산시는 예측했다.

막대한 사업비 문제, 환경문제도 걸림돌이다. 환경단체 반발도 예상된다.

부산시는 국가용역과 별개로 가덕신공항 최적안 마련을 위한 기술검토용역과 동남권 관문공항 조류 현황조사·조류충돌 위험 저감방안 연구를 준비하고 있다.

부산시가 전문가에게 자문받아 세운 계획은 활주로 방향을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i)이 사전타당성 조사 때 수립했던 안보다 20도 남쪽으로 틀어 해상 매립 비율을 75%에서 43%로 대폭 낮추는 것이다.

기존 육상면적 비율이 25%에서 47%로 늘어나지만 가덕도 남부 산을 모두 깎아야 하기 때문에 환경훼손 문제는 여전하다.

부산시는 "변경된 계획은 연약지반이라는 단점을 극복하고 매립에 따른 비용도 줄여 사업비도 김해신공항 수준인 7조5천억원으로 줄일 수있다"라고 말한다.

하지만 어디까지는 전문가 자문을 받은 계획 수준이기 때문에 시는 자체 기술검증 용역으로 이를 명확히 검증해 향후 발생할 수 있는 논란을 불식시켜야 한다.

부산시 신공항추진단 관계자는 "기술용역 발주로 가덕도 신공항이 최적 입지라는 근거와 타당성을 마련할 계획"이라며 "정부 용역으로 진행될 가덕 신공항 건설 적정성 검토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handbrother@yna.co.kr

▶네이버에서도 뉴스는 연합뉴스[구독 클릭]
▶[팩트체크]검찰총장의 '벌금수배 해제'는 월권?
▶제보하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https://www.yna.co.kr/),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