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충주지씨 어디파 ㆍ몇대손 인지 알고싶어요

친부 지 0철
본인 지 0근
애들 지 0환

궁금합니다

내 프로필 이미지
  • 질문수10
  • 채택률22.2%
  • 마감률22.2%
닉네임지은선
작성일2020.11.29 조회수 308
답변하시면 내공 10점을 답변이 채택되면 내공 25점을 드립니다.
1번째 답변
ryul****
채택답변수 1만+받은감사수 301
수호신
프로필 사진

전통 예절, 의식 1위, 사회문화 1위, 폭행 15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프로필 더보기

님의 질문에 답변을 드립니다.

충주지씨 돌림자을 알고 싶어서요

저희 조부님은 원자돌림

아버지는 영자 돌림

저는 돌림자을바꿔서 썻는데

제아들은 돌림자가 어떻게 될까요

내공 50드려요

답변 : 님은 충주 지씨(忠州 池氏) 주서공파(注書公派) 인것 같습니다.

충주 지씨(忠州 池氏) 대동 항렬표 또는 주서공파(注書公派) 또는 충성공파 항렬표와 비슷한 돌림자에는,

조부님 : 38세 철(澈)자 돌림이라 하셨고,

부친님 : 39세 순(淳)자 돌림이라 하셨으며,

​님은 : 40세손 환(煥)자 돌림입니다,

님은 충주 지씨 뼈대 있는 가문의 후손이시니 자긍심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한글과 한문을 병용합니다. 한문과 한글을 같이 쓰는 이유는 한문은 여러자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점 양해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충주 지씨 정보및 파별 항렬표를 올려드릴테니 님도 한번 대조해 보시기 바랍니다.

아래는 충주 지씨에 대한 정보입니다.

충주 지씨(忠州 池氏)에 대(對)하여

1. 충주 지씨(忠州 池氏) 시조(始祖) : 지경(池鏡)

2. 충주 지씨(忠州 池氏) 유래(由來) :​

충주 지씨(忠州 池氏) 시조(始祖) 지경(池鏡, 903~1003, 시호(諡號)는 선의, 자는 자운, 호는 암곡) 의하면 중국(中國) 송(宋)나라 홍농(弘農) 사람으로 960년(광종 11) 태학사(太學士)로 봉사관(奉使官)이 되어 고려(高麗)에 사신으로 왔다가 정착(定着)하여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태보평장사(太保平章事)에 이르렀다. 그의 6세손 지종해(池宗海)가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지낸 후(後) 충원백(忠原伯: 충주의 옛 지명)에 봉(封)해졌다. 후손(後孫)들이 지경(池鏡)을 시조(始祖)로 하고 충주(忠州)를 본관(本貫)으로 삼아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묘소 : 시조(始祖) 지경(池鏡)의 묘(墓)는 평안도 중화 당악산 화산정에 있다.

3. 충주 지씨(忠州 池氏) 계파(系派)

충주 지씨(忠州 池氏)의 세계는 크게 11파로 나뉘고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대소 40여 파로 분파된다. 11대파는 충의군파(忠義君派)·충무공파(忠武公派)·충의공파(忠義公派)·감찰공파(監察公派)·판관공파(判官公派)·주서공파(注書公派)·태학사공파(太學士公派)·판형공파(判形公派)·주서명천공파(注書明川公派)·봉사영흥공파(奉事靈興公派)·낭장공파(左營公派) 등이다.

그중 충의군파(忠義君派)·충무공파(忠武公派)·충의공파(忠義公派)에서 많은 인물이 나왔으며, 전체인구가 특히 충의군파(忠義君派)가 전체 충주지씨의 80%를 차지한다.

고려에 36명이 정승에 버금가는 평자사의 고위직을 역임했다. 조선에 문과급제자 12명, 진사 75명과 많은 무장을 배출하였는데, 이들 3파가 사실상 충주지씨의 주축을 이루었다.

4. 충주 지씨(忠州 池氏) 계파(系派)​

현감공파,익안군파,덕산공파,교수공파,경역공파

5. 충주 지씨(忠州 池氏) 분파(分派)​

참의공윤원파, 충성군계준파, 경력공윤온파, 소윤공호파, 현령공명파, 익안군대파, 감역공을현파, 군사공덕용파, 태학사공용하파, 주서공정파, 찬성공윤파, 상원수공용도파, 절제공봉원파, 상원수공용수파, 군사공백파, 감찰공결초파 등

6. 충주 지씨(忠州 池氏)를 번성(蕃盛) 시킨 인물(人物)​

충주 지씨(忠州 池氏)는 고려초(光宗 11年:960)부터 중앙(中央)의 지배계급(支配階級)으로 정착(定着)하여 대대(代代)로 많은 人物을 배출하고 고려말(高麗末)까지 세록구신(世祿舊臣)으로 벼슬이 끊이지 않아 고려조(高麗朝)에만 36평장사(平章事)와 24대장군(大將軍)을 배출한 명문(名門)으로 특히 지씨려말사걸(池氏麗末四傑)이라 일컬는 찬성사(贊成事) 지윤(池奫:李成桂의 長男 鎭安大君의 丈人)과 시중평장사(侍中平章事) 지환(池桓)의 아들 상원수(上元帥) 지용도(池龍圖-忠懿公), 상원수 지용수(池龍壽-忠武公) 형제 그리고, 판호조사(判戶曺事) 지복룡(池福龍)의 아들 충원부원군(忠原府院君) 지용기(池湧奇)장군 등이 당대에 이름을 떨쳤다.

지윤(池奫)은 우왕때 찬성사(贊成事)로 서북면 도원수(西北面 都元帥)가 되어 북원(北元)을 방비하였고 또, 도체찰사(都體察使)로 심왕(瀋王) 모자의 반역을 방비하였으며 중앙의 인사(人事)를 담당하는 정방제조(政房提調)로 막강한 권력을 행사하였으며,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로 판 판도사사(判 版圖司事)의 직무를 겸하면서 재상에 올랐다.

충의공(忠懿公) 지용도(池龍圖)는 서북면(西北面) 상원수(上元帥)로 거제(巨濟) 고성(固城)에 처들어온 왜적(倭賊)을 격퇴하고 1356년 금병(金兵)의 침입을 최영(崔瑩), 이성계(李成桂)와 함께 나아가 크게 격파하였다. 공민왕 7년에 내사시 문하평장사(內史寺 門下平章事)겸 이부랑 판혜덕부사(吏部郞 判惠德府事)가 되었고, 1364년 역적 최유(崔濡)가 요동으로부터 압록강(鴨綠江)을 건너와 의주(義州)를 포위하니 아우 충무공(忠武公) 지용수(池龍壽)와 함께 나아가 물리쳤다.

충무공(忠武公) 지용수(池龍壽)는 공민왕 12년(1363) 판종부시사(判宗簿寺事)로 안우(安祐)와 같이 홍건적(紅巾賊)을 물리쳐 경성(京城)을 수복한 1等공신으로 전공판서(典工判書)에 임명되였고, 순무사(巡撫使)로 덕흥군(德興君) 최유(崔濡) 등 반적(叛賊)을 토벌한 공으로 다시 1등공신이 되고 밀직사(密直事) 지도첨의(知都僉議), 상원수(上元帥) 겸 평양윤(平壤尹)을 역임하고 공민왕 19년(1370) 서북면 상원수로서 이성계(李成桂) 양백안(楊伯顔) 등과 원(元)의 동령부(東寧府)를 공격하여 함락시키는 등 많은 전공(戰功)을 세웠다.

충원부원군(忠原府院君) 충의군 지용기(池湧奇)는 공민왕때 삼사우윤(三司右尹)에 이르렀고 우왕(禑王)때 예의판서(禮儀判書), 밀직부사(密直副使) 동지밀직사사(同知密直司事)로 수성분의공신(輸誠奮義功臣)의 호를 받았다. 그 후 양광도 부원수(楊廣道 副元帥), 전라도 도순문사(全羅道 都巡問使) 도원수(都元帥) 등을 역임(歷任)하면서 남해안 일대에 출몰하는왜적(倭賊)을 물리치는데 큰공을 세웠으며 특히 장흥(長興), 보성(寶城) 정읍(井邑) 나주(羅州) 등지의 전투에서 적 수십급(數十級)을 베고, 우리 백성 수백명을 포로에서 구출하였고, 응령역(應嶺驛)전투에서 적의 화살을 맞기도 하였다. 우왕 14년 위화도 회군때는 안주도 도원수(安州道 都元帥)로 이성계의 회군에 공을 세우고 찬성사(贊成事)로서 이성계 등과 공양왕(恭讓王)을 옹립하는 흥국사(興國寺) 모임에 참가한 9功臣의 한분으로 중흥공신(中興功臣) 충의군(忠義君)에 다시 충원부원군(忠原府院君)에 봉(封)하였고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올랐으나 윤이(尹彛), 이초(李初)의 옥(獄)에 연루된 김종연(金宗衍) 당으로 지목, 탄핵을 받아 삼척(三陟)에 귀양갔다가 풀려나 충남 면천(沔川)에서 졸(卒)하였다.

조선조(朝鮮朝)에서는 충원부원군(忠原府院君) 지용기(池湧奇)의 아들 충주 지씨 중시조 지유용(池有容)은 세종(世宗)때 우군첨총제(右軍僉摠制)와 충청안무사(忠淸按撫使), 판경성부사(判鏡城府事), 종성도호부사(鍾城都護府使), 강계부사(江界府使) 등을 역임하였고 능력과 용맹을 갖추어 왕의 신임이 두터웠으며 판의주목사(判義州牧事)로 卒하니 왕이 부의를 보냈다.

지유용(池有容)의 아들 지개(池開)는 진사(進士),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官職에 나아갔으며, 이어 그 자손이 8代에 걸쳐 연속(連續)하여 進士, 生員에 급제 함으로서 무려 일문에 사마(司馬)가 22명이 배출되는 명문(名門)으로 발전하였다. 그 중에도 좌승지(左承旨) 지세함(池世涵:進士)과 그 아들 교관(敎官) 지달해(池達海) 도사(都事) 지달문(池達汶)형제, 그리고 지달해의 아들 왕자사부(王子師傅) 지봉휘(池鳳輝:進士) 부처(夫妻) 등이 삼세(三世)에 오효(五孝)로 정려(旌閭)와 사복십결(賜復十結)의 은전(恩典)을 받았다.

지달해(池達海)는 생원(生員)으로 시문(詩文)에 뛰어나 세상에 이름이 나서 中國에서까지 詩를 구하고자 하였으며 광해군(光海君)때 시학교수(詩學敎授)로 추천되였으나 폐모론(癈母論)이 일자 일체의 관직을 멀리하고 충청도로 숨어버려 문장(文章)과 기절(氣節)뿐만 아니라 孝行으로 세상에서 추앙을 받았고, 김상용(金尙容), 김상헌(金尙憲), 이항복(李恒福), 유근(柳根) 등과 교의(交誼)가 두터웠다.

지덕해(池德海)도 생원(生員)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중앙의 청요직(淸要職)을 두루 거친 강직한 인물로 병자호란(丙子胡亂) 때는 충청도 소모관(忠淸道 召募官)으로 의병(義兵)과 군량미(軍糧米) 모집에 공이 컸으며 용강(龍岡) 령해부사(寧海府使) 등으로 선정(善政)을 베풀었다.

지여해(池汝海)는 덕해(德海)의 재종제(再從弟)로 지용(智勇)이 뛰어난 무관(武官)으로 용천(龍川), 철산부사(鐵山府使) 등을 지냈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왕을 호위하고 남한산성에 들어가 별장(別將)으로 300명 결사대(決死隊)를 이끌고 城을 나아가 싸우다 순절(殉節)하니 병조참판(兵曹叅判)에 추증 되었다.

지봉수(池鳳遂)는 효자(孝子) 증참판(贈叅判) 지달문(池達汶)의 아들로 진사(進士)에 합격, 성균관에서 공부하고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종묘봉사(宗廟奉事)로 묘주(廟主)를 모시고 강화도(江華島)로 피난하였는데 체찰사(體察使)가 亂中에 풍류를 갖추고 술을 권하니 公이 정색(正色)을 하고 제찰사를 꾸짓었으며, 신주(神主)를 안전히 모실 계책을 건의하였으나 이를 듣지 않더니 마침내 강화가 적에게 함락 되여서는 모든 관원(官員)이 다 도망하되 혼자 묘주(廟主)를 지킨 의리로 적도 감히 해(害)하지 못하였다. 후에 회덕현감(懷德縣監)을 지내고 인조의 항복을 憤하게 여기고 槐山에 落鄕하여서 다시 불러도 나오지 않았다.

충성군(忠城君) 지계최(池繼漼)는 인조(仁祖) 때 관서행영(關西行營)의 도원수(都元帥) 서로소모별장(西路召募別將)으로서 이괄(李适)의 반란군(叛亂軍)을 정충신(鄭忠信), 남이흥(南以興), 이수일(李守一) 등과 같이 맞아 섬멸하여 진무공신(振武功臣)에 책정되고 충성군(忠城君)에 봉했다. 그 후 남해현감(南海縣監), 의주판관(義州判官), 서흥부사(瑞興府使), 희천군수(熙川郡守), 등을 역임하며 치적을 남기고 병자호란(丙子胡亂)에 적과 싸우다 신계(新溪)에서 순절(殉節)하니 한성판윤(漢城判尹)을 추증하였다.

또한 지경철(池景澈)은 문장(文章) 도의(道義)가 훌륭하여 교관(敎官)으로서 병자호란(丙子胡亂)에 남한산성에 호가(扈駕)하여서는 척화소(斥和疏)를 올리더니 화친이 성립되자 관대(冠帶)를 찢고 귀향(歸鄕)하였으며, 그 아들 兄弟는 남한(南漢) 근친(覲親)中에 적에게 살해되니 충효양전(忠孝兩全)이라 하였다.

이렇듯 지씨(池氏)는 조선조(朝鮮朝)에서도 병자호란(丙子胡亂) 때까지 많은 인물(人物)을 배출(輩出)하였으나 청(淸)의 지배를 받은 인조(仁祖) 이후 출사(出仕)를 멀리하고 각지(各地)로 낙향(落鄕)하여 지조(志操)를 지키며 학문(學文)에만 힘을 썼다. 조선조(朝鮮朝) 중옆(中葉)에는 池門八鳳八海라하여 鳳字, 海字 항열(行列) 각 8名씩이 그 중에도 출중(出衆)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 敎官 지경철(池景澈)의 後孫으로 지우성(池友星 : 武科 同樞 五衛將), 지우두(池友斗 : 通德郞), 지우규(池友奎 : 兄友星과 武科 聯璧宣傳官), 지우삼(池友三 : 贈戶叅), 지우익(池友翼 : 武科 三陟營將陞資憲) 五兄弟와 지일휘(池日輝 : 武科 同樞 五衛將, 友三의 子), 지일호(池日浩 : 武科 沃溝縣監, 友奎의 子) 등 兩代에 五名이 무과급제(武科及第)하여 이름이 났는데 특히 방어사(防禦使) 지우익(池友翼)은 사천(泗川), 남해현감(南海縣監)으로 善治稱頌이 있었고, 부인 全州 李氏는 享年 九十四世(1694~1789)로 正祖로부터 貞敬夫人의 老典을 받았으며, 아들 沃溝縣監 지일호(池日浩) 역시 善治와 孝子로 이름나서 縣民追頌者가 甚多했다.

그 외에도 세조(世祖) 때 충청절제사(忠淸節制使)로 단종(端宗)을 복위하려다 화(禍)를 입은 지정(池淨:寧越 莊陵 配食壇 配享),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신립(申砬)의 별장으로 충주 탄금대에서 순절(殉節)한 판결사(判決事) 지하복(池河福), 관북(關北)에서 의병장(義兵將) 정문부(鄭文孚)와 같이 왜장 가등청정(加藤淸正)을 물리치고, 토적(土賊)을 목베인 좌승지 지달원(池達源:鏡城 彰烈祠 配享),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강화(江華)에서 절개를 지킨 지평(持平), 지달원(池達遠), 문한(文翰)으로 이름난 이조정랑(吏曹正郞) 지달하(池達河), 지씨홍사(池氏鴻史)를 편찬한 지광한(池光翰), 성리학(性理學)의 대가(大家) 청구자(靑丘子) 지광진(池光晉), 그리고 성리학자(性理學者) 주하(柱下) 지운호(池運浩)의 오형제(五兄弟) 등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당대의 명사(名士)가 많다.

근대(近代)에 와서는 우리나라에 우두법(牛痘法:種痘法)을 처음 보급한 의학자(醫學者) 송촌(松村) 지석영(池錫永)이 뛰어났다. 1876년(고종 13) 수신사(修信使) 김기수(金綺秀)의 수행원으로 일본에 갔다가 종두법(種痘法)을 배워 온 박영선(朴永善)에게 종두법을 익혔으며, 김홍집(金弘集)을 따라 일본(日本)에 건너가 종두법(種痘法)을 배우고 돌아와서는 전주(全州) 등지에서 우두국을 설치하여 종두의 전국 보급을 시작하였고,「우두신설(牛痘新說)」을 저술하여 국민보건에 위대한 업적(業績)을 남겼으며, 그의 형인 백연(白蓮) 지운영(池運永)은 학문과 예술에 정진하여 시(詩)․서(書)․화(畵)의 <삼절(三絶)>로 불려졌다.

한말(韓末)의 의병장(義兵將) 지홍문(池弘文)은 1907년 군대 해산령이 내리자 의병(義兵)을 일으켜 강화갑곶(江華甲串)에서 일본군 1개 중대(中隊)를 격멸했으며, 독립운동가로 이름난 지청천(池靑天)은 3․1운동이 일어난 뒤 만주(滿洲)로 망명하여 독립군(獨立軍) 간부를 양성하였고 청산리(靑山里) 전투 후에는 일본군의 대대적인 보복작전을 피해 흑룡강(黑龍江)으로 이동하여, 김좌진(金佐鎭) 등과 대한독립군단(大韓獨立軍團)을 조직, 항일전(抗日戰)을 수행하였으며 광복군(光復軍)을 통합(統合)한 후 광복군총사령관(光復軍總司令官)에 취임 활동하다가 8.15광복을 맞아 귀국하여 건국초에 무임소장관을 역임하였고,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복장이 수여되었다. 만주(滿洲) 대학살 때 순국(殉國)한 지하영(池霞榮)과 함께 충주지씨(忠州池氏) 가문을 더욱 빛냈다.

또한 한말(韓末) 의병장(義兵將으)로 강원도일대(江原道一帶)에서 13년간 왜적(倭賊)과 격렬(激烈)한 의병활동을 전개한 지용기(池龍起) 의병장이 있다. 그는 1867년 춘천(春川)에서 역시 의병활동을 한 지명재(池明在)의 외아들로 1895년 乙未 명성황후(明成皇后) 시해사건으로 전국(全國)에서 의병(義兵)이 붕기할 때 춘천 의병장으로 추대된 이진응(李晋應) 휘하에서 약사원(藥司院) 전투에 참여하였고 관동9군(關東九郡)의 의병진과 合流하여 원산(元山)을 습격하고 뒤에 호좌 창의대장(湖左 倡義大將) 유인석(柳麟錫) 의병진과 제천(堤川), 충주(忠州), 청주(淸州) 등지에서 많은 전공(戰功)을 세우고, 1908년 춘천(春川) 전투에서 순국(殉國)하니 나이 42歲였다. 1962년 건국공로훈장(建國功勞勳章)이 서훈(敍勳)되었다.

한국어문학회장(韓國語文學會長)과 어문연구회장(語文硏究會長)을 역임한 장암 지헌영(藏庵 池憲英)은 지씨홍사(池氏鴻史)를 펴낸 설악 지광한(雪嶽 池光瀚)의 七代孫으로 1931년 연희전문 재학중 항일운동(抗日運動)에 가담하여 옥고(獄苦)를 치르고 퇴학하였다가 광복후 충남대 국문과 교수로 대전일보(大田日報) 사장으로 언론과 어문학계에서 활동하였고, 호중(湖中=忠淸道) 유림(儒林)의 추앙을 받은 취송당(翠松堂) 지재우(池載鄅)는 뇌봉(雷峰) 지덕해(池德海)의 후예로 성품이 고결(高潔)하고 문장이 출중(出衆)하여 당대의 이름난 문인학자(文人學者) ,시인(詩人),묵객(墨客)과 교류(交流)가 많았고 특히 흩어진 지씨문헌(池氏文獻)을 재정비하여 중간(重刊), 복원(復元)에 힘써서 지문의 보배(池門의 寶貝)라 일컬는다.

7. 충주 지씨(忠州 池氏) 인물(人物)​

조선시대(朝鮮時代)에 과거(科擧) 급제자(及第者) 100명을 배출하였다.(문과 10명, 무과 39명, 사마시 31명, 역과 1명, 음양과 14명, 율과 5명).

지천석(池天錫, 1620 庚申生) : 문과(文科) 숙종12년(1686) 별시2 을과(乙科)

지흠(池欽, 1677 丁巳生) : 문과(文科) 숙종28년(1702) 함경도별시 을과(乙科)

지달하(池達河, 1677 丁巳生) : 문과(文科) 세조11년(1465) 춘당대시 정과(丁科)

지응룡(池應龍, 1722 壬寅生) : 문과(文科) 영조28년(1752) 정시 병과(丙科)

지성해(池成海, 1565 乙丑生) : 문과(文科) 광해군10년(1618) 증광시 병과(丙科)

지덕빈(池德斌, 1747 丁卯生) : 문과(文科) 영조50년(1774) 식년시 병과(丙科)

지봉령(池鳳翎, 1838 戊戌生) : 문과(文科) 고종26년(1889) 알성시 병과(丙科)

지석영(池錫永, 1855 乙卯生) : 문과(文科) 고종20년(1883) 식년시 을과(乙科)

지붕현(池鵬鉉, 1857 丁巳生) : 문과(文科) 고종28년(1891) 증광시 을과(乙科)

지덕해(池德海, 1583 癸未生) : 문과(文科) 인조2년(1624) 증광시 병과(丙科)

지용수(龍壽) : 고려 공민왕 때 서북면지병마사로 홍건적을 물리쳐 1등공신에 책록되었다.

지윤(奫) : 우왕 때 서북면도원수가 되고 다시 문하찬성사에 올랐다.

지용기(湧奇) : 고려 우왕 때 이성계 휘하에서 위화도 회군에 참가하여 충원부원군에 봉해졌다.

지여해(汝海) : 조선시대에 병조참판에 추증되었다.

지계최 : 도원수 장만(張晩) 휘하에서 활약하였다.

지덕해(德海) : 병자호란 때 활약하였다.

지석영(錫永) : 우두법을 처음으로 보급한 의학자이다.

지운영(運英) : 지석영의 형. 서화가(書畵家)로 유명하다.

독립운동가로 지청천(靑天:일명 李靑天), 지하영(霞榮) 및 의병장 지홍문(弘文) 등이 있다.

성빈지씨(誠嬪池氏): 정종(定宗)의 후궁으로 찬성사(贊成事) 지윤(池奫)의 딸이다. 성빈지씨의 소생으로는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 도평군(桃平君) 이말생(李末生)이 있다.

숙의 지씨(淑儀 池氏): 정종(定宗)의 후궁으로 찬성사(贊成事) 지윤(池奫)의 딸이다. 성빈 지씨(誠嬪 池氏)와는 자매사이이다. 숙의지씨 소생으로는 덕평군(義平君) 이원생(李元生), 선성군(宣城君) 이무생(李茂生), 임성군(任城君) 이호생(李好生)과 함양옹주(咸陽翁主)가 있다. 이중

8. 충주 지씨(忠州 池氏) 집성촌(集成村)​

- 강원도 홍천군 화촌면 군업리

-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부곡리

- 경상남도 통영시 용남면 지도리

- 전라남도 여수시 율촌면 가장리

- 전라남도 완도군 청산면 청계리

-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일원

-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초평리

-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금성리

- 충청북도 괴산군 불정면 창산리

- 제주도 남제주군 화순리

- 평안남도 북청군 가회면 중리

9. 충주 지씨(忠州 池氏) 대동(大同) 항렬표(行列表)

충주 지씨(忠州 池氏) 대동(大同) 항렬표(行列表)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36

載(재)

大(대)

37

鉉(현)

鎬(호)

38

求(구)

永(영)

39

根(근)

植(식)

40

煥(환)

黙(묵)

41

培(배)

喆(철)

42

善(선)

弘(홍)

43

泰(태)

唐(당)

44

秀(수)

辛(신)

45

烈(렬)

廷(정)

46

均(균)

揆(규)

47

商(상)

承(승)

48

行(행)

漢(한)

49

承(승)

寬(관)

50

澤(택)

淵(연)

충주 지씨(忠州 池氏) 8대파 항렬표(行列表)

낭장공파(左營公派)12세조 낭장공파 시조 지일삼(?~?)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33

載(재)

埰(채)

34

黙(묵)

熙(희)

35

思(사)

翊(익)

36

鎬(호)

揆(규)

37

鎭(진)

寅(인)

38

均(균)

孝(효)

39

榮(영)

燦(찬)

40

黙(묵)

應(응)

41

相(상)

廣(광)

42

康(강)

庸(용)

43

基(기)

在(재)

44

欽(흠)

鎔(용)

45

達(달)

翼(익)

46

成(성)

茂(무)

47

時(시)

遂(수)

충의군파(忠義君派) 17세조 충의군파 시조 지용기(1330~1392)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34

璣(기)

義(의)

35

誠(성)

行(행)

36

求(구)

永(영)

37

重(중)

卿(경)

38

筠(균)

圭(규)

39

根(근)

德(덕)

40

秀(수)

光(광)

41

언(彦)

奇(기)

42

錫(석)

燮(섭)

43

泰(태)

의(義)

44

몽(夢)

溫(온)

45

煥(환)

洪(홍)

46

商(상)

承(승)

47

圭(규)

英(영)

48

相(상)

求(구)

판관공파(判官公派) 15세조 판관공파 시조 지윤(?~1377)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33

善(선O)

34

錞(O순)

35

鍊(O련)

36

英(영O)

37

相(상O)

38

澤(O택)

39

海(O해)

40

浩(O호)

41

範(범O)

42

泳(영O)

43

相(O상)

44

模(O모)

45

唐(당O)

46

錫(석O)

47

희(O熙)

주서공파(注書公派) 15세조 주서공파 시조 지정(?~?)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36

大(대O)

37

鎬(O호)

38

澈(O철)

39

淳(순O)

40

煥(환O)

41

培(배O)

42

弘(O홍)

43

正(정O)

44

泰(O태)

45

烈(O렬)

46

承(승O)

47

商(상O)

48

鉉(현O)

49

寬(O관)

50

載(O재)

태학사공파(太學士公派)17세조 태학사공파 시조 지용하(?~?)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34

根(근)

德(덕)

35

錫(석)

龍(용)

36

泰(태)

重(중)

37

秀(수)

光(광)

38

煥(환)

洪(홍)

39

商(상)

承(승)

40

鉉(현)

永(영)

41

景(경)

原(원)

42

善(선)

燮(섭)

43

相(상)

求(구)

44

達(달)

九(구)

45

相(상)

東(동)

46

秉(병)

培(배)

47

鎰(일)

鉉(현)

48

筠(균)

圭(규)

판형공파(判形公派) 17세조 판형공파 시조 지천봉(?~?)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33

敎(교)

漢(한)

34

大(대)

相(상)

35

燮(섭)

炳(병)

36

鏞(용)

善(선)

37

鍾(종)

鉉(현)

38

寅(인)

澈(철)

39

思(사)

晟(성)

40

鎬(호)

鈺(옥)

41

勳(훈)

淳(순)

42

燮(섭)

勳(훈)

43

炯(형)

燉(돈)

44

熙(희)

燁(엽)

45

容(용)

燦(찬)

46

植(식)

根(근)

47

鉉(현)

錫(석)

주서명천공파(注書明川公派) 17세조 주서명천공파 시조 지을현(?~1400)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33

寅(인O)

34

謨(O모)

35

圭(O규)

36

泳(O영)

37

相(상O)

38

鉉(현O)

39

勳(O훈)

40

燦(찬O)

41

根(O근)

42

晟(성O)

43

休(O휴)

44

煥(환O)

45

燉(돈O)

46

錫(석O)

47

鎭(진O)

봉사영흥공파(奉事靈興公派) 17세조 봉사영흥공파 시조 지을생(1337~?)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33

朝(O조)

34

燮(O섭)

35

憲(헌O)

36

壽(O수)

37

烈(O열)

38

德(덕O)

39

然(연O)

40

鍾(종O)

41

鐸(O탁)

42

琫(O봉)

43

欽(O흠)

44

時(시O)

45

權(O권)

46

東(동O)

47

煥(O환)

충성군파계 7파 항렬표(行列表)

충성군파 및 영월 수연(원종공신)공파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34

達(달)

九(구)

35

錫(석)

龍(용)

36

景(경)

原(원)

37

鉉(현)

永(영)

38

相(상)

求(구)

39

根(근)

德(덕)

40

煥(환)

洪(홍)

41

秉(병)

培(배)

42

善(선)

燮(섭)

43

泰(태)

重(중)

44

秀(수)

光(광)

45

冠(관)

正(정)

46

筠(균)

圭(규)

47

-

48

-

부사정수적공파 및 첨정수란공파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36

德(덕O)

37

欽(O흠)

38

鉉(O현)

39

烈(O열)

40

時(시O)

41

周(O주)

42

鍾(종O)

43

星(O성)

44

權(O권)

45

致O(치)

울진 선교랑수경공파 및 선교랑수현공파 및 진사부사직경징공파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34

達(달O)

35

龍(O용)

36

原(O원)

37

培(O배)

38

求(구O)

39

根(근O)

40

煥(O환)

41

秉(병O)

42

燮(O섭)

43

重(O중)

44

光(광O)

45

洪(홍O)

46

圭(규O)

47

-

48

-

통정대부 경명공파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行列字

33

休(O휴)

34

德(덕O)

35

圭(O규)

36

鍾(종O)

37

永(O영)

38

相(상O)

39

夏(O하)

40

在(재O)

41

鉉(O현)

42

泳(영O)

43

相(상O)

44

煥(O환)

45

奎(규O)

46

錫(석O)

47

-

10. 충주 지씨(忠州 池氏) 인구수(人口數)​

2000년 인구조사에서 충주 지씨는 36,937가구 총 118,211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알아두세요!

위 답변은 답변작성자가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작성한 내용입니다. 포인트 선물할 때 참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