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병선의 메멘토 모리] K2에서 돌아오지 못한 파키스탄 산악인 알리 사드파라

입력
수정2021.02.21. 오전 10:41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지난 5일(이하 현지시간) 파키스탄 카라코람 K2 정상 등정 후 실종된 파키스탄 산악인 무함마드 알리 사드파라.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파키스탄 등반가 무함마드 알리 사드파라는 지난 5일(이하 현지시간) 아이슬란드인 욘 스노리, 칠레인 후안 파블로 모어와 함께 세계 두 번째로 높으며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산으로 악명 높은 K2(해발 고도 8611m)을 오르다 베이스캠프와 교신이 두절됐다. 지난 18일 세 사람 모두 공식 사망한 것으로 선언됐다고 영국 BBC가 다음날 전했다. 물론 시신은 발견되지 않았다. 조난 당한 지점이 정상 바로 아래였으며 체감 온도 영하 80도에 이르는 날씨, 희박한 공기, 조난된 지 한참의 시간이 흐른 점 등을 종합했을 때 생환 가능성이 전혀 없어서다.

알리는 국제 산악계에서도 다재다능한 등반가로 유명했으며 조국에서는 영웅으로 여겨지던 인물이었다. 세상의 8000m 이상 고봉 14좌 가운데 8개 봉우리를 발 아래 둔 유일한 파키스탄인이었으며 겨울철에 세계 아홉 번째이자 파키스탄 두 번째 봉우리인 낭가 파르밧(8125m)을 오른 첫 번째 산악인이었다.

아들 사지드는 아버지와 함께 K2 정상을 산소통 없이 겨울에 올라 세계 최초 기록을 목표로 했다. 하지만 사지드는 정상을 불과 300m 앞둔 일명 보틀넥(Bottleneck·병목), 죽음의 구역(death zone)에서 산소통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포기하고 베이스캠프로 돌아와 목숨을 잃지 않았다.

사지드는 군이 조직한 구조팀에 협력해 아버지가 남긴 흔적을 샅샅이 뒤졌으나 아버지는 물론 두 동료 누구의 흔적도 찾아내지 못했다고 밝혔다. 군대는 구조 작업을 재개할 수 있길 기대하고 있다. 하지만 그 역시 희망을 많이 가질 필요는 없다는 점을 잘 안다. 해서 지난주 초 그는 “모두가 수색에 동참해준 것에 감사드린다. 그들이 지금 살아있을 것 같지 않아 보인다. 해서 수색은 시신을 찾아오는 데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K2를 오르다 실종된 무함마드 알리 사드파라(왼쪽부터)가 함께 베이스캠프와 교신이 두절된 아이슬란드 산악인 욘 스노리, 정상 직전에 포기해 베이스캠프로 돌아온 아들 사지리와 K2 봉우리를 배경으로 기념 촬영에 응하고 있다.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알리는 1976년 이 나라 오지 중에서도 오지인 히말라얀 발티스탄 지역의 사드파라 마을에서 태어났다. 중학 교육을 마친 뒤 하급 공무원이었던 아버지는 고교 진학을 위해 스카르두 마을로 이사했다. 형과 달리 곧잘 공부를 해 좋은 교육을 받게 하겠다는 것이 아버지의 뜻이었다. 그는 가정 형편 때문에 일찍 학업을 접고 2003년이나 2004년쯤 산의 매력에 흠뻑 빠졌다. 투어 조직자로 나서자마자 성공했고 그가 이끈 탐사는 대부분 성공을 거뒀다. 특히 2016년 3인조 팀을 구성해 겨울에 낭가 파르밧을 초등하자 국제적 명성을 누리게 됐다. 지난 3년 동안 프랑스와 스페인을 여행하며 대학생들에게 등반 교육을 시켰다.

그러면 왜 그는 산소통 없이 K2를 오르겠다고 결심했을까? 하나의 이론은 스노리의 고산 짐꾼으로서 계약서에 서명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그랬을 것이란 해석이다. 하지만 그건 일종의 속임수이고, 몇 주 전 니르말 푸르자 등 네팔 셰르파들이 겨울철 K2 세계 초등의 업적을 달성하는 바람에 그들을 능가하는 새 기록에 욕심을 낸 것이라고 친척이자 친구이며 현지 언론인인 니사르 압바스는 해석했다. 아들과 함께 한다면 더욱 깊은 일이라고 생각했을 것이란 얘기다.

사지드는 25~30명의 다국적 등반대와 함께 출발했는데 나머지는 모두 8000m 지점에 이르기 전에 정상을 포기하고 돌아섰다고 현지 언론에 털어놓았다. 사지드가 보틀넥에 이르렀을 때 컨디션이 최악이었다. 아버지는 비상용으로 챙겨온 산소통을 쓰라고 했다. 사지드가 실린더를 연결했을 때 산소가 새나오기 시작했다. 이 때 아버지와 두 외국인은 이미 보틀넥을 오르고 있었다. 아버지는 뒤를 돌아보며 계속 올라오라고 소리를 질렀다. 아들은 실린더가 샌다고 외쳤다. 아버지는 ‘걱정 마라. 계속 올라와. 그러면 나아질 거야’라고 했다. 하지만 사지드는 더 이상 쥐어짤 힘도 없어 하산하기로 결정했다. 5일 정오 무렵이었다. 그게 마지막으로 본 아버지의 모습이었다.

아버지가 왜 그렇게 계속 올라오라고 했을 것 같으냐는 질문에 사지드는 “네팔인들이 몇주 전에 그 일을 해냈다. 그 역시 그 일을 원했다. 왜냐하면 K2는 우리 산이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그는 세 사람이 보틀넥을 넘어 정상으로 향하는 모습을 봤기에 아마도 그들이 정상에 이르렀을 것으로 믿고 있었다.
무함마드 알리 사드파라가 등반 가이드로 명성을 날리던 2012년 네덜란드 탐사대 일행과 어울려 K2 베이스캠프에서 석유통을 두드리며 노래를 부르고 있다. 영국 BBC 홈페이지 캡처
전문가들은 대부분의 사고는 하산 때 일어나며 아주 살짝만 몸의 균형을 잃어도 엄청난 나락으로 떨어지기도 한다. 하지만 알리를 아는 이들은 그가 그런 실수를 했을 것으로 보지 않는다고 했다. 그들은 한 파트너나 아니면 둘 다 사고를 당해 그가 돕다가 하산하지 못한 것으로 보고 있다. 어쩌면 우리는 어떤 일이 있었는지 영원히 알지 못할 수도 있다.

아들 사지드는 “등반 역사에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해서 우리는 기적을 바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그는 아버지의 사망이 선언된 뒤 “아버지를 존경했던 모든 등반가들에게 아버지의 꿈과 소명을 좇아 그의 발자취를 따라 계속 걷겠다고 약속드린다”고 말했다.

한편 알리 일행의 비극 말고도 이번 겨울 시즌 K2는 숱한 사람들을 집어삼키고 있다. 셰르파 등반대와 같은 날 K2을 등반하던 스페인 산악인 세르히 밍고테는 정상을 밟지 못하고 베이스캠프로 하산하던 중 목숨을 잃었고, 알리 일행이 조난된 지난 5일에도 불가리아 산악인 아타나스 스카토프가 해발 7400m에서 5500m 지점으로 추락해 세상을 등졌다.

임병선 평화연구소 사무국장 bsnim@seoul.co.kr



▶ 네이버에서 서울신문 구독하기 클릭!
▶ <1회> "기자 아저씨, 배가 너무 고파요"
▶ [나우뉴스] 세상에 이런 일이

ⓒ 서울신문(www.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세계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