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용어 돋보기] 수요의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명품산업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고가품 일수록 수요증가 하는 `베블런효과` 가격영향 받는다면
소비증가하면 수요 되레 주는 `스놉효과`는 차별화 욕구 반영


애덤 스미스(Adam Smith)를 필두로 한 고전 경제학에서부터 현대까지 경제학을 이끌어온 기본 원리는 가격과 수요가 반비례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런 수요의 법칙과 정면으로 대치되는 영역이 있으니 최고급, 럭셔리 등의 수식어가 붙는 명품산업이다. 명품산업에서는 가격이 높을수록 수요가 늘어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렇듯 가격이 비싸질수록 수요가 증가하는 현상을 베블런 효과(Veblen effect)라고 한다.

베블런은 19세기 말 미국 사회경제학자로 1899년 저서인 '유한계급론'에서 유한계급, 즉 부유층에 속한 사람은 자신의 사회적 지위를 유지하거나 자신을 대중에게 알리기 위해 과시적 소비를 하며 이런 유한계급의 소비가 생산성 향상이나 사회 발전에 도움이 되기보다는 단순히 '소비' 자체에 머무른다고 비판했다.

과시적 소비는 보통 일부 부유층을 중심으로 시작되는데 주위 사람들이 이들의 소비를 모방하면서 사회 전체로 확산될 수 있다. 이를 밴드왜건 효과(Bandwagon effect·모방 효과)라고 하는데, 유명 연예인이 특정 브랜드 옷을 입고 나왔을 때 그 상품이 금세 품절되는 현상은 바로 이 밴드왜건 효과 때문이다.

다른 이들의 소비를 모방하는 사람이 있다면 정반대 성향을 보이는 사람도 있다. 다수의 소비자가 구매하는 상품을 기피하고 차별화된 상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소비 심리가 그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스놉 효과(Snob effect·속물 효과)는 특정 상품에 대한 소비가 증가하면 그 상품의 수요가 줄어드는 현상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남들과 구별되고 고상하게 보이려 한다고 해서 '백로효과(白鷺效果)'라고도 하며, 과시 현상의 일종이기에 상품이 비싸질수록 수요가 증가하는 베블런 효과와도 비교된다.

남들과 차별화되고 싶은 욕구가 낳은 스놉 효과가 '대중의 소비'에 영향을 받는다면, 과시욕으로 고가품일수록 수요가 증가하는 베블런 효과는 '상품의 가격'에 영향을 받는다.

[이종건 매경 경제경영연구소 연구원]

▶뉴스 이상의 무궁무진한 프리미엄 읽을거리
▶아나운서가 직접 읽어주는 오늘의 주요 뉴스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