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혈압약 사태 세부 대응책으로 혼란 최소화해야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지난 주말 전국 605만 고혈압 환자와 그 가족의 가슴을 철썩 내려앉게 만든 '고혈압 치료제 발암물질' 파문은 식품의약품안전처가 해당 제품의 제조·판매 중지 발표 사흘째인 어제까지도 쉽게 진정되지 않았다. "내 혈압약은 괜찮나요?"를 묻는 환자의 질문이 동네 병·의원과 약국, 보건소로 온종일 줄을 이었지만 "(문제가 된)중국산 발사르탄 성분은 포함되지 않았다" 또는 "재처방받아야 한다"는 답변 말고는 달리 대처 방법이 없었다는 것이다. 보건복지부나 부산시에선 식약처 조사 결과만 바라볼 뿐 어떤 대응책도 내놓지 못했다.

최근 3년간 중국산 발사르탄의 국내 제조·수입량은 전체의 2.8%(1만 3770㎏)에 불과하지만, 국내에서 허가된 고혈압 치료제는 2690개 품목에 이를 정도로 광범위해 환자들의 불안은 그 어느 때보다 컸다. 유럽의약품안전청(EMA) 발표에 따라 식약처가 중국산 발사르탄 불순물에서 발암물질이 나온 사실과 제품 명단을 공개하고, 제조·판매를 중지하는 등 선제적인 조치를 발 빠르게 취한 것까진 적절했지만, 병·의원 업무가 개시된 월요일에도 후속 조치가 없었다는 점은 아쉬움으로 남는다.

상부 기관의 지침이 없어서 개별 대응에 나섰던 병·의원들도 곤혹스럽기는 마찬가지였다. 바뀐 약으로 처방을 변경하면서 진찰료를 받았다간 환자들의 불만이 커질 수밖에 없고, 그렇다고 공짜로 진료하고 처방전을 발행하면 부당 청구로 실사의 빌미가 될 수도 있으니 말이다. 환자 입장에서도 고혈압 치료제는 하루라도 빠짐없이 먹어야 하는 것이어서 불안에 떨면서도 찜찜하다고 복용을 중단할 수 없고, 두세 달 치를 한꺼번에 받아가는 약 특성상 재처방 비용도 부담스럽다고 한다.

불안감을 증폭시켜서도 안 되겠지만 진찰료·처방 등의 지침과 처방된 의약품의 환수·환불 같은 꼼꼼한 후속 조치로 혼란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런 사실을 미처 알기 힘든 전체 환자의 33%나 되는 노인이나 농어촌 지역 환자에게는 담당 의사나 약사가 직접 통보하는 방법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