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C] 800살 볼음도 은행나무, ‘이산가족 상봉 신청이요~’

입력
수정2018.08.16. 오전 11:00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한겨레] [ESC] 이기적인 여행

황해도 암나무와 ‘부부’였던 볼음도 수나무

‘대홍수로 뿌리째 떠밀려온 것 심어’ 구전

8㎞ 거리 북녘 호남리에 800살 암나무 확인

문화재청, 17일 볼음도서 부부나무 위한 ‘민속행사’



인천광역시 강화군 서도면 볼음도 안말의 거대한 은행나무(수령 800년 추정). 황해도 연안군 호남리에서 자라던 암·수 한 쌍의 은행나무 중 수나무가 홍수로 뽑혀 볼음도까지 떠밀려와 주민들이 다시 심은 것이라고 전해온다. 이병학 선임기자


큰 나무가 큰 그늘을 드리운다. 햇살 뜨거워도 큰 그늘에 들면 서늘한 기운이 몸을 감싼다. 우리나라 농어촌 마을에 거의 어김없이 한 두 그루씩 있는, 느티나무 등 오래된 나무들의 그늘이 그렇다. 수백년 동안 마을을 지켜온 크고 그늘 깊은 나무다. 그 그늘에서 주민들이 대를 이어 쉬고 먹고 놀고 잠을 자 왔다. 인천광역시 강화군에 딸린 섬 볼음도의 800살 난 은행나무도 그런 나무다.

볼음도는 강화도와 다리로 이어진 석모도의 서쪽, 강화군 서도면 섬 무리(주문도·볼음도·아차도·말도) 중의 하나다. 민통선 안에 있어, 방문객은 모두 신분증을 제시하고 신원 확인을 받아야 한다. 강화도 외포리 선착장에서 배로 1시간20분 거리에 있다. 볼음도는 백합·고둥 등이 지천으로 깔린 광활한 갯벌을 거느린 섬이다. 서도면 일대의 갯벌은 세계적인 희귀 조류 저어새의 집단 번식지로도 이름 높다. 저어새는 천연기념물 205호, 강화갯벌 저어새 번식지는 천연기념물 419호로 지정돼 있다. 그리고 또하나의 천연기념물이 있다. 바로 볼음도 주민들의 자랑인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천연기념물 제304호)다.

볼음도 선착장 부근 바닷가 풍경. 이병학 선임기자
볼음2리 안말 바닷가 볼음저수지 옆에 선 거목이다. 은행 열매도 열지 않는 이 할아버지 은행나무(수나무)가 남북 화해·교류 시기를 맞아 새롭게 조명되고 있어 눈길을 끈다. 말하자면, 이산가족의 아픔을 간직한 ‘남북 이산 나무’이기 때문이다. 일제강점기나 1·4후퇴 때 헤어진 건 아니고, 약 800년 전쯤 불가피하게 북녘에 아내를 두고 내려왔다는 남편 나무다.

먼저 은행나무가 드리운 그늘 안으로 들어가 보자. 높이 약 25m, 가슴 높이 둘레가 약 9m에 이른다. 묵직한 밑둥도, 갈라져 뻗은 줄기도, 짙푸른 잎들을 피워낸 가지들도 건강해 보인다. 늘어진 가지 일부를 철선으로 묶어 지탱하고 갈라진 틈을 메운 것말고는 온전한 모습이다. 나무 앞 볼음저수지 한쪽에는 홍련·백련이 흐드러지게 피어나 볼거리를 더한다.

할머니 한 분이 할아버지 은행나무 그늘에 앉아 있다. 그늘 의자에 앉아 무수히 뻗어나간 거대한 은행나무 가지들을 올려다보고 또 올려다본다. 마치 은행나무의 품에 안기기라도 한 듯 행복한 표정이다.

“이삼일에 한번씩은 오지. 자전거 타고. 여기 이렇게 앉아 있으면 참 마음이 편안해지고 기분이 좋아져요.”

당아래 마을(볼음1리)에 사는 이양금(69)씨다. 그는 “은행나무를 며칠 안 보면, 보고 싶어 안달이 날 정도”라고 했다. 집안일 하다가도 은행나무가 보고 싶어지면 자전거로 3㎞ 거리를 달려 온다. 봄·여름·가을·겨울 가리지 않고 수시로 달려 온다. 여름에는 그늘이 좋고, 가을엔 노란 단풍이 멋지고, 겨울엔 눈 흩날리는 광경이 정말 볼 만 하단다. 전북 부안에서 시집 와 50년 가까이 살며 정 붙여 온 나무다. 이씨는 손주들에게 “너희들도 이 나무처럼 크고 훌륭하게 자라야 한다”는 말을 자주 들려준다고 했다. 이렇듯 볼음도 은행나무의 큰 그늘은 주민들 쉼터이자 배움터요, 힐링의 공간이다.

천연기념물 제304호인 볼음도 은행나무. 이병학 선임기자
“그나저나 저 북쪽 나무와는 부부 나무라는데 떨어져 있으니 얼마나 그리웠겠어.” 볼음도에서 불과 7~8㎞ 거리의 북녘 땅, 황해남도 연안군에 있는 수령 800년의 은행나무(암나무)를 두고 하는 얘기다. 사연은 이렇다.

수백년 전 어느 여름, 큰 비가 내린 뒤 볼음도 북쪽 바닷가로 뿌리째 뽑힌 은행나무 한 그루가 떠밀려 왔다. 주민들은 이를 건져 바닷가 산자락에 심었고, 나무는 용케도 잘 자랐다. 오가는 어민들을 통해 이 나무가 황해도 바닷가 마을(현재의 연안군 호남리)에 있던, 암·수 한 쌍의 은행나무 중 대홍수 때 뽑혀 나간 수나무인 것을 확인했다. 그 뒤 양쪽 마을 주민들은 각각 정월 풍어제를 지낼 때 헤어진 부부 나무의 안녕을 비는 제를 함께 지냈다고 한다. 풍어제는 볼음도에 기독교가 전파되면서 시들해졌고, 한국전쟁 뒤로는 명맥이 완전히 끊겼다. 기록에는 없지만, 볼음도 주민들에게 오래전부터 구전돼 오고 있는 사연이다.

볼음2리 안말 경로당 앞의 정자. 이병학 선임기자
몇백년을 헤어져 지내온 ‘이산 은행나무 부부’. 이 부부가 멀리서나마 서로 안부를 전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된다. 8월17일은 1년에 한 번 견우와 직녀가 만난다는 칠월칠석(음력 7월7일)이다. 볼음도 은행나무 주변에서 이날 오전 11시부터 ‘이산 부부 은행나무’를 위로하는 행사가 벌어진다. 천연기념물을 관할하는 문화재청과 사단법인 섬연구소가 마련한 행사다. 섬연구소가 남북 분단으로 헤어져 사는 두 은행나무를 위로하는 행사를 문화재청에 제안해 성사됐다. 북한쪽 마을에 연락이 닿은 것은 아니지만, 문화재청은 북한이 2005년 펴낸 <조선천연기념물도감1>에서 황해남도 연안군 호남리 호남중학교에 800년 된 은행나무(암나무)가 있음을 확인했다. 북한의 천연기념물 제165호다.

북한 <조선천연기념물도감1>에 실린 황해남도 연안군의 은행나무(암나무). 문화재청 제공


‘강화 볼음도 은행나무 민속행사’로 이름 붙인 이날 행사에선 평화의 시 낭송, 마당놀이·살풀이·판소리·북춤·풍물놀이 등 전통공연, 황해도 연안의 은행나무를 대형 그림으로 그리는 페인팅 쇼 등이 펼쳐질 예정이다. 섬연구소 강제윤 소장은 “4·27 남북정상회담에서 합의한 ‘판문점 선언’의 구체적 실행 조처의 하나가 서해 북방한계선(NLL)의 평화 수역화다. 이 구역에 있는 부부 나무의 인연을 다시 이어주고 ‘평화의 나무’로 정한다면, 평화 수역의 상징물로 남북 화해·평화의 촉매제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 이희영 사무관은 “서로 연락이 되고 기회가 온다면, 볼음도와 호남리 양쪽 마을 주민들이 함께 하는 ‘부부 은행나무 기리기’ 행사도 정기적으로 추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드넓은 갯벌과 백합 조개 채취 체험 등으로 이름난 볼음도는 이제, 남북 화해와 평화를 상징하는 뜻깊은 관광자원 하나를 새로 품게 된 셈이다.

볼음도(인천)/글·사진 이병학 선임기자 leebh99@hani.co.kr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오늘의 추천 뉴스]
[▶ 블록체인 미디어 : 코인데스크] [신문구독]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