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iley & Scott 진단미생물학 1
찜하기

Bailey & Scott 진단미생물학 1

14판
  • 저자
    Patricia Tille
  • 번역
    김태운,김충환,김충환
  • 출판
    범문에듀케이션
  • 발행
    2018.03.02.
책 소개
"[ 14판 특징 ] - 2014년에 개정한 13판은 일부 미생물들의 분류를 새롭게 기술하였고 각 장마다 학습목표를 처음으로 추가 , 개정 14판(2017)에서는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 새롭게 추가된 미생물 분류는 물론 최근의 분자생물학적 방법, 항균제 내성기전을 예측하기 위한 항균제 내성 검출 보조 시험 등을 소개 하여 13판에 이은 14판의 학습목표는 각 장을 시작할 때마다 무엇을 학습하고 어떻게 답해야 하는 지를 예상하게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게함 - 환자의 검체에서 분리빈도가 가장 많은 장내세균과에 대한 장(chapter 19)은 12판이나 13판보다 2배로더 보완되어 중요한 균속이나 균종간 감별을 위한 집락의 양상이나 생화학적 성상을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하여 각각의 표로 알기 쉽게 잘 요약함 - 미생물의 전통적인 배양과 동정에서부터 혈청학적 검사법뿐만 아니라 최근 급속하게 발전하는 핵산을 이용한 분자생물학적 진단검사 방법까지 실무에 필요한 내용의 핵

책 정보

책 정보

  • 카테고리
    기타
  • 쪽수/무게/크기
    4440g190*260*30mm
  • ISBN
    9791159430985

책 소개

"[ 14판 특징 ]
- 2014년에 개정한 13판은 일부 미생물들의 분류를 새롭게 기술하였고 각 장마다 학습목표를 처음으로 추가 , 개정 14판(2017)에서는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 새롭게 추가된 미생물 분류는 물론 최근의 분자생물학적 방법, 항균제 내성기전을 예측하기 위한 항균제 내성 검출 보조 시험 등을 소개 하여 13판에 이은 14판의 학습목표는 각 장을 시작할 때마다 무엇을 학습하고 어떻게 답해야 하는 지를 예상하게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게함

- 환자의 검체에서 분리빈도가 가장 많은 장내세균과에 대한 장(chapter 19)은 12판이나 13판보다 2배로더 보완되어 중요한 균속이나 균종간 감별을 위한 집락의 양상이나 생화학적 성상을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하여 각각의 표로 알기 쉽게 잘 요약함

- 미생물의 전통적인 배양과 동정에서부터 혈청학적 검사법뿐만 아니라 최근 급속하게 발전하는 핵산을 이용한 분자생물학적 진단검사 방법까지 실무에 필요한 내용의 핵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 14판 특징 ]

- 2014년에 개정한 13판은 일부 미생물들의 분류를 새롭게 기술하였고 각 장마다 학습목표를 처음으로 추가 , 개정 14판(2017)에서는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 새롭게 추가된 미생물 분류는 물론 최근의 분자생물학적 방법, 항균제 내성기전을 예측하기 위한 항균제 내성 검출 보조 시험 등을 소개 하여 13판에 이은 14판의 학습목표는 각 장을 시작할 때마다 무엇을 학습하고 어떻게 답해야 하는 지를 예상하게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게함



- 환자의 검체에서 분리빈도가 가장 많은 장내세균과에 대한 장(chapter 19)은 12판이나 13판보다 2배로더 보완되어 중요한 균속이나 균종간 감별을 위한 집락의 양상이나 생화학적 성상을 일목요연하게 잘 정리하여 각각의 표로 알기 쉽게 잘 요약함



- 미생물의 전통적인 배양과 동정에서부터 혈청학적 검사법뿐만 아니라 최근 급속하게 발전하는 핵산을 이용한 분자생물학적 진단검사 방법까지 실무에 필요한 내용의 핵심을 잘 기술하고 있음



-병원미생물을 다루는 모든 사람에게 반드시 필요한 지식으로 총론적 내용(1~12장)은 물론이고 세균학에서는 사람에게 질병을 유발하는 거의 모든 병원미생물의 특징과 생화학적 특성을 정리한 각론(13~45장), 그리고 인체의 각 기관별 병원균의 취급 및 동정(51~57장)에 이르기까지 상세하고 체계적으로 정리되어 있으며 임상검사실 관리에 대한 사항도 잘 기록되어 있음



- “진단미생물학 I” 은 총론적 내용을 중심으로 편집 하여 I권은 진단검사의학과와 임상병리학과에 입학하여 일반미생물학을 배우면서 처음으로 미생물학을 접하는 학생들의 교재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



- 각론과 각 기관별 검체와 병원균의 취급 및 미생물의 동정 부분을 “진단미생물학 II”로 편집 구성함으로써 고학년에서 병원 미생물학을 심도 있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I권과 II권에는 옮긴이 들이 우리의 실정에 맞추고 학습에 도움이 되는 내용을 더 보완해서 추가하여 편집



-“진단미생물학 II”에서는 옮긴이들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균속마다 각 균속의 일반적인 성상(Key to the Genus 또는 Definition of the Genus)을 추가함으로써 미생물의 배양과 균속간 감별 및 동정에 반드시 필요한 각 균속의 중요한 특징을 쉽게 학습할 수 있게 함



-이 책에 사용한 의학용어는 대한의사협회에서 출간한 “의학용어집” 제5판(2009)을 기준으로 하였으나 아직까지 통일되지 않은 용어나 이에 수록되지 않은 용어는 가능한 한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실무에서 사용하는 용어로 표기하려고 노력함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

옮긴이 머리말 / vii

지은이 머리말 / ix

Part I 기본 의학미생물학 / 1

제1장

미생물 분류학 Microbial Taxonomy / 3

분류 Classification 4

명명법 Nomenclature 6

동정 Identification 7

제2장

세균의 유전, 물질대사 및 구조 Bacterial Genetics, Metabolism, and Structure / 11

세균의 유전 Bacterial Genetics 12

세균의 대사 Bacterial Metabolism 30

세균세포의 구조와 기능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Bacteria Cell 38

제3장

숙주와 미생물 상호작용 Host-Microorganism Interaction / 47

숙주와 미생물의 만남 The Encounter Between Host and Microorganism 49

숙주 표면의 미생물 집락화 Microorganism Colonization of Host Surfaces 53

미생물의 숙주 내 침범, 침습, 전파 Microorganism Entry, Invasion and Dissemination 58

감염 질환의 발병과 예방 Outcome and Prevention of Infectious Diseases 73



Part II 임상미생물학 일반원리 / 79

SECTION 1 안전과 검체 관리 Safety and Specimen Management / 80

제4장

검사실 안전 Laboratory Safety / 81

멸균, 소독 및 오염제거 Sterilization, Disinfection, and Decontamination 82

화학물질 안전 Chemical Safety 87

화재 안전 Fire Safety 88

전기 안전 Electrical Safety 89

압축가스 취급 Handling of Compressed Gases 89

생물학적 안전 Biosafety 90

노출 통제계획 Exposure Control Plan 91

직원 교육과 지도 Employee Education and Orientation 92

위험 폐기물 처리 Disposal of Hazardous Waste 92

표준예방지침 Standard Precautions 94

기술 관리 Engineering Controls 95

위해성에 근거한 생물학적 병원체의 분류

Classification of Biologic Agents Based on Hazard 99

생물학적 위험물질의 운송 Mailing Biohazardous Materials 100

제5장

검체 관리 Specimen Management / 105

검체 채취와 취급을 위한 일반 개념

General Concepts for Specimen Collection and Handling 106

검체 보존 Specimen Preservation 108

검체 정밀 검사 Specimen Workup 123

신속한 결과보고: 전산화 Expediting Results Reporting: Computerization 125

SECTION 2 감염병(질환) 진단을 위한 접근 Approaches to Diagnosis of Infectious Diseases/ 126

제6장

현미경검사의 역할 Role of Microscopy /127

명시야현미경검사 Bright-Field (Light) Microscopy 129

위상차현미경검사 Phase-Contrast Microscopy 140

형광현미경검사 Fluorescent Microscopy 141

암시야현미경검사 Dark-Field Microscopy 146

전자현미경검사 Electron Microscopy 146

디지털 방식의 자동화된 현미경검사 Digital Automated Microscopy 147

제7장

전통적 배양과 동정 Traditional Cultivation and Identification / 153

미생물의 동정 Organism Identification 153

세균 배양의 원리 Principle of Bacterial Cultivation 154

세균 배양 Bacterial Cultivation 170

동정의 원리 Principle of Identification 175

표현형 동정 계획의 원리 Principles of Phenotypic Identification Schemes 184

전통적 동정법 Conventional Identification 186

신속 동정법 Rapid Identification 186

MALDI-TOF 질량분석법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 Ionization Time of Flight Mass Spectrometry 187

상업용 동정 체계 및 자동화 Commercial Identification Systems and Automation 191

제8장

미생물 동정과 특성 분석을 위한 핵산기반 분석 방법 Nucleic Acid-Based Analytic Methods for Microbial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 195

핵산기반 방법의 개요 Overview of Nucleic Acid?Based Methods 196

증폭 후 분석과 전통적인 분석 Postamplification and Traditional Analysis 230

제9장

미생물의 검출에 사용되는 면역화학적 방법의 개요

Overview of Immunochemical Methods Used for Organism Detection / 247

면역반응의 특징 Features of the Immune Response 248

임상 검사에 사용하기 위한 항체 생성

Production of Antibodies for Use in Laboratory Testing 253

IgM의 임상적 의의 IgM Clinical Significance 256

혈청 검사를 위한 IgG로부터 IgM의 분리 Separating IgM from IgG for Serologic Testing 256

미생물 검출에 사용되는 면역화학적 방법의 원리

Principles of Immunochemical Methods Used for Organism Detection 257

요약 Summary 272

SECTION 3 항균활성의 평가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 274

제10장

항균제 작용과 내성의 원리

Principles of Antimicrobial Action and Resistance / 275

항균제의 작용 Antimicrobial Action 276

항균제 내성 기전 Mechanisms of Antibiotic Resistance 290

제11장

항균제감수성검사를 위한 검사실 방법 및 전략

Laboratory Methods and Strategie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 305

항균제감수성검사의 목표와 한계 Goal and Limitations 306

시험 방법 Testing Methods 307

항균제감수성검사를 위한 검사실 전략

Laboratory Strategie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338

정확성 Accuracy 343

통신 Communication 348



Part III 세균학 / 351

SECTION 1 동정의 원리 Principles of Identification / 352

제12장

세균 동정 방법과 전략의 개요

Overview of Bacterial Identifi cation Methods and Strategies / 353

미생물 동정에 대한 이론적 근거 Rationale for Approaching Organism Identification 353

미생물 동정의 미래 동향 Future Trends of Organism Identification 355

찾아보기 / 410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판매처

전문 서점 3
정보
도서를 전문으로 판매하는 온라인 서점입니다.
레이어닫기
목록보기
일반 쇼핑몰 14
목록보기

쇼핑몰에서 정확한 가격과 상품정보를 확인하세요!

신고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해주세요
신고
판매처 더보기

책 리뷰

리뷰 평점
5.0
평점 비율
3
5
리뷰 3
랭킹순
랭킹순

리뷰의 텍스트 길이, 최신 작성일, 단모음/단자음 반복 제외, 포토/동영상 리뷰, 자동 추출된 리뷰 토픽 등을 점수화하여 리뷰를 정렬합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