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로 보는 일일일사
찜하기

옛글로 보는 일일일사

  • 저자
    정인만(엮음)
  • 출판
    바른북스
  • 발행
    2017.07.06.
책 소개
사회생활을 시작할 무렵에는 그 총명하던 기억력도 퇴직 무렵에는 점점 줄어드는 것 같아 시간도 보낼 겸해서 중국 고전을 보게 되었다. 한 권 두 권 읽다 보니 젊어서 왜 이러한 책들을 읽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어 시간을 내어 많은 책을 구해 읽어 보았다. ‘사기(史記)’를 지은 사마천(司馬遷)은 ‘이릉지화(李陵之禍)’ 때문에 남자로서 가장 치욕스러운 궁형을 당하고도 혼신의 힘을 쏟아 130권 526,500자에 이르는 태사공서(太史公書)’를 저술하였다. 이 책이 후한 시대부터 ‘사기(史記)’라고 불렸다. 태사공서에서 사마천은 ‘서백(西伯)은 유리에 갇혀 있으므로 주역(周易)을 풀이했고, 공자는 진(陳)나라와 채(蔡)나라에서 고난을 겪었기 때문에 춘추(春秋)를 지었으며, 굴원(屈原)은 쫓겨나는 신세가 되어 이소(離騷)를 지었고, 좌구명(左丘明)은 눈이 멀어 국어(國語)를 남겼다. 손자(孫子)는 다리를 잘림으로써 병법(兵法)을 논했고, 여불위(呂不韋)는 촉나라로 좌천되어 여씨춘추(呂氏春秋)를 전했으며, 한비(韓非)는 진(秦)나라에 갇혀 세난(說難)과 고분(孤憤) 남겼다.’ 라고 하였다.
e북 2구매 12,600상세보기

책 정보

책 정보

  • 카테고리
    eBook
  • 쪽수/무게/크기
    540
  • ISBN
    9791188363094

책 소개

사회생활을 시작할 무렵에는 그 총명하던 기억력도 퇴직 무렵에는 점점 줄어드는 것 같아 시간도 보낼 겸해서 중국 고전을 보게 되었다. 한 권 두 권 읽다 보니 젊어서 왜 이러한 책들을 읽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어 시간을 내어 많은 책을 구해 읽어 보았다. ‘사기(史記)’를 지은 사마천(司馬遷)은 ‘이릉지화(李陵之禍)’ 때문에 남자로서 가장 치욕스러운 궁형을 당하고도 혼신의 힘을 쏟아 130권 526,500자에 이르는 태사공서(太史公書)’를 저술하였다. 이 책이 후한 시대부터 ‘사기(史記)’라고 불렸다. 태사공서에서 사마천은 ‘서백(西伯)은 유리에 갇혀 있으므로 주역(周易)을 풀이했고, 공자는 진(陳)나라와 채(蔡)나라에서 고난을 겪었기 때문에 춘추(春秋)를 지었으며, 굴원(屈原)은 쫓겨나는 신세가 되어 이소(離騷)를 지었고, 좌구명(左丘明)은 눈이 멀어 국어(國語)를 남겼다. 손자(孫子)는 다리를 잘림으로써 병법(兵法)을 논했고, 여불위(呂不韋)는 촉나라로 좌천되어 여씨춘추(呂氏春秋)를 전했으며, 한비(韓非)는 진(秦)나라에 갇혀 세난(說難)과 고분(孤憤) 남겼다.’ 라고 하였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

새롭게 시작하면서

1.1 화서지몽(華胥之夢)
1.2 강구연월(康衢煙月)
1.3 불 초(不 肖)
1.4 수즉다욕(壽則多辱)
1.5 득어망전(得魚忘筌)
1.6 기산영수(箕山潁水)
1.7 요순선양(堯舜禪讓)
1.8 고굉지신(股肱之臣)
1.9 반궁자성(反躬自省)
1.10 주지육림(酒池肉林)
1.11 포락지형(?烙之刑)
1.12 장야지음(長夜之飮)
1.13 빈계지신(牝鷄之晨)
1.14 맥수지탄(麥秀之嘆)
1.15 우예지송(虞芮之訟)
1.16 백이숙제(伯夷叔齊)
1.17 이포역포(以暴易暴)
1.18 미봉책(彌縫策)
1.19 중심성성 중구삭금(衆心成城 衆口?金)
1.20 종선여등 종악여붕(從善如登 從惡如崩)
1.21 목계지덕(木鷄之德)
1.22 포 사(褒 ?)
1.23 계찰괘검(季札掛劍)
1.24 어장검(魚腸劍)
1.25 간장과 막야(干將과 莫耶)
1.26 생선회(生鮮?)
1.27 오월동주(吳越同舟)
1.28 일모도원(日暮途遠)
1.29 동병상련(同病相憐)
1.30 당랑포선(螳螂捕蟬)
1.31 손자병법(孫子兵法)

2.1 공자 경기와 요리(公子 慶忌와 要離)
2.2 심복지환(心腹之患)
2.3 분종지물(糞種之物)
2.4 복수불반(復水不返)
2.5 관포지교(管鮑之交)
2.6 정료지광(庭燎之光)
2.7 제환공(齊桓公)의 약속
2.8 노마지지(老馬之智)
2.9 풍마우불상급(風馬牛不相及)
2.10 제환공(齊桓公)의 죽음
2.11 양두구육(羊頭狗肉)
2.12 동곽미인(東郭美人)
2.13 당랑거철(螳螂拒轍)
2.14 귤화위지(橘化爲枳)
2.15 안자어(晏子御)
2.16 유련황망(流連荒亡)
2.17 임갈굴정(臨渴掘井)
2.18 추기급인(推己及人)
2.19 한음지척(翰音之?)
2.20 금덩어리만 보였는데
2.21 노주공(魯周公)의 인재추천
2.22 사이불후(死以不朽)
2.23 이방예위인(以放?爲仁)
2.24 양호(陽虎)의 배반
2.25 아이와의 약속
2.26 미생지신(尾生之信)
2.27 식 언(食 言)6
2.28 원수불구근화(遠水不救近火)

3.1 도적(盜賊)에게도 도가 있단다
3.2 투계(鬪鷄)와 魯나라 변란
3.3 권선징악(勸善懲惡)
3.4 순리 공의휴(循吏 公儀休)
3.5 기사회생(起死回生)
3.6 전화위복(轉禍爲福)
3.7 반의지희(斑衣之戱)
3.8 악정자춘(樂正子春)`
3.9 연왕쾌와 자지(燕王?와 子之)
3.10 천금매골(千金買骨)
3.11 오두백 마생각(烏頭白 馬生角)
3.12 방약무인(傍若無人)
3.13 절치부심(切齒腐心)
3.14 불연지물(不然之物)
3.15 호질기의(護疾忌醫)
3.16 반손치벽(盤?置璧)
3.17 구위과부(九爲寡婦)
3.18 돈흡수미(敦洽??)
3.19 기인지우(杞人之憂)
3.20 대의멸친(大義滅親)
3.21 의공희학(懿公喜鶴)
3.22 부복납간(部腹納肝)
3.23 자로(子路)의 죽음
3.24 신뢰는 작은 약속 실천부터
3.25 거기부정(擧旗不定)
3.26 여도지죄(餘桃之罪)
3.27 거백옥(?柏玉)
3.28 백주지조(栢舟之操)
3.29 패역무도(悖逆無道)
3.30 송양지인(宋襄之仁)
3.31 일배양갱망국(一杯羊羹亡國)

4.1 각자위정(各自爲政)
4.2 중구난방(衆口難防)
4.3 송백희(宋伯姬)
4.4 시집가는 딸에게 가르치기를
4.5 宋나라 丁씨가 우물을 파다가
4.6 맹구주점(猛狗酒店)
4.7 지어지앙(池魚之殃)
4.8 수주대토(守株待兎)
4.9 원앙지계(鴛鴦之契)
4.10 동엽봉제(棟葉封弟)
4.11 가도멸괵(假道滅?)
4.12 무피시모(無皮施毛)
4.13 종회여류(從懷如流)
4.14 탐천지공(貪天之功)
4.15 결초보은(結草報恩)
4.16 퇴피삼사(退避三舍)
4.17 허장성세(虛張聲勢)
4.18 문공벌원(文公伐原)
4.19 갈택이어(竭澤而魚)
4.20 동호지필(董狐之筆)
4.21 제경공(齊頃公)의 무례
4.22 병입고황(病入膏?)
4.23 내우외환(內憂外患)
4.24 숙맥불변(菽麥不辨)
4.25 거안사위(居安思危)
4.26 단장취의(斷章取義)
4.27 대공무사(大公無私)
4.28 발본색원(拔本塞源)
4.29 엄이도종(掩耳盜鐘)
4.30 구유탐대지뢰(仇由貪大之賂)

5.1 칠신탄탄(漆身呑炭)
5.2 화씨지벽(和氏之璧)
5.3 수후지주(隋侯之珠)
5.4 서제막급(?臍莫及)
5.5 도화부인(桃花夫人)
5.6 성복전투(城?戰鬪)
5.7 언릉전투(?陵戰鬪)
5.8 절영지연(絶纓之宴)
5.9 불비불명(不飛不鳴)
5.10 낭자야심(狼子野心)
5.11 문정경중(問鼎輕重)
5.12 우맹의관(優孟衣冠)
5.13 빙이능립(憑而能立)
5.14 택자막여부 택신막여군(擇子莫如父 擇臣莫如君)
5.15 공주를 업고 강을 건넌 인연
5.16 연저지인(?疽之仁)
5.17 코를 베어버려라
5.18 호가호위(狐假虎威)
5.19 구상익정(狗嘗溺井)
5.20 노주박이 한단위(魯酒薄而 邯鄲圍)
5.21 화사첨족(?蛇添足)
5.22 모 순(矛 盾)9
5.23 각주구검(刻舟求劍)
5.24 초주죽정(楚珠?鄭)
5.25 영서연설(?書燕說)
5.26 백아절현(伯牙絶絃)
5.27 불사약(不死藥)
5.28 이화접목(移花接木)
5.29 무망지복(毋望之福)
5.30 거세혼탁 이아독청(擧世混濁 而我獨淸)
5.31 상궁지조(傷弓之鳥)

6.1 와신상담(臥薪嘗膽)
6.2 적곡증미(?穀蒸米)
6.3 토사구팽(兎死狗烹)
6.4 도주공 범려(陶朱公 范?)
6.5 서시빈목(西施?目)
6.6 호(胡)나라 멸망
6.7 다행불의 필자폐(多行不義 必自斃)
6.8 부자량력(不自量力)
6.9 백년하청(百年河淸)
6.10 인심여면(人心如面)
6.11 빈지여귀(賓支如歸)
6.12 국장망 필다제(國將亡 必多制)
6.13 조진모초(朝秦暮楚)
6.14 정인매리(鄭人買履)
6.15 자열자궁(子列子窮)
6.16 마계산(磨?山)
6.17 호복기사(胡服騎射)
6.18 어부지리(漁父之利)
6.19 문경지교(刎頸之交)
6.20 병사지야(兵死地也)
6.21 모수자천(毛遂自薦)
6.22 전거후공(前倨後恭)
6.23 현량자고(懸梁刺股)
6.24 전거복철(前車覆轍)
6.25 하백제사(河伯祭祀)
6.26 재덕부재험(在德不在險)
6.27 삼인성호(三人成虎)
6.28 오십보백보(五十步百步)
6.29 와각지쟁(蝸角之爭)
6.30 절부구조(竊符求趙)

7.1 일거양득(一擧兩得)
7.2 적우침주(翟羽枕舟)
7.3 횡수지즉생(橫樹之則生)
7.4 남색의 물고기 낚시
7.5 월관지화(越冠之禍)
7.6 역 린(逆 鱗)
7.7 계구우후(鷄口牛後)
7.8 남우충수(濫?充數)
7.9 계릉전투(桂陵戰鬪)
7.10 마릉전투(馬陵戰鬪)
7.11 술 찌꺼기도 나눠 먹어야
7.12 계명구도(鷄鳴狗盜)
7.13 교토삼굴(狡兎三窟)
7.14 염량세태(炎凉世態)
7.15 명불허전(名不虛傳)
7.16 돈제일주(豚蹄一酒)
7.17 배반낭자(杯盤狼藉)
7.18 이유취(以類聚)
7.19 의문지망(倚門之望)
7.20 견토지쟁(犬兎之爭)
7.21 화우지계(火牛之計)
7.22 제(齊)나라 사냥꾼
7.23 백락일고(伯樂一顧)
7.24 기복염거(驥服鹽車)
7.25 성동격서(聲東擊西)
7.26 소주부인(小主夫人)
7.27 오고대부(五?大夫)
7.28 우복실마(右服失馬)
7.29 원입골수(怨入骨髓)
7.30 조명시리(朝名市利)
7.31 소탐대실(小貪大失)

8.1 거정절빈(擧鼎絶?)
8.2 이목지신(移木之信)
8.3 도불습유(道不拾遺)
8.4 부 마(駙 馬)
8.5 누란지위(累卵之危)
8.6 이골투구(以骨投狗)
8.7 순장제도(殉葬制度)
8.8 기화가거(奇貨可居)
8.9 일자천금(一字千金)
8.10 이사(李斯)의 탄식
8.11 이사(李斯)의 행차
8.12 이사(李斯)의 심문
8.13 정국거(鄭國渠)
8.14 분서갱유(焚書坑儒)
8.15 서 불(徐 ?)
8.16 만리장성(萬里長城)
8.17 진시황(秦始皇)의 문화통일
8.18 진시황릉(秦始皇陵)
8.19 지록위마(指鹿爲馬)
8.20 부족치 치아간(不足置 齒牙間)
8.21 연작안지 홍곡지지(燕雀安知 鴻鵠之志)
8.22 왕후장상 영유종호(王侯將相 寧有種乎)
8.23 파부침주(破釜枕舟)
8.24 홍문지연(鴻門之宴)
8.25 수자부족여모(竪子不足與謨)
8.26 금의야행(錦衣夜行)
8.27 두주불사(斗酒不辭)
8.28 양호유환(養虎遺患)
8.29 사면초가(四面楚歌)
8.30 면 목(面 目)
8.31 일패도지(一敗塗地)

9.1 양약고구(良藥苦口)
9.2 약법삼장(約法三章)
9.3 마상득지 마상치지(馬上得之 馬上治之)
9.4 과하지욕(跨下之辱)
9.5 배수지진(背水之陣)
9.6 천려일실(千慮一失)
9.7 걸구폐요(桀狗吠堯)
9.8 해의추식(解衣推食)
9.9 다다익선(多多益善)
9.10 성소하 패소하(成蕭何 敗蕭何)
9.11 한고조 유방의 논공행상(論功行賞)
9.12 유자가교(孺子可敎)
9.13 우익이성(羽翼已成)
9.14 인 체(人 ?)
9.15 불명일전(不名一錢)
9.16 금루옥의(金縷玉衣)
9.17 조령모개(朝令暮改)
9.18 모자는 해져도 머리에 쓴다
9.19 곡학아세(曲學阿世)
9.20 문전작라(門前雀羅)
9.21 금옥장교(金屋藏嬌)
9.22 수서양단(首鼠兩端)
9.23 유언비어(流言蜚語)
9.24 야랑자대(夜郞自大)
9.25 오손공주(烏孫公主)
9.26 요령부득(要領不得)
9.27 묵돌 선우의 명적(鳴鏑)
9.28 강노지말(强弩之末)
9.29 금석위개(金石爲開)
9.30 인생조로(人生朝露)

10.1 안 서(雁 書)
10.2 구우일모(九牛一毛)
10.3 곽사인(郭舍人)
10.4 가도벽립(家徒壁立)
10.5 장탕의 쥐재판
10.6 경국지색(傾國之色)
10.7 초공왕(楚共王)이 활을 잃어버리자
10.8 대기만성(大器晩成)
10.9 공자의 스승 항탁(項託)
10.10 교언영색(巧言令色)
10.11 절차탁마(切磋琢磨)
10.12 요산요수(樂山樂水)
10.13 포호빙하(暴虎馮河)
10.14 삼인행 필유아사(三人行 必有我師)
10.15 전전긍긍(戰戰兢兢)
10.16 후생가외(後生可畏)
10.17 승당입실(升堂入室)
10.18 백규지점(白圭之?)
10.19 유좌지기(宥坐之器)
10.20 무신불립(無信不立)
10.21 살신성인(殺身成仁)
10.22 기소불욕 물시어인(己所不欲 勿施於人)
10.23 우도할계(牛刀割鷄)
10.24 도청도설(道聽塗說)
10.25 담대멸명(澹臺滅明)
10.26 위편삼절(韋編三絶)
10.27 비인불인 불인비인(非人不忍 不忍非人)
10.28 지란지교(芝蘭之交)
10.29 상가지구(喪家之狗)
10.30 조즉택목(鳥卽擇木)
10.31 불치하문(不恥下問)

11.1 믿는 것은 눈이지만 눈도 믿을 것이 못 된다
11.2 풍수지탄(風樹之嘆)
11.3 가렴주구(苛斂誅求)
11.4 인자무적(仁者無敵)
11.5 연목구어(緣木求魚)
11.6 필부지용(匹夫之勇)
11.7 이여반장(易如反掌)
11.8 호연지기(浩然之氣)
11.9 알묘조장(?苗助長)
11.10 측은지심(惻隱之心)
11.11 농 단(壟 斷)
11.12 순천자존(順天者存)
11.13 득기소재(得其所哉)
11.14 필부필부(匹夫匹婦)
11.15 독서상우(讀書尙友)
11.16 자포자기(自暴自棄)
11.17 마음과 눈동자
11.18 역지사지(易地思之)
11.19 사생취의(捨生取義)
11.20 군자삼락(君子三樂)
11.21 왕자불추 내자불거(往者不追 來者不拒)
11.22 사이비(似而非)
11.23 무위자연과 소요유(無爲自然과 逍遙遊)
11.24 호접지몽(胡蝶之夢)
11.25 포정해우(?丁解牛)
11.26 명경지수(明鏡止水)
11.27 독서망양(讀書亡羊)
11.28 효 시(嚆 矢)
11.29 정저지와(井底之蛙)
11.30 죽은 거북보다는 산 피라미가

12.1 무용지용(無用之用)
12.2 해군지마(害群之馬)
12.3 학철부어(?轍?魚)
12.4 조균부지회삭(朝菌不知晦朔)
12.5 무병자구(無病自灸)
12.6 엿을 보고
12,7 십 과(十 過)
12.8 망 징(亡 徵)
12.9 여인성여 장인성관(輿人成輿 匠人成棺)
12.10 일수독박 수질무성(一手獨拍 雖疾無聲)
12.11 한마지로(汗馬之勞)
12,12 양포지구(楊布之狗)
12.13 우공이산(愚公移山)
12.14 해옹호구(海翁好鷗)
12.15 조삼모사(朝三暮四)
12.16 목장묘자(目將?者)
12.17 의심암귀(疑心暗鬼)
12.18 묵적지수(墨翟之守)
12.19 회남계견(淮南鷄犬)
12.20 청출어람(靑出於藍)
12.21 봉생마중 불부자직(蓬生麻中 不扶自直)
12.22 노마십가(駑馬十駕)
12.23 군주민수(君舟民水)
12.24 광자동주 축자동주(狂者東走 逐者東走)
12.25 우제지잠 무척지리(牛蹄之? 舞尺之鯉)
12.26 금선탈각(金蟬脫殼)
12.27 호사수구(狐死首丘)
12.28 새옹지마(塞翁之馬)
12.29 백유읍장(伯兪泣杖)
12.30 치망설존(齒亡舌存)
12.31 화식열전(貨殖列傳)

참고서적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판매처

구매 가능한 판매처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