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정5구역, 원주민 상생 재개발 '훈풍'

입력
기사원문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원주민의 재정착률을 높이고 주민 참여를 강화해 주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사업을 추진 중인 괴정5구역 주택재개발사업 조감도. 괴정5구역 주택재개발추진위 제공

주택재개발사업의 가장 큰 부작용은 분담금을 내지 못한 원주민들이 고향에서 쫓겨나는 데 있다. 경제 사정이 넉넉하지 못한 주민들은 살던 집을 팔아도 비싼 새집에 가지 못해 결국 타 지역으로 내몰리게 된다. 이 때문에 재개발사업장 곳곳에서는 사업 추진을 반대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다.

원주민들이 분담금 부담 없이 새집으로 옮겨갈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 부산 사하구 괴정5구역 주택재개발 사업지가 그런 곳이다. 주민자치형 재개발사업 시범단지인 괴정5구역은 개발이익을 주민들에게 환원하면서 분담금이 획기적으로 줄었다.

재정착률 90% 이상 목표
추진위, 분양 이익금 분배
주민 '분담금' 충당 계획
재생에너지 등 관리비 절감

포스코·롯데·SK건설 등
메이저 건설업체 경쟁 치열
대성문 등 지역업체도 가세


1차 사업에만 4200세대가 들어서는 대단지 개발사업에 메이저급 건설업체가 앞다퉈 수주전에 뛰어들면서 괴정5구역이 부산에서 가장 뜨거운 지역으로 떠오르고 있다.

■주민 재정착률 90% 목표

괴정5구역 주택재개발사업에서 가장 눈에 띄는 것은 원주민들의 재정착률 90% 이상을 목표로 한다는 점이다.

사하구 낙동대로 301(괴정동) 일대 16만여㎡를 대상으로 한 괴정5구역은 1400여 세대가 살고 있다. 재개발 이후 1200여 세대가 재정착을 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재개발에 따른 원주민 재정착률이 10%에 못 미치는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이다.

과연 가능한 일일까. 괴정5구역은 기존의 관 주도의 재개발이 아닌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재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있어 가능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괴정5구역은 47년 동안 개발이 멈춰 있다. 2011년에는 재정비촉진지구 해제까지 겪었다. 하지만 2015년 '주민자치 생활권시범마을'로 지정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정비구역 지정을 위한 주민 동의가 이뤄졌고, 지난해 9월 구역지정이 고시됐다. 한 달 뒤 조합설립추진위원회가 구성되고 조합 설립을 위한 총회가 오는 31일로 예정돼 있다.

■재개발 패러다임 바꾼다

주민자치형 재개발사업이 기존 재개발과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개발이익을 주민들에게 환원한다는 데 있다. 1200세대의 주민이 재개발사업 완료 이후 입주하더라도 3000세대가 남는다. 3000세대의 분양에서 나오는 이익금을 원주민들에게 분배해 주민 분담금으로 충당하겠다는 게 추진위 계획이다. 분담금을 마련하지 못해 타 지역으로 쫓겨나는 부작용을 없애겠다는 것이다. 신재생에너지와 대형마트 유치 등으로 재원을 마련해 관리비도 절반으로 낮추기로 했다.

특히 시범마을 내 실버타운(411세대)을 마련해 고향에서 의료와 간병 등이 가능하도록 하고, 낙동대로와 괴정천을 덮어 임대 아파트와 쇼핑몰 등을 지을 계획이다.

지난해 서부산터널(제2 대티터널) 건설이 사실상 확정되면서 괴정5구역은 사하의 중심지로 거듭날 전망이다. 서부산터널이 준공되면 중구 남포동과 괴정동이 10분 거리로 단축되고, 괴정동 일대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메이저급 건설업체 수주전

괴정5구역에 메이저급 건설업체가 앞다퉈 수주 경쟁에 뛰어들었다. 해당 지역은 향후 진행될 2·3차 사업까지 포함하면 1만 5000세대가 넘는 대단지다. 현재 포스코·GS·롯데·대림·SK건설 등 5개 건설사가 시공권 수주를 위한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1차 사업 수주를 따내면 향후 진행될 2·3차 사업 수주를 따낼 가능성이 높다. 지역 업체로는 대성문건설과 동부토건 등이 참여 의사를 밝히고 있다. 추진위는 오는 31일 조합 설립 총회를 거쳐 5월께 시공사를 선정할 계획이다.

추진위 관계자는 "대형 건설업체 1곳 또는 1~2곳의 컨소시엄과 지역 업체 1곳을 고려하고 있다"면서 "무엇보다 주민들을 위해 시공하는 업체를 선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진성 기자 paperk@busan.com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