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대통령 연기금 특화 중심
제3금융중심지 지정 대선공약
일부국내외언론 '전주리스크'
'논두렁본부' 등 비하 흠집내
부산상의, 추가지정 반대 성명

본부 퇴사 인력 2.3배 신규채용
이직율 업계 평균보다 낮아
지난해 수익률 41.2조원 7.26%
7년중 최고··· 연기금 특화로
서울-부산 금융중심지와 차별
연기금전문대학원설립 최우선
정부-도-정치권 협조 총력을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
월스트리트저널은 최근 1면에 기금운용본부의 지리적 위치를 문제 삼는 기사를 내 도민들의 분노를 자극했다.

전북이 제3금융중심지 조성을 위한 날갯짓을 하고 있다.

전북혁신도시에 연기금과 농생명 특화 금융중심지 조성을 서두르고 있다.

오는 12월께 나올 금융위원회의 금융중심지 추가지정 검토 용역 결과가 주목된다.

제3의 금융중심지 지정이 확정되면 전북은 그야말로 새로운 성장산업의 발판 위에 서는 것이다.

하지만 곳곳에서 훼방꾼이 나타나고 있다.

국내외 일부 언론의 왜곡보도, 금융경쟁력을 잃어가고 있는 부산지역 반대론자들이다.

게다가 일부에서는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기금운용본부의 인력 유출과 기금운용 수익률 저하를 놓고 비판의 날을 세우고 있다.

이들은 제3금융중심지로 가려는 전북의 발목을 걸고 있다.

정치적 의도가 담겼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전북의 제3금융중심지 조성을 시샘하는 훼방꾼들의 저의와 차질없는 추진을 위한 과제·대안을 살펴본다.
/편집자주
 



▲곳곳서 제3금융중심지 ‘흠집내기’  

전북혁신도시 제3금융중심지 지정은 문재인 대통령의 대선공약이다.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혁신도시를 4차 산업혁명의 전진기지로 육성하려는 의지가 담겼다.

‘혁신도시 시즌2’가 그것인데 전북에 농생명과 연기금 금융거점을 만들겠다는 것이다.

연기금 특화중심지와 농업금융 기반 구축을 통해 서울과 부산에 이은 제3의 금융중심지로 육성을 공약했다.

또한 연기금전문대학원 설립과 국제금융센터 건립, 농업정책보험금융원 이전 등도 제시됐다.

특히 국제금융센터는 서울과 부산에 이어 전북혁신도시에 제3의 금융중심지로 지정받기 위한 핵심 시설이다.

이를 통해 도민들은 향후 제3금융중심지 지정을 계기로 새롭게 성장하는 전북의 미래 모습을 그리고 있다.

문제는 전북의 금융중심지 조성을 흠집내려는 억측성 보도와 주장이 난무하고 있다는 점이다.

일부 국내 언론의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 흔들기가 도를 넘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 같은 기금운용본부 흔들기의 정점에는 그 동안 수없이 반복되고 있는 ‘전주리스크’가 있다.

일부 국내 언론에서는 ‘논두렁 본부’라는 비아냥 섞인 비판도 이어갔다.

또 다른 언론은 해외 투자자들의 ‘기금운용본부 패싱’이 현실화됐다고 주장했다.

기금운용본부 전주 이전에 찬물을 끼얹고 있다.

최근 불거진 미국 유력일간지 월스트리트저널(WSJ)의 비하 보도도 도민들의 분노를 자극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최근 1면 기사를 통해 기금운용본부의 지리적 위치까지 문제삼고 나섰다.

세계에서 세번째로 규모가 큰 연기금이 최고투자책임자(CIO)를 찾는데 고전하고 있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본부장이라는 자리는 매우 정치적일 수 있다. 가장 큰 문제는 위치로 기금운용본부가 축사, 분뇨처리시설 등에 둘러싸여 있다”고 보도했다.

또한 지면에 돼지 삽화를 그려넣어 기금운용본부 위치문제를 놓고 조롱했다.

부산상공회의소의 전북혁신도시 제3금융중심지 반대 성명도 도민들의 분노를 극도로 자극했다.

부산상의는 최근 금융위원회가 금융연구원을 통해 실시하고 있는 ‘금융중심지 추가지정 타당성 검토를 위한 연구’ 용역과 관련, 전북의 ‘제3금융중심지 추가지정 반대’ 성명을 발표했다.

정부의 2차 공공기관 지방이전계획 수립 과정에 눈독을 둔 처사라는 지적이다.

부산상의는 부산금융중심지 활성화에 필요한 금융 공공기관들을 이전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지원을 촉구했다.

부산의 금융경쟁력이 점점 약화되는 시기에 나온 성명이라는 점에서 저의가 의심되는 대목이다.

이에 대해 전북도 관계자는 “부산상의의 반대 논평은 ‘혁신도시 시즌2’를 맞아 금융공공기관 추가 이전을 기대하고 있는 부산시의 정치적 의도가 들어가 있다”고 꼬집었다.

이처럼 일부 국내외 언론들은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를 ‘논두렁 본부’, ‘돼지의 이웃’으로 비하하며 제3금융중심지 조성을 흠집내고 있다.

마치 기금운용본부의 전주 이전이 큰 문제라도 있는 것처럼 왜곡된 보도를 일삼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일부 언론의 왜곡된 보도행태와 부산상의의 다분히 악의적인 반대 여론 조성은 다분히 정치적 의도를 앞세운 행동으로 보다 강력한 대응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여기저기서 흘러나오고 있다.


▲차질없는 제3금융중심지 조성 나설 때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의 인력 유출을 놓고 비판의 날을 세우는 일부 세력들의 움직임도 지속적으로 감지되고 있다.

이들은 지난 2013년부터 올해 6월까지 5년 반 동안 97명의 운용인력이 퇴사했고 그 수가 갈수록 늘고 있다는 주장을 펴고 있다.

하지만 이 기간 동안 신규 채용한 운용직 인력은 225명이나 되고 퇴사 인력의 2.3배가 새로 충원됐다는 점에서 설득력을 잃고 있다.

또한 지난해 기금운용직 이직률이 11.6%로 나타났지만 이는 금융업계 평균 이직률 12.3%에 비해 낮은 것으로 전주 이전 이후 공단의 이직률이 높다는 일부 언론의 지적에는 무리가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기금운용본부의 운용 수익률 저하도 문제삼고 있다.

하지만 지난해 2월 기금운용본부 이전 후 수익금과 수익률을 살펴보면 2017년 41.2조원, 7.26%로 최근 7년간 가장 높은 수익률을 달성해 오해를 불식시키고 있다.

이에 대해 한 언론사는 ‘국민연금이 7%대 수익률을 달성한 것은 세계경제성장의 영향 때문’이라고 국민연금을 평가절하 하기도 했다.

이는 기금운용본부의 서울 소재 당시인 지난 2014년 기준 가장 높았던 기금운용 수익률에 비춰볼 때 근거가 빈약하다는 평가다.

기금운용본부가 전주 이전 첫해에 기록한 수익률이 세계금융시장 호황에 묻어갔다는 평가에 무리가 따른다는 지적이다.

전북의 제3금융중심지 조성에는 타 지역에서 찾아볼 수 없는 전북만의 차별성도 존재한다.

다른 지역의 금융중심지와 달리 전북혁신도시는 농생명·연기금 금융거점이라는 점에서 차별성이 뚜렷하다.

전북의 제3금융중심지는 서울의 종합금융중심지, 부산의 해양·선박 특화 금융중심지에 이은 또다른 성격의 금융중심지다.

문재인 대통령도 이를 강조하며 대선공약화했다.

이와 함께 전북도는 제3금융중심지 조성의 차질없는 추진에 나서고 있다.

지난 2014년부터 혁신도시를 연기금과 농생명을 특화한 제3의 금융중심지로 만들겠다는 청사진을 내놨다.

그 해 10월에는 전라북도 특화 금융산업 발전방안 용역을 실시했고 이듬해 9월 전라북도 금융산업 육성 로드맵을 발표했다.

또한 10월에는 전라북도 금융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기도 했다.

이후 전북금융타운 조성을 위한 종합개발계획 수립 연구용역을 추진하는 등 전북혁신도시를 금융 특화지역으로 육성하기 위한 준비를 서둘렀다.

최근에는 전북형 금융타운을 민간사업자 공모방식으로 추진하고 있다.

국민연금공단의 역할론도 중시되고 있다.

전북혁신도시가 금융중심지로서 거듭나기 위해서는 국민연금공단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제3금융중심지 자체가 막대한 자금을 운용하는 기금운용본부를 기반으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또한 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를 기반으로 전북이 농생명·연기금 특화 금융도시를 이룰 수 있다는 점과도 맥을 같이하고 있다.

국민연금공단의 의지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다.

연기금 전문인력 양성은 국민연금의 안정적 운용을 위해서도 필수적이기 때문에 국민연금공간이 최우선적으로 연기금전문대학원 설립에 의지를 보여줘야 한다는 여론이다.

제3금융중심지를 만드는 데는 국민연금이나 전북도의 힘만으로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연기금 금융중심지 조성이 국가 주도 사업으로 차질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전북도와 전북 정치권이 나서 정부 부처의 의지와 협조를 이끌어내는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다.

/이신우기자 lsw@

저작권자 © 전북중앙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