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시대, 찾아가는 시민학교
찜하기

다문화 시대, 찾아가는 시민학교

  • 저자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다문화시대, 찾아가는 시민학교 팀
  • 출판
    이담북스
  • 발행
    2018.10.31.
책 소개
이 책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전공과목인 를 수강한 38명의 학부생과 2명의 대학원 조교가 2018년 봄 학기에 필자와 함께 수업하고 참여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이주민은 한국 시민으로서의 정체성과 함께, 한국사회에 거주하는 ‘이주민’으로서의 정체성 그리고 출신 집단 고유의 출신국 정체성까지 정치 사회적으로 복잡한 정체성 구조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욱이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에 귀화해 시민권을 취득한 이후에도 많은 수의 이주민들은 한국에 대한 정체성과 더불어 출신국에 대한 소속감을 여전히 느끼고 있으며 때로는 출신국에 대한 소속감이 새롭게 취득한 한국에 대한 소속감을 앞서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이주민의 정치 사회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에게 걸맞은 맞춤형 재사회화 또는 시민참여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한국사회가 보다 건강한 다문화사회로 나아가는 데 있어서 주요한 열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책 정보

책 정보

  • 카테고리
    각국사회/문화
  • 쪽수/무게/크기
    463678g151*223*36mm
  • ISBN
    9788926885819

책 소개

이 책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전공과목인 를 수강한 38명의 학부생과 2명의 대학원 조교가 2018년 봄 학기에 필자와 함께 수업하고 참여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이주민은 한국 시민으로서의 정체성과 함께, 한국사회에 거주하는 ‘이주민’으로서의 정체성 그리고 출신 집단 고유의 출신국 정체성까지 정치 사회적으로 복잡한 정체성 구조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욱이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에 귀화해 시민권을 취득한 이후에도 많은 수의 이주민들은 한국에 대한 정체성과 더불어 출신국에 대한 소속감을 여전히 느끼고 있으며 때로는 출신국에 대한 소속감이 새롭게 취득한 한국에 대한 소속감을 앞서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이주민의 정치 사회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에게 걸맞은 맞춤형 재사회화 또는 시민참여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한국사회가 보다 건강한 다문화사회로 나아가는 데 있어서 주요한 열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이 책은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전공과목인 <정치학과 현장학습: 다문화 시대 찾아가는 시민학교>를 수강한 38명의 학부생과 2명의 대학원 조교가 2018년 봄 학기에 필자와 함께 수업하고 참여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이주민은 한국 시민으로서의 정체성과 함께, 한국사회에 거주하는 ‘이주민’으로서의 정체성 그리고 출신 집단 고유의 출신국 정체성까지 정치 사회적으로 복잡한 정체성 구조를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더욱이 조사결과에 따르면 한국에 귀화해 시민권을 취득한 이후에도 많은 수의 이주민들은 한국에 대한 정체성과 더불어 출신국에 대한 소속감을 여전히 느끼고 있으며 때로는 출신국에 대한 소속감이 새롭게 취득한 한국에 대한 소속감을 앞서는 경우도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이주민의 정치 사회적 특성을 파악하고 그들에게 걸맞은 맞춤형 재사회화 또는 시민참여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한국사회가 보다 건강한 다문화사회로 나아가는 데 있어서 주요한 열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서문 중에서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

추천사
서문

1장 속도와 방향을 함께 고민해야 하는 다문화 시대
1. 다문화사회 현황과 시민교육 필요성(송샘·이재묵)

2장 북한이탈주민 프로젝트
1. 남과 북의 대학생을 잇다, 토크콘서트
[이음](김일혁·김철희·박정민·신민경·김예진)
2. 너로 향하는 길, 다붓다붓 - 유튜브를 통한 북한이탈주민 소통 프로젝트
[다붓다붓](김연준·이승비·이은수·김지선·김민지)

3장 귀환 중국동포 프로젝트
1. 대림동에 꿈을 더하다 - 중국동포 거버넌스 및 정치참여 사례연구 르포
[포동포동](김건휘·서병일·이지은·유안유)
2. 북돋아라 동포참여
[문이 열리네요 동포가 들어오조](고기환·김기현·이수민·마찬)

4장 다문화 그룹 프로젝트
1. 이주노동자, “나를 위해 소리친다” - 이주노동자 메가폰 프로젝트
[아띠아띠](양명운·나유경·김건학·장예원)
2. 국경 없는 청년회? 국경 없는 부녀회! - “이주여성 비정상회담”
[예그리나](박미주·박영빈·양정인·장희지)
3. “어서와, 중도입국청소년은 처음이지?”
[어울리多](이가은·노경수·김우진·이시은)

5장 다문화 사회를 담고 그리다
1. “동대문구를 만나면 다문화가 보인다!”
[열려라 동대문](최중호·임한선·김효경·조정묵)
2. 미디어의 다문화 구현 - 대안적 미디어의 설계와 운영을 중심으로
[미담](정겨운누리·강성욱·김다현·배시은)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작가 소개

정보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레이어닫기
이재묵
글작가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장, 한국정당학회 총무이사연세대 정외과 졸업, 연세대 정치학 석사미국 Univ. of Iowa 정치학 박사주요 저서:정치현장에서 진단하는 한국 정당과 민주주의(공저, 푸른길 2018)미국정치와 동아시아 외교정책(공저, 경희대 출판부 2017)도전과 변화의 한미정치(공저, 서울대 출판부 2014) 외 다수
송샘
글작가
한국외국어대학교와 동대학원에서 정치외교학을 전공했다. 상상공작소 단체를 설립하여 현재 청년, 인문, 통일 관련 프로젝트를 기획 및 진행하며 컨설팅을 병행하고 있다. 양성평등교육진흥원의 젠더프로젝트에 참여하였으며 삼삼오오 청년 인문실험 치유 글쓰기 프로젝트로 2019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상을 수상한 바 있다. 출간 도서로는 《다문화 시대, 찾아가는 시민학교(공저)》, 《유튜브와 K-콘텐츠 레볼루션》, 전자책 《유튜브로 인문학하기》가 있다.
차보경
글작가
한국외대 정치외교학과 석사과정

판매처

전문 서점 4
정보
도서를 전문으로 판매하는 온라인 서점입니다.
레이어닫기
목록보기
일반 쇼핑몰 38
목록보기

쇼핑몰에서 정확한 가격과 상품정보를 확인하세요!

신고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해주세요
신고
판매처 더보기

작가 소개

정보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레이어닫기
이재묵
글작가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한국외국어대학교 정치외교학과장, 한국정당학회 총무이사연세대 정외과 졸업, 연세대 정치학 석사미국 Univ. of Iowa 정치학 박사주요 저서:정치현장에서 진단하는 한국 정당과 민주주의(공저, 푸른길 2018)미국정치와 동아시아 외교정책(공저, 경희대 출판부 2017)도전과 변화의 한미정치(공저, 서울대 출판부 2014)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