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정부는 공화제를 어떻게 인식하고 수용했을까

입력
수정2018.11.19. 오전 11:14
기사원문
박상현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동북아역사재단, 21일 학술회의

중국 상하이 임시정부 청사[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뉴스) 박상현 기자 = 내년이면 출범 100주년을 맞는 상하이 대한민국임시정부가 발표한 임시헌장 제1조는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함'이다.

공화제는 보통 절대적 권력을 부여받은 군주가 아니라 국민이 선출한 대표 기관이나 인물이 통치하는 정치체제를 뜻하나, 귀족정이나 과두정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

일제가 한반도를 병합하기 전까지는 근대화에 적합한 모델로 입헌군주제를 떠올리는 사람이 많았으나, 이후에는 공화제가 대안으로 부상했다.

동북아역사재단 한일역사문제연구소는 국권 피탈부터 임시정부 수립까지 한국이 공화제를 인식하고 수용하는 과정을 조명하는 학술회의를 21일 서울 서대문구 재단 대회의실에서 연다고 19일 밝혔다.

학술회의 주제는 '3·1 운동과 임시정부 수립의 배경과 의의 - 사회진화론 비판과 공화주의 형성과정'으로, 재단이 3·1 운동과 임시정부 100주년을 앞두고 진행한 다양한 연구 성과를 공개한다.

제1부는 적자생존을 정당화하는 사회진화론과 공화주의를 수용한 양상을 분석하고, 제2부는 독립운동가들이 사회진화론을 비판하고 공화제 정부를 구상하게 된 이유를 논한다.

이병택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동아시아에서 공화주의 수용은 그다지 호의적이지 않았고, 대체로 군주정의 대안적 정치체제로 이해된 것이라 할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임시정부 헌법은 한 목소리가 아니라 다양한 목소리를 담은 선언"이라고 주장한다.

윤대원 서울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연구교수는 "해외 독립운동가들은 1910년대 국제정세를 조사해 독립운동 적기가 왔다고 여겼고, 독립전쟁을 준비하면서 정치적 조직으로 공화제를 구상했다"며 "하지만 이들의 생각은 정세가 예상과 다르게 흘러가면서 실현되지 못했다"고 분석한다.

연구자 6명이 주제 발표를 한 뒤에는 '3·1 운동과 임시정부의 사상적 배경으로서 공화주의 형성 특징과 시사점'을 주제로 토론을 진행한다.

psh59@yna.co.kr

▶놓치면 아쉬운 '핫뉴스' ▶뉴스가 보여요 - 연합뉴스 유튜브

▶네이버 홈에서 [연합뉴스] 채널 구독하기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생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