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 안의 대륙
찜하기

섬 안의 대륙

제주도와 중국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
  • 저자
    김용민
  • 출판
    글항아리
  • 발행
    2018.10.22.
책 소개
글항아리 '실용의 재발견' 시리즈 다섯 번째 책으로 나온 <섬 안의 대륙: 제주도와 중국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는 여러모로 독특한 책이다. '중국과의 연결'이라는 관점에서 오늘날의 제주도를 총체적으로 들여다본 책이다. 제주의 역사와 지리에 대한 정보가 가득하며, 제주에 진출한 중국 자본과 이들이 벌인 대형 사업들이 매우 구체적으로 분석되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오늘날 제주를 있게 만든 각계의 전문가들 인터뷰가 실려 있으며 평화의 섬으로 거듭나기 위한 방안을 두고 김연철 통일연구원장과 방담을 펼치기도 한다. 이 책의 저자를 한 마디로 말하자면 "제주에 사는 중국 전문가"다. 그는 성균관대 정외과 3학년 재학중에 중국에 유학을 떠나 무려 12년간 중국에서 살았다. 푸단대학에서 경영학 박사를 받은 학자다. 이후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와 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에서 총 6년을 일하면서 '중국'을 키워드로 한 여러 가지 행사를 진행해본 경험이 있다. 그러다 2015년 제주한라대학교에 부임해 3년간 학생들을 가르쳤다. 2018년 지금은 ㈜탐나커피의 상무이사로 재직하고 있다. 제주에 요커들이 몰려와 여기가 중국인지 한국인지 모르겠다는 말이 중국이 제주를 삼키는 것 아니냐는 우려와 함께 사람들 입에 오르내릴 때 그에게 "제주에 대한 책을 써달라"고 부탁했다. 그렇다. 이 책은 지역의 전문가가 여기저기 쓴 글을 모아서 낸 그런 책이 아니라 '기획'된 책이다. 오늘날 제주를 알기 위해선 '중국'이란 키워드를 반드시 짚어내야 한다는 나름의 절박함을 깔고 제주에 대한 실용지식을 집대성해보자는 취지이다.

책 정보

책 정보

  • 카테고리
    사회문제일반
  • 쪽수/무게/크기
    368511g137*202*28mm
  • ISBN
    9788967355531

책 소개

글항아리 '실용의 재발견' 시리즈 다섯 번째 책으로 나온 <섬 안의 대륙: 제주도와 중국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는 여러모로 독특한 책이다. '중국과의 연결'이라는 관점에서 오늘날의 제주도를 총체적으로 들여다본 책이다.



제주의 역사와 지리에 대한 정보가 가득하며, 제주에 진출한 중국 자본과 이들이 벌인 대형 사업들이 매우 구체적으로 분석되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오늘날 제주를 있게 만든 각계의 전문가들 인터뷰가 실려 있으며 평화의 섬으로 거듭나기 위한 방안을 두고 김연철 통일연구원장과 방담을 펼치기도 한다.



이 책의 저자를 한 마디로 말하자면 "제주에 사는 중국 전문가"다. 그는 성균관대 정외과 3학년 재학중에 중국에 유학을 떠나 무려 12년간 중국에서 살았다. 푸단대학에서 경영학 박사를 받은 학자다. 이후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와 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에서 총 6년을 일하면서 '중국'을 키워드로 한 여러 가지 행사를 진행해본 경험이 있다. 그러다 2015년 제주한라대학교에 부임해 3년간 학생들을 가르쳤다. 2018년 지금은 ㈜탐나커피의 상무이사로 재직하고 있다.



제주에 요커들이 몰려와 여기가 중국인지 한국인지 모르겠다는 말이 중국이 제주를 삼키는 것 아니냐는 우려와 함께 사람들 입에 오르내릴 때 그에게 "제주에 대한 책을 써달라"고 부탁했다. 그렇다. 이 책은 지역의 전문가가 여기저기 쓴 글을 모아서 낸 그런 책이 아니라 '기획'된 책이다. 오늘날 제주를 알기 위해선 '중국'이란 키워드를 반드시 짚어내야 한다는 나름의 절박함을 깔고 제주에 대한 실용지식을 집대성해보자는 취지이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제주도와 중국,

그 얽힘의 역사를 그린 인문서이자

제주 속 중국 자본의 현황과

제주도의 앞날을 총체적으로 분석한 보고서



큰 서점에 가면 제주에 관한 책들이 넘쳐난다. 그림보다 더 그림 같은 멋진 사진들과 알록달록한 디자인으로 눈길을 끄는 ‘제주 소개서’들이 서점 한쪽을 차지하고 있다. 제주 여행 정보를 ‘예쁘고 친절하게’ 알려주는 콘셉트가 있다면, 제주 토박이들 또는 젊은 이주민들의 ‘제주생활 예찬’이 또 다른 콘셉트다. 그런 책들에 익숙한 이들에게 이 책 『섬 안의 대륙』은 ‘이건 뭐지?’라는 생각을 불러일으킬지도 모른다.

글항아리 ‘실용의 재발견’ 시리즈 다섯 번째 책으로 나온 『섬 안의 대륙: 제주도와 중국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가』는 여러모로 독특한 책이다. ‘중국과의 연결’이라는 관점에서 오늘날의 제주도를 총체적으로 들여다본 책이다. 제주의 역사와 지리에 대한 정보가 가득하며, 제주에 진출한 중국 자본과 이들이 벌인 대형 사업들이 매우 구체적으로 분석되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오늘날 제주를 있게 만든 각계의 전문가들 인터뷰가 실려 있으며 평화의 섬으로 거듭나기 위한 방안을 두고 김연철 통일연구원장과 방담을 펼치기도 한다.

이 책의 저자를 한 마디로 말하자면 “제주에 사는 중국 전문가”다. 그는 성균관대 정외과 3학년 재학중에 중국에 유학을 떠나 무려 12년간 중국에서 살았다. 푸단대학에서 경영학 박사를 받은 학자다. 이후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와 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에서 총 6년을 일하면서 ‘중국’을 키워드로 한 여러 가지 행사를 진행해본 경험이 있다. 그러다 2015년 제주한라대학교에 부임해 3년간 학생들을 가르쳤다. 지금은 ㈜탐나커피의 상무이사로 재직하고 있다.

제주에 요커들이 몰려와 여기가 중국인지 한국인지 모르겠다는 말이 중국이 제주를 삼키는 것 아니냐는 우려와 함께 사람들 입에 오르내릴 때 그에게 “제주에 대한 책을 써달라”고 부탁했다. 그렇다. 이 책은 지역의 전문가가 여기저기 쓴 글을 모아서 낸 그런 책이 아니라 “기획”된 책이다. 오늘날 제주를 알기 위해선 ‘중국’이란 키워드를 반드시 짚어내야 한다는 나름의 절박함을 깔고 제주에 대한 실용지식을 집대성해보자는 취지였다.

그렇게 탄생한 이 책의 구성을 보자면, 진시황의 명을 받고 불로초를 구하러 간 서복이란 자와의 인연부터 짚어나가는, 즉 제주와 중국의 과거 인연을 다룬 앞부분은 인문서에 가깝다. 중국인 관광객의 증가와 중국계 자본의 투자, 한중FTA를 다룬 중간 부분은 경제·경영서 스타일이다. 문화와 평화를 다룬 뒷부분은 사회과학서와 비슷한 분위기다. 제주와 중국의 이런저런 분야와 영역의 얘기를 모두 다루다보니, 책이 전체적으로 저자가 좋아하는 제주도의 해물짬뽕을 닮게 되었다.

책의 뒷부분에는 ‘제주와 중국’과는 별 관계가 없는 듯한 내용도 있다. 제주가 가지고 있는 문화적 자산이나 제주 4·3사건, 강정항 등을 다룬 부분이 그렇다. 그러나 중국, 일본, 북한을 포함하는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세계 평화의 섬’을 얘기하면서 제주 4·3사건과 강정항을 모른 체하고 넘어갈 수는 없었다고 저자는 말한다.

2017년 봄에 사드가 경북 성주에 배치되었다. 참으로 ‘기묘한 이야기’였다. 기묘한 이야기는 나라 전체의 이슈였지만, ‘직격탄을 맞은’ 곳은 제주도였다. 단체 관광객이 자취를 감추면서 전체 중국인 관광객 수가 2016년 한창 때의 10퍼센트 수준으로 떨어졌다. 중국인을 대상으로 영업하던 제주도 내 일부 호텔이 매물로 나왔다는 소식도, 중국 정부의 자금 규제로 제주에 투자한 일부 중국계 기업의 프로젝트가 중단되었다는 뉴스도 들렸다. 중국에 대한 관광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 인바운드 관광의 질적 수준을 높이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 제주도의 해외투자 유치 전략을 돌아봐야 한다 등 논의가 많았지만, 이 상황이 오래 지속되기를 원하는 제주인은 많지 않다. 저자는 책 전체에 걸쳐 우리가 어떤 스탠스를 가지고 중국과 제주의 얽힘을 바라봐야 하는지를 역설하고 있다.

또한 제주와 중국 간의 문화 교류 확대를 주장하기 위해 저자는 제주가 얼마나 커다란 문화적 자산을 가지고 있는지 말하고 있다.

우리는 타인에 대해 잘 모른다는 것은 곧잘 인정하지만, 오히려 자신에 대해서는 잘 모르고 있고 때때로 스스로를 잘 모른다는 사실 자체마저 모를 때가 있다. 그것은 제주에 살고 있는 이들도 마찬가지다. ‘충분한 자료를 가지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제주와 중국의 관계를 다뤄야’ 한다는 원칙에 충실하게 만들어진 이 책이 제주에 관심 있는 많은 이의 사랑을 받길 바란다.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

들어가는 글



제1부. 제주와 중국의 과거



1장 첫 번째 만남

1. 서귀포 지명의 유래

2. 서복은 진짜 제주에 왔을까?

3. 소중한 유산 + @



2장 두 번째 만남

1. 고려의 대몽 항쟁, 삼별초, 원나라의 제주 식민

2. 원나라의 지배가 제주에 남긴 것



제2부. 제주와 중국의 현재 : 세 번째 만남



3장 제주를 찾는 중국인

1. 제주에 반한 중국인들

2. 요우커는 왜 제주로 오나?

인터뷰 한국관광공사 베이징사무소 전승훈 차장

중국 유학생의 제주 생활 인상

3. 지속가능한 관광산업으로 거듭나는 제주



4장 제주에 투자하는 중국 자본

1. 중국계 자본, 제주에 얼마나 투자되고 있나?

2 제주에 초대형 테마파크가 들어선다 ?(주)람정제주개발

3. 제주 중심부에 들어서는 초고층 호텔?녹지그룹

4. 의료 관광객을 위한 의료복합단지?헬스케어타운과 녹지국제병원

5. 제주 최대 규모의 복합리조트 개발?오라관광단지

6. 사업이 무산된 휴양형 주거단지?예래휴양형주거단지

7. 크고 작은 투자 프로젝트들

8. 중국 자본의 제주 투자, 어떻게 보아야 하나?

9. 중국 자본을 바라보는 제주도민의 시선

10. 제주도에 투자한 중국 기업의 난망한 입장

인터뷰 (주)람정제주개발 이동주 부사장



제3부. 제주와 중국의 미래



5장 한중 FTA, 제주 도약의 발판

1. 1차산업 중심의 제주도 수출

2. 한중 FTA 시대, 무엇을 팔 것인가

3. 한중 FTA 전략 1: 농수산식품 시장을 뚫어라!

4. 한중 FTA 전략 2: 파트너를 찾아라!

5. 한중 FTA 전략 3: ‘메이드 인 제주’의 경쟁력을 키워라

인터뷰 한국무역협회 베이징지부 김병유 지부장

vs. KIEP 세계지역연구센터 양평섭 소장



6장 제주도와 문화 콘텐츠

1. 제주는 1만8000 신들의 땅

2. 문화 생성의 섬, 문화 교류의 섬

인터뷰 생각하는 정원 성범영 원장

전 CJ E&M 김성훈 상무



7장 세계 평화의 섬 제주도

1. 제주도는 평화의 섬

2. 제주평화대공원을 만들자!

3. 평화는 천천히 함께 오는 것

인터뷰 통일연구원 김연철 원장



글을 맺으면서 제주와 중국의 새로운 미래를 향해

인터뷰 펑춘타이 주제주중국총영사



부록1 중국어 잘하는 법

부록2 제주에서 중국 전문가 되기

참고문헌
알라딘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작가 소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레이어닫기
김용민
글작가
1996년,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3학년 재학 중, 중국의 창춘에 처음으로 발을 디딘 이후, 산둥과 상하이, 홍콩을 오가며 중국 대륙에서 12년 반을 살았다. 산둥대학을 거쳐 푸단대학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와 주 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에서 각각 3년 남짓 일하며, ‘중국’을 키워드로 한 여러 행사를 진행하고 많은 보고서를 썼다. 2015년, 제주한라대학교 중국경제무역학과에 부임해 제주도의 학생들에게 3년 동안 중국과 중국어를 배우고 가르쳤다. 『제주신보』의 논설위원으로 글도 쓰고 있으며, 가끔 제주지방법원에서 중국어 통역도 한다. 2005년에는 ‘서울’의 중국어 표기 공모에서 ‘首?’를 제안해 서울시장상을 받았다. 2018년 10월 현재, (주)탐나커피의 상무이사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하겠다는 20여 년 전의 마음을 잃지 않고 있다. 중국과 인연이 깊은 제주도에 살며 그 역할이 더욱 중요함을 느낀다.

판매처

전문 서점 4
도움말
도서를 전문으로 판매하는 온라인 서점입니다.레이어닫기
목록보기
일반 쇼핑몰 33
목록보기

쇼핑몰에서 정확한 가격과 상품정보를 확인하세요!

신고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해주세요
신고
판매처 더보기

작가 소개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레이어닫기
김용민
글작가

1996년, 성균관대학교 정치외교학과 3학년 재학 중, 중국의 창춘에 처음으로 발을 디딘 이후, 산둥과 상하이, 홍콩을 오가며 중국 대륙에서 12년 반을 살았다. 산둥대학을 거쳐 푸단대학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무역협회 상하이지부와 주 홍콩 대한민국 총영사관에서 각각 3년 남짓 일하며, ‘중국’을 키워드로 한 여러 행사를 진행하고 많은 보고서를 썼다. 2015년, 제주한라대학교 중국경제무역학과에 부임해 제주도의 학생들에게 3년 동안 중국과 중국어를 배우고 가르쳤다. 『제주신보』의 논설위원으로 글도 쓰고 있으며, 가끔 제주지방법원에서 중국어 통역도 한다. 2005년에는 ‘서울’의 중국어 표기 공모에서 ‘首?’를 제안해 서울시장상을 받았다. 2018년 10월 현재, (주)탐나커피의 상무이사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을 잇는 다리’ 역할을 하겠다는 20여 년 전의 마음을 잃지 않고 있다. 중국과 인연이 깊은 제주도에 살며 그 역할이 더욱 중요함을 느낀다.

사회/정치베스트셀러

베스트셀러는 인터넷 교보문고에서 제공받는 데이터로 네이버 도서의 카테고리와 다를 수 있습니다.
레이어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