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 메뉴로 바로가기 주제분류 메뉴로 바로가기 본문으로 바로가기

조선향토대백과 인물정보관 : 문화 · 예술

구본영

구본영

구본영 원본보기

분류 인물정보관>문화 · 예술>회화 · 조각
출생 - 사망 1922. 10. 16. ~ 1993. 10. 24.
출신지 서울시
직업 화가

서울시 통인정에서 출생하여 1941년에 개성에서 송도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형 구본식이 그림을 그렸기 때문에 그의 영향을 받아 어릴 때부터 그림을 그렸고 중학교시절에 두차례에 걸쳐 미술전람회에서 입상하였다. 이름난 미술가였던 오지호의 집에 자주 찾아다니며 그림지도를 받고 미술에 대한 견문을 넓혔다.

그후 미술전문교육을 받기 위해 일본으로 건너가 1943년에 제국미술학교에 들어갔으나 학비문제로 1년만에 중퇴하였다. 해방 후 개성에서 공립중학교 교원, 서울공업중학교 교원, 남조선미술가동맹 서울지부 등에서 일하면서 유화 ‘농촌의 아침’(1945, 20호), ‘목장’(1946, 15호), ‘농촌풍경’(1946, 15호) 등을 창작발표하였다.

지난 6 · 25전쟁시기 공화국북반부로 들어와 예술단의 미술가, 평양수예연구소의 미술강사로 있으면서 주로 후비양성사업을 하였다. 10년간 미술강사로 있는 기간 제1기로부터 제3기까지 수예가들을 키웠는데 이들은 오늘 우리나라 수예가대렬의 핵심들로 되였다.

이 기간 유화 ‘서대문형무소해방’(1955, 100호), ‘설경’(1956, 12호), ‘농촌풍경’(1957, 6호), ‘일요일’(1958, 100호), ‘대동강풍경’(1958, 30호), ‘풍경’(1958), ‘협동의 봄’(1959, 50호), ‘평양역이 보이는 풍경’(1959), ‘육문중학교 동맹휴학’(1960, 60호), ‘청류벽’(1961, 6호) 등을 그려 여러 전람회들에 발표하였다. 그중 ‘대동강풍경’, ‘일요일’, ‘풍경’, ‘평양역이 보이는 풍경’ 등은 형상이 우수하여 조선미술박물관에 소장되였다.

1963년 이후 조선미술가동맹 평안북도위원장사업을 하였다. 이 시기 유화 ‘만경대생가’(1968, 30호), ‘청류벽’(1968, 20호) 밖에 창작하지 못하였다. 그의 유화작품들은 색이 진중하고 화조가 어두운 편이였다.

1972년 이후 구본영은 조선화 화가로 전환하였고 많은 작품들을 창작하여 실천적 모범을 보였다. 조선화 ‘만경대의 봄’(1972, 60호), ‘묘향산풍경’(1972, 30호), ‘노을비낀 해금강’(1975, 1000호, 합작), ‘만경대의 봄’(1975, 189×218cm), ‘삼지연’(1976, 150호, 합작), ‘만물상’(1976, 500호, 합작), ‘꽃피는 만경대’(1977, 100호), ‘만경대의 봄’(1978, 80호), ‘련주담’(1979, 30호), ‘만경대’(1980, 50호), ‘만경대’(1982, 50호), ‘봄’(1984, 12호), ‘4월의 봄’(1987), ‘상원동의 봄’(1988) 등이 이 시기 대표작이다. 그중 여러 점이 조선미술박물관에 소장되였다.

1982년 이후 구본영은 평안북도미술창작사 창작가로 마지막시기까지 꾸준하게 창작활동을 벌렸다. 구본영은 1970년부터 1984년까지 조선미술가동맹 중앙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였다.

마지막 수정일

  • 2010. 12. 31.

【유의 사항】

  • ⓘ 본 콘텐츠는 1999~2005년 남북공동 편찬사업에 의해 발간된 자료로서,
    북한에서 사용되는 표현이 일부 포함되어 있습니다.
    북한 자료의 특수성으로 내용의 최신성이나 이미지의 선명도가 다소 떨어지는 점 양해 부탁 드리겠습니다.

출처

제공처 정보

조선향토대백과 이미지
조선향토대백과 2008. http://www.cybernk.net/home/Default.aspx

< 조선향토대백과 > 는 북한 전역의 자연ㆍ인문지리정보를 직할시·도, 시·군 및 동·리 등 행정구역별로 집대성하여 남북교류협력 및 통일이후 국가건설에 필요한 기본자료를 제공함으로써 민족동질성 회복에 기여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정권수립 이후 60여 차례에 걸쳐 행정구역 개편이 있었기 때문에 과거의 지도나 자료를 가지고 특정지역을 파악하기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그동안 국내에서 나온 자료들은 8.15해방 전 자료이거나 그 후 간헐적으로 나온 것이 대부분이었고, 지도의 경우도 위성사진을 토대로 제작되었지만 지명의 불일치나 부정확한 구획설정 등으로 대부분 정확도가 매우 떨어진 것이었다. 이 같은 배경에서 평화문제연구소는 지난 1999년 중국 ‘조선민족문화연구소’의 주선으로 북측 사업주체인 ‘과학백과사전출판사’와 수차에 걸쳐 협의한 결과, 본 사업이 남북 화해협력시대에 부응하는 가장 실질적인 사업이라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공동 편찬키로 합의하였다. 그동안 북한의 자연ㆍ인문 지리정보는 북한의 폐쇄정책으로 인해 다른 분야에 비해 매우 취약한 형편이었으나 이번< 조선향토대백과 >의 간행으로 북한지역에 대한 정보를 최대한 확보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되어 북한연구 및 남북교류협력사업에 중요한 길잡이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자세히보기

본 콘텐츠의 저작권은 저자 또는 제공처에 있으며, 이를 무단 이용하는 경우 저작권법 등에 따라 법적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외부 저작권자가 제공한 콘텐츠는 네이버의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