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끝
찜하기

세상의 끝

로베르트 발저 산문 단편 선집
  • 저자
    로베르트 발저
  • 번역
    임홍배
  • 출판
    문학판
  • 발행
    2017.12.13.
책 소개
스위스의 작가 로베르트 발저(Robert Walser, 1878~1956)는 평생 고독 속에 칩거했다. 현존 작가 마르틴 발저(M. Walser)의 표현을 빌리면 ‘모든 시인들 중에 가장 깊이 은둔했던 시인’이다. 로베르트 발저에게 운명적 친화성을 느꼈던 소설가 제발트(Sebald)는 발저의 인생행로에 남은 흔적이 ‘바람이 불면 날아갈 듯 가볍다’고도 했다. 문학사에 자신의 이름이 남기를 바라는 작가는 흔히 작품 외에도 자신의 행적에 관해 소상한 기록을 남긴다. 단적인 예로 괴테의 경우 방대한 일기와 편지 등을 남겨서 거의 평생에 걸쳐 하루하루의 행적까지도 추적이 가능하다. 반면에 발저에겐 극소수의 가까운 지인과 주고받은 편지 외에는 그런 기록이 거의 전무하다. 『발저가 발저에 관해』(1925)라는 산문에서 발저는 ‘나는 주목받고 싶지 않다’라고 말한다. 이처럼 발저는 결벽증에 가까울 정도로 자기노출을 꺼렸지만, 그의 작품에는 그의 인생경험이 다양한 방식으로 굴절되어 나타난다. 여기서는 우선 발저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는 데 직간접으로 참고가 될 만한 전기적 사실을 간략히 살펴보기로 하겠다.

책 정보

책 정보

  • 카테고리
    외국 에세이
  • 쪽수/무게/크기
    532748g131*208*39mm
  • ISBN
    9791188047307

책 소개

스위스의 작가 로베르트 발저(Robert Walser, 1878~1956)는 평생 고독 속에 칩거했다. 현존 작가 마르틴 발저(M. Walser)의 표현을 빌리면 ‘모든 시인들 중에 가장 깊이 은둔했던 시인’이다. 로베르트 발저에게 운명적 친화성을 느꼈던 소설가 제발트(Sebald)는 발저의 인생행로에 남은 흔적이 ‘바람이 불면 날아갈 듯 가볍다’고도 했다. 문학사에 자신의 이름이 남기를 바라는 작가는 흔히 작품 외에도 자신의 행적에 관해 소상한 기록을 남긴다. 단적인 예로 괴테의 경우 방대한 일기와 편지 등을 남겨서 거의 평생에 걸쳐 하루하루의 행적까지도 추적이 가능하다. 반면에 발저에겐 극소수의 가까운 지인과 주고받은 편지 외에는 그런 기록이 거의 전무하다. 『발저가 발저에 관해』(1925)라는 산문에서 발저는 ‘나는 주목받고 싶지 않다’라고 말한다. 이처럼 발저는 결벽증에 가까울 정도로 자기노출을 꺼렸지만, 그의 작품에는 그의 인생경험이 다양한 방식으로 굴절되어 나타난다. 여기서는 우선 발저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는 데 직간접으로 참고가 될 만한 전기적 사실을 간략히 살펴보기로 하겠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출판사 서평

“카프카와 헤세가 애독했던 작가 로베르트 발저”
미지의 ‘나’를 찾아가는 고독한 산책

삶의 단면들

스위스의 작가 로베르트 발저(Robert Walser, 1878~1956)는 평생 고독 속에 칩거했다. 현존 작가 마르틴 발저(M. Walser)의 표현을 빌리면 ‘모든 시인들 중에 가장 깊이 은둔했던 시인’이다. 로베르트 발저에게 운명적 친화성을 느꼈던 소설가 제발트(Sebald)는 발저의 인생행로에 남은 흔적이 ‘바람이 불면 날아갈 듯 가볍다’고도 했다. 문학사에 자신의 이름이 남기를 바라는 작가는 흔히 작품 외에도 자신의 행적에 관해 소상한 기록을 남긴다. 단적인 예로 괴테의 경우 방대한 일기와 편지 등을 남겨서 거의 평생에 걸쳐 하루하루의 행적까지도 추적이 가능하다. 반면에 발저에겐 극소수의 가까운 지인과 주고받은 편지 외에는 그런 기록이 거의 전무하다. 『발저가 발저에 관해』(1925)라는 산문에서 발저는 ‘나는 주목받고 싶지 않다’라고 말한다. 이처럼 발저는 결벽증에 가까울 정도로 자기노출을 꺼렸지만, 그의 작품에는 그의 인생경험이 다양한 방식으로 굴절되어 나타난다. 여기서는 우선 발저의 작품세계를 이해하는 데 직간접으로 참고가 될 만한 전기적 사실을 간략히 살펴보기로 하겠다.

발저는 몰락한 중산층 집안에서 8남매 중 일곱째로 태어났다. 아버지는 파리에서 인쇄기술을 배워 와서 고향 도시 빌에서 소규모 제본소 겸 문구류 가게를 운영했다. 하지만 아버지의 사업이 기울고 가정형편이 어려워지자 발저는 김나지움 예비과정(우리식의 중학교)에 다니던 14세에 학업을 포기해야 했다. 그때부터 20대 초반까지 발저는 은행의 사무보조원, 보험회사 경리사원 등으로 일했는데, 한 곳에 오래 눌러 있지 못하고 자주 직장을 옮겼다. 이러한 직장생활의 경험은 이 책의 4부에 수록된 『사무원』, 『오전 근무』, 『뷔블리』, 『게르머』, 『헬블링의 이야기』 등에서 밀도 있게 다루어진다.

발저의 성장기에서 특기할 사실은 어머니의 보살핌을 받지 못했다는 것이다. 어머니는 심한 우울증을 앓아서 집안의 근심거리였고, 발저보다 네 살 위의 누나 리자(1874~1944)가 어머니를 간호하면서 일찍부터 주부 역할을 대신했다. 발저는 평생 독신으로 살았을 뿐 아니라 아마 한 번도 진지한 사랑의 모험을 경험하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발저가 20대 중반부터 평생 가까운 ‘지인’으로 교제했던 프리다 메르메(1877~1969) 부인과의 관계를 보면 그가 세상을 꺼렸던 만큼이나 여성도 거의 결벽증으로 대했던 것으로 짐작된다.

정신병원에서 보낸 28년
발저는 생의 마지막 28년을 정신병원에서 보냈다. 1929년 그는 불면증과 환청 등으로 고통을 호소하다가 발다우 요양병원에 입원했다. 발다우 병원에서 4년을 보내고서 1933년에는 본인 의사에 반하여 헤리자우 정신병원에 강제로 수용되었다. 발다우 병원에 머물던 기간에는 집필활동을 계속했지만, 헤리자우 병원에 들어간 후로는 완전히 절필했다. 종신 강제수용을 해야 할 정도로 그의 정신분열증이 심각했는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아마도 가족의 병력이 분열증 확진 판정과 강제수용에 부정적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이미 언급한 대로 어머니는 심한 우울증을 앓았고, 베른대학교 지리인류학 교수였던 둘째 형 알프렛 발저(1870~1919)는 자살했다. 그리고 교사로 재직하던 넷째 형 에른스트 발저(1873~1916) 또한 정신병 진단을 받고 18년 동안 발다우 병원에 수용되었다가 거기서 생을 마감했다.
헤리자우 병원에서 발저는 다른 환자들과 마찬가지로 오후에는 채소를 다듬거나 봉투를 접거나 청소를 하는 등 규칙적인 의무노동을 했고, 나머지 시간에는 독서나 산책을 했다. 특히 산책은 발저에게 평생 몸에 배인 습관으로, 그의 거의 모든 글에는 산책의 리듬이 바탕에 깔려 있다. 발저는 전설적인 도보여행의 기록을 남겼다. 20대에 잠시 슈투트가르트에서 출판사 직원으로 일하다가 다시 스위스로 귀향할 때는 수백 킬로미터를 걸어서 갔다고 한다. 또 베른에서 제네바까지 170킬로미터를 걸어가기도 했고, 베른에서 빌까지 25킬로미터를 자정부터 이른 아침까지 한밤중에 걸어가기도 했다. 요양원에서도 산책은 그에게 가장 중요한 일과였다. 한겨울에 눈이 오는 날씨에도 외투도 없이 산책을 했다고 한다.
1956년 12월 25일 성탄절 오후에 발저는 눈길에 산책을 나갔다가 심장마비로 쓰러졌다. 『크리스마스 이야기』(1919)에서 눈길에 누워서 영영 잠들고 싶다고 했던 대로 그는 그렇게 생을 마감했다.

1937년 6월 27일 대화에서 발저는 자신의 작품을 비판하는 평론가들이 모두 헤르만 헤세에 열광한다고 불만을 토로한다. 역설적이게도 헤세는 발저의 작품을 늘 높이 평가했고, 발저가 받은 유일한 문학상을 주선했던 장본인이다. 헤세는 ‘발저의 독자가 1만 명만 되면 세상은 더 좋아질 것이다’라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발저의 산문과 단편의 특징
발저는 서른 살 전후에 세 편의 장편소설-『타너 가의 남매들』(1906), 『조수』(1908), 『야콥 폰 군텐』(1909)-을 발표한 것 말고는 주로 산문과 단편소설을 썼다. 작가적 이력을 회고한 글 『나의 노력』(1928/29)에서 그는 장편소설을 포기한 이유를 ‘장황한 서사의 얼개를 짜는 일이 짜증나서’라고 밝히고 있다. 나날의 생계를 걱정하느라 긴 호흡으로 장편에 매달릴 여유가 없었던 것도 중요한 이유일 것이다.

발저의 산문은 주로 취리히, 베른, 베를린, 뮌헨, 프랑크푸르트, 프라하의 신문과 잡지에 발표되었다. 특히 프라하에서는 카프카의 친구 막스 브로트(죽기 전에 남긴 유언에서 자신의 미발표 원고를 모두 불태워 없애라고 했는데, 그 유언을 어기고 카프카 사후에 그의 원고를 보존하여 출판한 장본인이 바로 막스 브로트다.)가 발저를 위해 지속적으로 지면을 할애해주었다. 다른 생계수단이 없었던 1910년대 중반 이후로는 짧은 산문과 단편 원고료가 유일한 수입원이었는데, 1926년에는 무려 60여 편을 발표하여 거의 매주 1편씩을 썼던 셈이다. 그렇게 생시에 발표한 산문과 단편이 모두 1천여 편에 이르며, 유고로 남은 미발표 원고도 5백 편이 넘는다.

발저의 산문은 대개 화자가 전면에 등장하는 짧은 이야기의 형식을 취하지만, 전통적인 이야기 장르의 근간이 되는 특이한 사건이나 플롯은 최소한으로 축소된다. 발저의 산문은 대부분 자신의 경험에 바탕을 둔 자전적 성격과 허구적 요소가 결합된 양상을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그의 산문은 ‘자전적 허구’(Autofiction)라 일컬어지기도 한다.

발저의 산문은 시각적 특성이 강하다. 산과 호수의 나라 스위스에서 태어나서 자랐고, 매일 그 풍경 속을 거닐었기 때문일 것이다. 『그라이펜 호수』, 『은둔자의 오두막』, 『저녁 산책』 같은 글을 보면 발저에겐 자연이 예술적 영감의 원천이었음을 실감할 수 있다. 그가 처음 발표한 산문 『그라이펜 호수』는 발저의 산문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연묘사의 원형을 보여준다. 하늘과 태양이 호수에 비쳐 호수와 하나가 된 풍경 속에서 오리 한 마리가 헤엄치고 있고, 화자인 ‘나’도 호수에 풍덩 뛰어들어 오리처럼 헤엄친다. 화자가 자연의 일부로 변신하는 과정, 그리고 그 온몸의 느낌을 서술하는 이 텍스트가 탄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나’ 자신이 곧 텍스트와 한 몸이 되는 것이다. “그런즉 무슨 말을 더 하겠는가? 내가 처음부터 다시 말하더라도 지금과 똑같이 말할 것이다.” 더 이상 언어로 형용될 수 없는 언어도단의 유일무이한 체험이 곧 자연과 하나가 되고 내 몸이 텍스트로 탄생하는 과정이다.

발저가 ‘언어 속에 잠재하는 미지의 생기’를 드러내는 서술기법 중 하나는 서로 무관하거나 대비되거나 대립되는 사물이나 이미지를 하나의 장면으로 병치시키는 방식이다. 예컨대 『세상의 끝』에서 무작정 ‘세상의 끝’에 다다르기 위해 16년 동안이나 방랑하는 소녀는 ‘세상의 끝’을 이렇게 상상한다.

세상의 끝이 처음에는 높은 성벽일 거라는 생각이 들었고, 그런가 하면 어떤 때는 깊은 낭떠러지, 때로는 아름다운 푸른 초원, 때로는 호수, 때로는 반점이 수놓인 수건, 때로는 냄비 에 가득 담은 걸쭉한 죽, 때로는 맑은 허공, 때로는 온통 하얗게 펼쳐진 설원, 때로는 출렁이는 바다처럼 마냥 자신을 내맡길 수 있는 황홀경, 때로는 우중충한 잿빛의 길이라는 생각도 들었고, 때로는 아무것도 아닌 것 또는 안타깝게도 하느님도 모르는 그 무엇일 거라는 생각도 들었다.

‘세상의 끝’을 ‘높은 성벽’이나 ‘깊은 낭떠러지’로 이해하면 그것은 엄청난 장애나 절체절명의 위기가 된다. 반대로 ‘세상의 끝‘을 ‘아름다운 푸른 초원’이나 ‘바다처럼 출렁이는 황홀경’으로 떠올리면 ‘세상의 끝’은 궁극의 안식처와 통하는 어떤 상태일 것이다. 그런데 이 대극적 이미지가 어떻게 동시에 ‘세상의 끝’을 가리킬 수 있을까? 우리의 인생에서 그 둘은 상극으로 경험되지만, 발저는 양자가 공존할 가능성은 없을지 의문을 제기하는 것이다. 나아가서, 의미가 선명한 이런 이미지들과 ‘반점이 수놓인 수건’이나 ‘냄비에 가득 담은 걸쭉한 죽’은 대체 무슨 상관이 있다는 말인가? 그리고 이 ‘수건’이나 ‘죽’은 ‘하느님도 모르는 그 무엇’과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 것일까? 누구도 쉽게 답하기 어려운 이러한 질문을 던짐으로써 발저는 우리의 타성적 사고와 지각으로는 포착되지 않는 삶의 진경과 세상의 이치가 무엇일지 곰곰이 생각하게 한다.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목차

I. 자연·가족·자화상
그라이펜 호수ㆍ15
은둔자의 오두막ㆍ21
몽상가ㆍ23
저녁 산책ㆍ26
자연ㆍ30
어머니의 무덤ㆍ36
아버지가 아들에게 쓰는 편지ㆍ38
아버지의 초상ㆍ42
여섯 개의 작은 이야기ㆍ69
어느 시인이 어느 신사에게 쓰는 편지ㆍ79
어느 화가가 어느 시인에게 쓴 편지ㆍ84
어떤 시인ㆍ88
타자기ㆍ95
나의 노력ㆍ99

II. 사랑과 고독
지몬ㆍ109
메타ㆍ119
빌케 부인ㆍ123
크리스마스 이야기ㆍ132
어떤 추억ㆍ140
크누헬 양ㆍ142
파르치발이 여자 친구에게 쓰는 편지ㆍ145
어린아이ㆍ149
꿈이 아니었어ㆍ157
올리비오 여행기ㆍ165
꿈ㆍ174
마리ㆍ178

III. 세상의 이치
두 개의 이야기ㆍ209
네 개의 이미지ㆍ216
이상한 도시ㆍ231
환상ㆍ235
재, 바늘, 연필 그리고 성냥개비ㆍ238
난로에게 말 걸기ㆍ241
날쌘돌이와 게으름뱅이ㆍ244
혈거 인간ㆍ246
천사ㆍ255
원숭이ㆍ257
단순한 이야기ㆍ264
자유에 대하여ㆍ267
철가면ㆍ271
올가의 이야기ㆍ277

IV. 삶과 노동
세상의 끝 ㆍ289
나는 가진 게 아무것도 없어ㆍ293
노동자ㆍ297
일자리를 구합니다 ㆍ307
사무원ㆍ310
오전 근무ㆍ334
뷔블리ㆍ345
게르머ㆍ354
헬블링의 이야기ㆍ363
귀부인ㆍ386
주인과 피고용인ㆍ391
계급투쟁과 봄날의 꿈ㆍ397
교보문고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작가 소개

정보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레이어닫기
로베르트 발저
글작가
1878년 스위스 빌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와 예비 김나지움을 다녔으나 넉넉하지 못한 가정형편 때문에 그 이상의 교육은 받지 못했다. 생계를 이어가기 위해 열네 살 때부터 베른 주립은행에서 견습생 생활을 했고, 이후 취리히, 베른, 베를린, 슈투트가르트, 뮌헨 등 스위스와 독일의 여러 도시들로 거처를 옮기며 엔지니어 조수, 은행원, 사서, 비서 등으로 일했다. 1898년 처음으로 지역 신문에 시를 발표했고, 그 후로도 여러 작품을 문학잡지에 발표했다. 1906년부터 『탄너 일가의 남매들』 『조수』 『벤야멘타 하인학교―야콥 폰 군텐 이야기』 등 대표작을 출간했는데, 그의 작품들은 프란츠 카프카, 로베르트 무질, 헤르만 헤세, 발터 벤야민에게 찬사를 받았다. 1913년 모국 스위스로 돌아와 호텔 다락방에서 7년을 머물며 산문집 『작은 문학』 『물의 나라』, 장편소설 『토볼트』 『테오도르』 등 다수의 작품을 집필했고, 1925년 2월 마지막 책 『장미』를 출간했다. 고독과 불안, 망상으로 고통받던 그는 누나의 권유로 1929년 베른에 있는 발다우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되었고, 입원 뒤에도 집필을 계속했으나 1933년 헤리자우에 있는 정신병원으로 이송된 후에는 절필한 채 여생을 보내다 1956년 12월 25일 산책을 하던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생전에 작가로서의 명성을 누리지 못하고 일생을 철저한 아웃사이더로 살았던 로베르트 발저는 1970년대 그의 난해한 작품들에 대해 포스트모더니즘적 해석이 새롭게 이루어지면서 스위스에서 국민작가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고, 독일 문학사의 불가해한 신화로 재탄생했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엘프리데 옐리네크와 W.G. 제발트, 페터 한트케, 마르틴 발저 등은 가장 크게 영향을 받은 작가로 로베르트 발저를 꼽았다.
임홍배
글작가
서울대 독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과 대학원에서 괴테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 및 훔볼트 대학에서 수학했다. 현재 서울대 독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괴테가 탐사한 근대』, 『독일 고전주의』, 『기초자료로 본 독일 통일 20년』(공저), 『독일 명작의 이해』(공저), 『황석영 문학의 세계』, 『살아 있는 김수영』, 『김남주 문학의 세계』 등이 있고, 역서로는 『천사는 침묵했다』 『어느 사랑의 실험』 , 『파우스트 박사』(공역), 『루카치 미학』(공역) 『젊은 베르터의 고뇌』, 『로테, 바이마르에 오다』, 『세상의 끝』,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진리와 방법』(공역) 등이 있다.

판매처

전문 서점 4
정보
도서를 전문으로 판매하는 온라인 서점입니다.
레이어닫기
목록보기
일반 쇼핑몰 61
목록보기

쇼핑몰에서 정확한 가격과 상품정보를 확인하세요!

신고하고자 하는 상품을 선택해주세요
신고
판매처 더보기

작가 소개

정보
예스24에서 제공한 정보입니다.
레이어닫기
로베르트 발저
글작가

1878년 스위스 빌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와 예비 김나지움을 다녔으나 넉넉하지 못한 가정형편 때문에 그 이상의 교육은 받지 못했다. 생계를 이어가기 위해 열네 살 때부터 베른 주립은행에서 견습생 생활을 했고, 이후 취리히, 베른, 베를린, 슈투트가르트, 뮌헨 등 스위스와 독일의 여러 도시들로 거처를 옮기며 엔지니어 조수, 은행원, 사서, 비서 등으로 일했다. 1898년 처음으로 지역 신문에 시를 발표했고, 그 후로도 여러 작품을 문학잡지에 발표했다. 1906년부터 『탄너 일가의 남매들』 『조수』 『벤야멘타 하인학교―야콥 폰 군텐 이야기』 등 대표작을 출간했는데, 그의 작품들은 프란츠 카프카, 로베르트 무질, 헤르만 헤세, 발터 벤야민에게 찬사를 받았다. 1913년 모국 스위스로 돌아와 호텔 다락방에서 7년을 머물며 산문집 『작은 문학』 『물의 나라』, 장편소설 『토볼트』 『테오도르』 등 다수의 작품을 집필했고, 1925년 2월 마지막 책 『장미』를 출간했다. 고독과 불안, 망상으로 고통받던 그는 누나의 권유로 1929년 베른에 있는 발다우 정신병원에 입원하게 되었고, 입원 뒤에도 집필을 계속했으나 1933년 헤리자우에 있는 정신병원으로 이송된 후에는 절필한 채 여생을 보내다 1956년 12월 25일 산책을 하던 중 심장마비로 사망했다.생전에 작가로서의 명성을 누리지 못하고 일생을 철저한 아웃사이더로 살았던 로베르트 발저는 1970년대 그의 난해한 작품들에 대해 포스트모더니즘적 해석이 새롭게 이루어지면서 스위스에서 국민작가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고, 독일 문학사의 불가해한 신화로 재탄생했다. 노벨 문학상 수상자인 엘프리데 옐리네크와 W.G. 제발트, 페터 한트케, 마르틴 발저 등은 가장 크게 영향을 받은 작가로 로베르트 발저를 꼽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