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왕설래] 총기 딜레마

입력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미국 캘리포니아주 새너제이에 있는 ‘윈체스터 흉가’는 방 160개로 유명한 관광지이다. 집주인은 과부였다. 윈체스터라는 소총을 만들어 거부가 된 가문에 시집갔던 그는 딸을 잃고 남편마저 잃게 된다. 사업을 물려받은 뒤 유령에 시달렸다. 윈체스터 총에 목숨을 잃은 인디언과 야생동물이 혼령으로 나타나 괴롭힌 것. 여주인은 귀신을 피하기 위해 집 내부구조를 미로처럼 만들었다. 벽 사이에 숨어다닐 수 있는 비밀 통로를 만들고 문을 열면 낭떠러지가 되는 방도 있었다. 총기 판매로 일어난 가문이 결국 멸문지화를 당했다.

윈체스터 총을 만들었던 발명가 벤저민 호치키스는 프랑스로 이민 가서 연발기관포를 발명했다. 그의 발명품은 제1차 세계대전 때 어마어마한 화력을 입증하면서 전쟁의 총아가 됐다. 전쟁은 총의 발전을 요구했고, 총의 진화는 전쟁을 더욱 참혹하게 끌고 갔다. 리볼버 권총도 마찬가지이다. 활과 도끼로 저항하던 인디언을 말살하는 능력을 입증한 콜트 권총은 미국 남북전쟁을 지나면서 확실한 살인무기로 등극했다.

전쟁이 뒷걸음질 치면서 총의 용도가 바뀌었다. 분노를 표출하는 도구가 됐다. 2007년 버지니아텍에서 조승희가 총을 무차별로 쏘아 학생 등 32명이 숨졌다. 암살용으로도 쓰인다. 1950년 11월 푸에르토리코 국수주의자 두 명이 무장한 채 블레어 하우스에 침입해 해리 트루먼 대통령 암살을 시도했다. 은행강도들은 위협용으로 쓴다. 이 모든 게 총의 살상능력 때문이다.

어제 미국 피츠버그의 한 교회에서 총기사고로 11명이 사망했다. 총기 소유가 헌법적 권리이기는 하지만 내부를 향한 사고가 잦아지면서 규제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총기 규제 반대자이다. 그렇지만 계속 반대하자니 민심이 떠나고 규제로 돌아서자니 선거에 불리하게 되는 딜레마에 봉착했다. 국민의 생명을 책임져야 할 지위가 되면서 부닥치는 일이다. 한국에서도 자위권 보장 차원에서 총기 소유를 규제하지 말자는 여론이 인 적이 있다. 미국을 보면 아찔하다. 분노조절 장애가 있는 이웃들끼리 아파트 천장을 사이에 두고 서로 총질하는 일이 비일비재했을 것이다.

한용걸 논설위원


ⓒ 세상을 보는 눈, 글로벌 미디어 세계일보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