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때 ‘신기술’ 홍보하며 성급히 추진 박근혜 땐 시험가동…그 후 지진 징후 방치 [포항지진 조사 결과 발표]

입력
기사원문
김기범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ㆍ스위스 지열발전 사례 무시
ㆍ주관사업자, 현재 법정관리

포항 지열발전소는 이명박 정부 시절이던 2011년부터 지열발전의 경제적 타당성 확인을 위한 시추작업을 진행하며 본격화됐다. 2012년 9월25일 기공식을 열었으며 총사업비 규모는 473억원(정부 195억원, 민간 278억원)이었다. 당시 지식경제부는 아시아에서 처음으로 화산지대가 아닌 곳에서 지하 5㎞ 내외의 지열을 이용하는 핵심기술을 통해 ㎿급 지열발전소 건설을 추진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통상 지열발전은 화산지대 국가에서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왔지만 독일을 중심으로 비화산지대 적용 신기술을 활용한 상용화 발전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라고 덧붙였다.

하지만 박근혜 정부 때인 2016년 1월 지열발전소 시험가동 시 땅속에 물을 주입하면서 미소지진이 발생하기 시작했으며 미소지진은 2017년 11월까지 이어졌다. 제대로 된 안전대책이 사전에 마련됐다면 2017년 11월 수능 연기 사태까지 빚은 포항 강진은 예방할 수 있었다는 의미다. 결국 포항 지열발전소는 지진 발생 이후 운영이 중단됐다.

정승일 산업통상자원부 차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지열발전을 정부 연구개발사업으로 추진한 정부와 참여기관의 책임 여부와 사업이 적절하게 추진됐는지에 대해서 “조사가 필요한 사안”이라며 말을 아꼈다. 하지만 정부합동조사단이 지열발전소를 지진의 원인이라고 지목한 만큼 책임론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명박 정부 당시 성급하게 사업이 추진됐던 이유도 논란거리다. 지경부는 신기술이라고 홍보했지만 스위스 바젤에서는 2006년 12월 지열발전소에서 시추를 시작한 지 얼마 안돼 규모 3.4의 지진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정부는 지열발전 기술개발사업 추진 당시 스위스 바젤 사례를 충분히 인지했는지 좀 더 확인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부지 선정이 적절하게 추진됐는지, 지열발전소 물 주입이나 시추 과정에서 문제가 없었는지 등도 규명돼야 할 부분이다.

연구 컨소시엄에 참여한 기관들의 역할도 관심이다. 산업부 설명에 따르면 주관기관인 넥스지오가 부지 선정과 시추, 물 주입 등 연구 전반에 걸쳐 주관사업자 역할을 했다. 이 회사는 현재 법정관리 중이다. 포스코는 지상 플랜트 설계와 건설을 담당했고 지질자원연구원은 미소 진동에 대한 계측시스템 구축, 모니터링과 해석기술 개발 등을 맡았다. 서울대는 수리 자극, 효율 극대화 모듈을 만드는 작업을 진행했고 건설기술연구원은 시추 관련 최적화 방안 연구를 수행했다. 이노지오테크놀로지는 향후 정책수립 방안과 지열발전 사업화 방안 관련 역할을 담당했다.

김기범 기자 holjjak@kyunghyang.com


네이버 메인에서 경향신문 받아보기
두고 두고 읽는 뉴스인기 무료만화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프로필

주로 환경, 생태, 기후변화, 동물권, 과학 분야의 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보다 정확하고, 깊이 있는 기사를 쓰기 위해 서울대 보건대학원 환경보건학과에서 열공 중입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경제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