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산 화산 진짜 곧 폭발할까…과거 폭발 기록 돌아보니

입력
기사원문
이소라 기자
본문 요약봇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백두산 천지. 연합뉴스


“하늘과 땅이 갑자기 캄캄해졌는데 연기와 불꽃 같은 것이 일어나는 듯 하였고, 비릿한 냄새가 방에 꽉 찬 것 같기도 하였다. 큰 화로에 들어앉은 듯 몹시 무덥고, 흩날리는 재는 마치 눈과 같이 산지사방에 떨어졌는데 그 높이가 한 치 가량 되었다.”

조선 숙종 28년인 1702년 6월 3일 백두산이 분화한 모습을 묘사한 조선왕조실록의 기록이다. 당시 함경도 부령과 경성 일대 상황을 기록한 것으로, 백두산 화산 폭발의 수준을 알 수 있다.

최근 백두산 천지를 중심으로 화산 분화 징후가 잇따라 포착됐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2002~2005년 백두산 근방에서 화산 지진이 3,000여회 이상 발생해 천지가 부풀어 오르는 등 화산 분화의 징후가 보였다는 연구 결과도 공개됐다. 폭발 시 2010년 아이슬란드 화산 분화량의 1,000배 규모가 될 수 있다는 예측도 나왔다. 백두산은 10세기 이래 세기마다 한 번 이상 분화하며 위력을 과시해 이번 세기 분화 가능성까지 제기되면서 과거 분화 기록도 관심이다.

백두산 분화 첫 기록은 고려시대인 939년에 나온다. 이어 946년엔 이른바 ‘밀레니엄 분화’라고 하는 대규모 분화가 발생한다. 450㎞ 가까이 떨어진 개성에서 폭발음이 들리고, 1,000㎞ 이상 떨어진 일본에서도 백두산의 화산재 구름이 목격됐다는 기록이 있다.

학자들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분화는 남한 전체를 1m나 덮을 수 있는 엄청난 양의 분출물을 쏟아냈다. 당시 백두산에서 날아간 화산재가 일본 홋카이도, 혼슈 북부를 지나 쿠릴열도 해저, 그린란드 빙하 속에서도 발견됐을 정도로 위력이 상당했다.

이후 백두산은 총 31번 분화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1668년과 1702년에도 백두산에서 폭발이 일어 화산재가 비처럼 내렸다는 내용이 기술돼 있다. 마지막으로 분화한 것은 1903년이다.

15일 오전 국회도서관에서 '깨어나는 백두산 화산, 어떻게 할 것인가?' 세미나가 진행 중이다. 연합뉴스


학자들은 백두산이 폭발할 경우 남쪽도 안전지대가 아니라며 대비책을 주문한다. 15일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깨어나는 백두산 화산 어떻게 할 것인가'라는 주제의 토론회에서 오창환 전북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는 "백두산 폭발 시 남한의 경우 북한보다는 피해를 적게 볼 수 있으나 적지 않은 피해를 볼 수 있다"며 "독성의 화산가스가 함유된 미세먼지의 확산, 항공 운항·운송 악영향으로 관련 수출·수입과 관광 수입에 큰 차질을 초래할 것”이라고 예측하기도 했다.

이소라 기자 wtnsora21@hankookilbo.com

[한국일보 페이스북 친구맺기] [한국일보 홈 바로가기]
네이버 채널에서 한국일보를 구독하세요!

기자 프로필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사회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