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열사 파는 대기업, 직원 동요에 '일단 부인'부터 '속전속결'까지
입력 2019.05.09 07:00|수정 2019.05.10 09:46
    CJ그룹, 최근 연이은 자회사 매각…임직원 이탈 방지책 고심
    위로금·가치산정 너머 기업 평판의 문제로
    SK·LS 등 타 그룹들도 겪은 고민…삼성처럼 미리 '계약'부터 하기도
    • “푸드빌과 투썸플레이스를 모두 살릴 수 있는 방법으로 투썸플레이스 매각을 결정하게 됐습니다”

      CJ푸드빌은 지난 4월 말 정성필 대표 명의로 직원들에게 이메일을 발송해 투썸플레이스 매각을 공식화했다. 이미 올해 초 매각설이 나온 데 이어 지난 2월에는 인수자인 앵커에쿼티파트너스가 사업 현황들을 점검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회사는 “사실무근”이라 대응해 왔다. 당시 CJ푸드빌도 지주사 CJ㈜에 문의한 결과, 지주에서도 '사실무근'이란 답을 받았다고 대외에 설명했다.

      그룹 사정에 정통한 관계자는 “매각 소식이 샐 때마다 우수 직원들이 이직하고 내부가 동요가 심하다 보니 그룹 차원에서 어떻게 대처해야 할 지 고민이 큰 것이 사실”이라며 “최근엔 지주사 차원에서 페널티를 물더라도 책임을 묻지 않을 테니 M&A 관련해선 부인하라는 지시가 내려가기도 했었다”라고 설명했다.

      CJ그룹은 이재현 회장 등 경영진 지시에 맞춰 '월드 베스트'를 내걸고 사업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재무 상황에 대한 우려도 커진 상황이다. 이 때문에 재원마련을 위한 매각 작업에도 속도를 낼 것이란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CJ헬스케어를 한국콜마에 매각한 데 이어 올해는 CJ헬로비전을 LG그룹에 넘겼다. 최근에도 CJ제일제당 내 사료사업부 매각을 추진 중이다. 이외에도 IB업계에선 실적 부진이 이어지는 CJ CGV 등도 다음 타깃이 되지 않을까 내다보고 있다.

      대기업들의 사업재편이 활발해지면서 새 기업 인수 못지 않게 기존 회사를 잘 떠나 보내는 것은 비단 CJ 뿐만 아니라 주요 대기업들의 공통된 고민거리로 떠오르고 있다. 기존처럼 노조의 매각 반대, 핵심 인력 이탈, 위로금 책정 등 기업가치에 직접 영향을 미칠 고민과 더불어, 중장기적으론 그룹 평판에 미칠 영향까지 고려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여기에 이번 정부의 국내 고용 및 투자 확대 압박이 강해지는 가운데 가격 외 변수들이 거래에 미치는 영향도 커졌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여러 '선례'들을 지켜본 직원들 사이에서는 회사의 해명이 신뢰를 잃고 있는 분위기다. 회사가 "선택과 집중"을 내걸고 진행하는 분사 작업은 이제 ‘매각 전 몸만들기’로, “글로벌 성장기회를 모색하겠다”는 설명은 ‘해외 PEF에 매각을 진행중이다’로 통용되거나 이해되는 수준이다.

      관련 사례도 적지 않다.

      LS그룹은 지난 2017년 자회사 LS오토모티브를 매각하며 계약 당일까지도 직원들에게 “경영권 매각이 아닌 상장(IPO)절차를 진행 중이니 동요하지 말라” 이야기한 것으로 전해진다. 직원들은 평상시와 똑같이 조회시간 운동장에서 해당 설명을 들었다. 이후 회의실에 한 데 모여 우리사주 청약을 논의하던 중 매각 통보를 들어야 했다.

      정작 인수자인 KKR과 계약 조건을 조율한 곳은 당사자들이 아닌 지주사 ㈜LS였다. 그렇다고 정작 ㈜LS임원들의 입지가 공고해진 것도 아니다. 불과 1년여만에 KKR이 LS오토모티브와 함께 패키지로 인수해간 LS엠트론 동박사업부의 기업가치가 인수가격 대비 4배에서 7배 가까이 폭등하면서, 헐값에 팔았다는 논란에 서야 했다.

      사업재편이활발한 곳 중 하나인 SK그룹도 '팔자' 고민에선 예외가 아니었다. 지난해 11번가를 떼 내는 등 박정호 사장 주도의 포트폴리오 재편이 한창이던 중엔 직원들의 불안감도 높아졌다. 그룹 내 관계자는 "당시 SKT 내에서 보통 비인기 부서로 분류되는 홍보팀 지원이 급증했다"며 "워낙 사업부를 분사하거나 매각하는 기조가 이어지다 보니 차라리 어떻게 해서라도 본사에 남자는 분위기"라고 귀띔했다. 중간 지주사 전환을 추진할 경우 본사에 남고자 하는 기조는 더 강해질 것이란 평가도 있다.

      최근 금융계열사를 한앤컴퍼니(롯데카드)와 JKL파트너스(롯데손해보험)에 매각한 롯데그룹에서도 임직원 문제가 화두가 됐다. 인수자 선정에서도 '고용안정성' 강조한 곳에 높은 평가를 주는 등 거래 양상에 영향을 미쳤다.

      매각 진행 과정에서 내부 직원 사이에선 차라리 PEF를 인수자로 선호하는 분위기가 감지되기도 했다. PEF가 경영에 관여하면 성과평가(KPI) 등이 보다 투명해지고, 자리만 지키는 기존 일부 임원 등에게 어느정도 경각심을 줄 수 있지 않겠냐는 시각이다. 한 PEF업계 관계자는 "경영 투명성·성과 평가 개선 등은 보통 중소·중견기업 M&A에서 고려하던 성장요소들인데 일부 대기업 투자에선 예외가 아닌 분위기"라고 설명했다.

      삼성은 직원 내부동요가 발생할 틈이 생기기 전에 계열사 매각을 먼저 확정시킨 사례를 갖고 있다. 방법은 간단한데 잠재 인수자들이 매물을 실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격 협상에 돌입하는 게 M&A의 통상적인 절차지만, 삼성은 거꾸로 일단 매각 계약부터 맺어서 공식화를 진행했다. 그리고 실사등을 비롯한 세부과정은 추후에 진행하는 독특한 거래구조를 고집했다. 삼성-한화 빅딜 등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업계에선 "약 50건 중에서도 1건 찾아볼까 할 정도로 희귀한 사례"라며 "매각을 공식화 하기 전 부터 오너들 사이에 조율을 끝내고 신뢰가 쌓여야 진행할 수 있는 거래방식이라서 일반화하기는 어렵다"라고 설명한다.

      M&A업계 관계자는 "매각 가격을 끌어올리는 게 시급하거나 청산을 앞두고 있으면 공개매각으로 전환해 경쟁을 붙일 수 있겠지만 구조조정 거래에서는 직원 동요 방지 차원에서 보안 유지도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