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게요와 할께요

 “앞으로 더 열심히 할께요!” 무엇인가 새로운 일을 시작할 때면 으레 누구나 다짐하며 하는 말일 성싶다. ‘할께요’는 소리와 표기가 다른 말이다. ‘할게요’로 써야 한다.

 이처럼 말할 때의 발음과 글로 쓸 때의 표기가 달라 혼란을 겪을 때가 많다. 우리말 표준발음법에 ‘-ㄹ’ 뒤에 연결되는 ‘ㄱ, ㄷ, ㅂ, ㅅ, ㅈ’은 된소리로 발음한다는 규정이 있다. 이 규정에 따라 ‘할게요’는 ‘할께요’로 발음하고 표기할 땐 ‘할게요’로 적는다.

 어떨 때 된소리로 적고, 또 어떨 때 예사소리로 써야 할까. 먼저 ‘-ㄹ게’ ‘-ㄹ걸’ ‘-ㄹ거나’ ‘-ㄹ세라’ ‘-올시다’처럼 의문을 나타내지 않는 어미들은 된소리로 발음되더라도 표기할 때는 예사소리로 적는다. ‘줄께, 갈껄’은 ‘줄게, 갈걸’이 맞는 표기고, ‘마음도 고울쎄라’는 ‘마음도 고울세라’라고 써야 한다.

 이와 비슷하게 예사소리로 적어야 할 곳에 된소리로 적는 것 중 ‘거’도 있다. 여기에서 ‘거’는 ‘것’을 구어적으로 이르는 말이다. 흔히 말하는 ‘내 꺼야’는 ‘내 거야’가 바른말이다. 일상생활 속에선 ‘내 꺼’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지만 이런 환경에서 우리말을 된소리 발음해야 한다는 규정은 없다. 해서 ‘내 거’는 각각의 단어로 인식해 내 거로 적어야 한다. 끊어서 말할 때는 예사소리로 발음한다는 표준발음법 규정 때문이다.

 반면에 ‘-ㄹ까, -ㄹ꼬, -리까, -ㄹ쏘냐’처럼 의문을 나타내는 어미들은 모두 소리 나는 대로 쓴다. ‘얼마나 예쁠까, 왜 이리 추울꼬, 제가 가리까, 내가 너에게 질쏘냐’ 등으로 적는다.

 요약하면 ‘-ㄹ까’ 등처럼 의문을 나타내는 어미들은 된소리로 적고, 그 외에는 모두 예사소리로 표기하면 된다.

 

베풂

“봉사, 베품이나 나눔 아닌 친구가 되어 주는 것.” 어느 인터넷신문 기사 제목이다. 잘못 쓴 글자 하나가 눈에 확 띈다. 혹시 여러분도 찾았는지. 그렇다. ‘베풂’을 써야 할 곳에 ‘베품’으로 잘못 적었다.

‘베풂’은 ‘베풀다’의 명사형이다. 어간이 ‘ㄹ’로 끝나는 동사의 명사형을 만들 때 ‘ㄹ’을 생략해버리고 ‘ㅁ’만 붙여 적는 사람이 많다. 아마도 ‘베풂’에서 받침 ‘ㄹ’은 소리가 나지 않기 때문인 듯하다.

일반적으로 어간이 모음으로 끝나는 동사를 명사형으로 만들 때는 ‘ㅁ’만 덧붙인다. ‘비우다’ ‘자르다’의 명사형은 ‘비움’ ‘자름’이다. ‘ㄹ’을 제외한 받침 있는 동사를 명사형으로 바꿀 땐 ‘음’을 붙이다. 따라서 ‘먹다’의 명사형은 ‘먹음’, ‘놓다’의 명사형은 ‘놓음’이 된다. 이 규칙을 모르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

문제는 ‘베풀다’처럼 어간이 ‘ㄹ’ 받침으로 끝난 경우이다. 어간이 ‘ㄹ’로 끝나는 동사는 어간에 있는 ‘ㄹ’을 그냥 둔 상태에서 ‘ㅁ’을 덧붙여 명사형을 만든다. ‘베풀다’의 어간 ‘베풀’에 받침 ‘ㅁ’이 붙어 ‘베풂’이 되는 식이다. 마찬가지로 ‘살다’는 ‘삶’, ‘알다’는 ‘앎’, ‘만들다’는 ‘만듦’이 된다. 어간 끝소리가 ‘ㄹ’인 말을 명사형으로 바꿀 때는 겹받침 ‘ㄹㅁ’으로 적어야 되는 것이다.

다만 햇볕이나 불, 연기 따위를 오래 쬐어 검게 되다란 뜻을 가진 말 ‘그을다’는 명사형이 ‘그읆’이 아니라 ‘그을음’이다. 또 ‘알다’의 명사형은 ‘앎’이지만 “얼굴은 진작부터 알음이 있었다”에서 볼 수 있듯 ‘알음’이란 명사도 따로 있다. 하지만 이 두 사례는 예외적인 경우다.

 

필자약력

김선경, 현 경향신문 교열부 차장, 현 한국어문기자협회 부회장. 스포츠서울 스포츠칸 교열기자 ‘알고 쓰는 말글’ 연재(2012~2016년)

저작권자 © 이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