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빛 발견] 삶 속의 ‘은유’/이경우 어문부장

입력
수정2019.06.13. 오전 10:11
기사원문
성별
말하기 속도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서울신문]
“내 마음은 호수요.” 전형적인 ‘은유’다. ‘내 마음’은 달리 표현하면 ‘호수’와 같다는 것이다. 은유는 이처럼 어떤 개념이나 움직임을 다른 말로 알려 주는 일을 말한다. 문학 용어로 효과적이고 미적인 표현을 위해 말과 글을 꾸미는 방법의 하나였다.

이 은유에서 ‘코끼리는 생각하지 마’의 조지 레이코프는 다른 발견을 한다. 그는 은유를 단지 문학적 수사법으로만 파악하지 않았다. 우리의 사고 과정이 거의 은유적이라고 한다. 사건이나 사실, 대상을 알 때 대부분 은유를 통한다는 것이다. 그가 새로이 말하는 은유는 대상을 인지하는 원리였다.

일상의 곳곳에 이런 작용을 하는 은유가 널려 있다. 이권을 목적으로 부정하게 주고받는 돈을 흔히 ‘뇌물’이라고 한다. 그렇지만 ‘뇌물’이 ‘싫은’ 한쪽에서는 ‘떡값’이라는 말로 누그러뜨려 표현한다. 사실이 왜곡되는 틈을 만든다. 기업이 경영 실적이나 재정 상태가 실제보다 좋게 보이도록 재무제표의 수치를 조작하며, 부당하게 자산이나 이익을 부풀려 회계를 작성하면 ‘회계사기’이거나 ‘회계부정’, ‘회계조작’이 된다. 한데 오랫동안 ‘분식회계’라고 더 많이 했다. 사실을 흐리거나 감추고 덮는 은유다.



네이버에서 서울신문 구독하기
▶ 재미있는 세상[나우뉴스] [인기 무료만화]

ⓒ 서울신문(www.seoul.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이 기사는 언론사에서 오피니언 섹션으로 분류했습니다.
기사 섹션 분류 안내

기사의 섹션 정보는 해당 언론사의 분류를 따르고 있습니다. 언론사는 개별 기사를 2개 이상 섹션으로 중복 분류할 수 있습니다.

닫기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