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황조가의 작자 문제
dodo**** 조회수 4,559 작성일2004.10.19
황조가의 작자가 유리왕일때는 고구려 시가이고
작자가 민중일때는 상고시가라고 하는데
그 관계에대해 설명좀 해주세요~

낼 셤보는데 꼭 부탁 드립니다~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pres****
고수
국어, 한문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황조가의 작자를 '유리왕'으로 보느냐
아니면 '민요'나 '노랫가락'이 유리왕 설화(삼국사기)에 삽입되어 전하느냐의
견해차로 요약할수 있겠네요.

만약 작자를 '유리왕'으로 보면 황조가는 유리왕이라는 고구려인이 개인의 정서를 담은 시를 읊은 '고구려 시가'가 되겠고
'민요'라고 보게되는 경우 작자를 알 수 없는 '상고시가'가 되는 것이지요.
이러한 견해중 작자를 '유리왕'이라 보년 견해가 현재 주된 견해지만,
다른 견해도 타당성이 있어 이러한 논쟁의 여지가 아직도 남아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그렇다면 '황조가'를 보는 주요 학자의 견해를 살펴보겠습니다.

<'황조가'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

1.이병기 : 원시적 서사 문학 가운데서 축수 또는 기원의 요소적인 부분이 분화 독립하여 서정시로 형성되었는데, '황조가'도 그 한 예이다.

2.임동권 ; 고구려의 민요로서 유리왕이 창작한 것이 아니라 가창했을 따름이다.

3.정병욱 : 이 노래는 <삼국지> 위서 동이전에 전하는 제례 의식 중에서 남녀가 배우자를 선택할 때에 불려진 사랑가의 한 토막이다.

4.이명선 : 유리왕의 치희에 대한 개인적인 미련에서 불려진 것이 아니라. 종족간의 상쟁을 화해시키려다 실패한 추장의 탄식으로 이해된다

5.양주동 : 유리왕이 지은 '서정시'로 보는 견해


<정병욱> - 고대서정가요가 한문으로 번역 후 유리왕 설화에 끼여들었다는 견해
유리왕은 신화적 인물이다. 그가 왕위에 오르게 된 경위부터가 신화적인 요소가 매우 짙다. 여기서 우리가 생각해야 할 문제는, 과연 신화적인 요소를 띤 인물의 창작적인 시 제작을 인정할 수 있을까 하는 문제이다. 문학사의 발전 과정으로 보아, 신화적인 존재의 인물은 서사시의 주인공이고, 서정적인 창작시는 그보다 늦다는 견해가 통설인 이상, '삼국사기'의 기록을 전적으로 믿는 데에는 얼마큼 검토할 여지가 있다고 보인다.

여기서 우리는 사기의 기록을 떠나, 이 '황조가'를 한 편의 순수한 고대의 서정시로 보고서, 그 내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우선 이 노래의 소재는 '꾀꼬리'라는 자연물이고, 주제는 남녀간의 애정을 읊은 노래임은 누구나 잘 아는 바이다. 이 말을 바꾸어서 말한다면, 남녀간의 애정 즉 연애 감정을 읊는 데에, 꾀꼬리라는 자연물을 빌려서 그 감정을 표현하였다는 뜻이 되겠다. (중략) 그러나 신화적인 인물의 창작적인 시 제작을 믿을 수 없다는 문학사의 일반적인 발전 법칙을 고려하여, 이 노래를 작자 불명의 서정적인 고대 가요로 친다면, 그 창작 동기도 '삼국사기'의 기록을 떠나서 생각해야 할 것이다.

즉 이 노래는 치희를 잃은 유리왕의 외로움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는 전제에서 우리의 추론을 발전시킨다면, 어떠한 창작 동기를 상정할 수 있겠느냐는 설문이 제기되어야 한다.(중략)

이 '황조가'라는 노래도 거절당한 남자의 애절한 구애곡이 아니었던가 하는 생각이 든다. 마음에 드는 처녀에게 사랑을 호소했다가 패배의 고배를 마시고 걷잡을 수 없는 슬픔에 빠진 외로운 총각의 심정, 그것이 바로 '황조가'의 내용에 넘쳐 흐른다고 느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필자의 보는 바로는, 이 노래를 '삼국사기'의 기록대로 믿을 것이 아니라, '위서동이전'이 전하는 바 많은 제례 의식 중에서, 남녀가 배우자를 선정하는 기회에 불려진 사랑의 노래의 한 토막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그 작가도 사실은 누구인지 알 수 없고 제작 연대도 확정할 수 없는 고대의 서정적인 가요의 한 토막이 후에 한문으로 번역되어, 고구려 유리왕의 설화 속에 끼여들었다는 정도로 생각해 두는 편이 오히려 타당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출처 : 정병욱 저 '한국고전시가론')


요약하면, '황조가'를 보는 견해는 개인적인 서정시로 보는 양주님의 견해와 '화희'와 '치희'를 상징되는 두 종족간의 갈등에서 빚어진 서사시로 보는 견해, 고대의 '민요'가 '유리왕 설화'에 한문으로 번역된 후 정착되어 전하는 견해로 살펴볼 수 있겠네요.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2004.10.19.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

    http://www.seelotus.com/ 자료 참고 직접 작성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