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조선시대의 모든 것이 궁금해요.
tnwj**** 조회수 16,343 작성일2005.11.22

안녕하세요.

 

음. 우선 소개는 뒤로 냅두고 ㅋㅋㅋㅋ 궁금한 것부터  말할께요.

 

제가 취미가 소설쓰기이거든요. 그런데 이번에는 좀 다른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을 써 보고 싶더라구요.

 

그럴려면 아무리 제 취미지만 뭔가 제대로 알고 써야 될 것 같아서요.

 

제 질문은 말 그대로 조선시대의 모든 것이 궁금한데요.

 

1. 조선시대의 언어.

 

   (궁에서 사용했던 언어와 일반 백성(양반 포함)들이 사용했던 언어.

 

     궁의 모든 사람들이 사용했던 언어. 궁의 전문용어 등등.)

 

2. 조선시대 의상과 머리, 사용했던 기구들의 변천과정.

 

   (노비. 천민. 양민. 평민. 중인. 양반. 백정. 상인 등.

 

   그리고 관리들의 의상. 왕. 중전. 등등 왕실가족들이 사용했던 것.)

 

3. 즉, 궁의 모든 상궁, 나인, 생각시, 내시등을 뽑았던 과정과

 

    그 자격에 맞는 사람들. 그리고 뽑고나서의 궁의 생활등.

 

4. 조선시대의 생활상, 그리고 풍습들.

 

5. 조선시대의 모든 궁 이름들.

 

6. 조선의 마지막 왕 순종의 가족들(자식들)

 

7. 순종께서 살아계셨을 때 양장을 입었는가?

 

8. 조선시대의 역대 왕 이름들.

 

9. '조'와 '종'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10. 조선시대의 왕위 상속은 어떻게 했나?

 

11. 조선시대에 왕들은 자신의 왕실가족들에게 어떻게 칭호를 사용했으며

 

     또, 조선시대의 왕실가족들은 각자의 위치와 계급에 따라서 왕을 어떻게 불렀나?

 

12. 폐하와 전하 , 그리고 주상의 차이점은 무엇이며

 

      백성들이나 관리들 그리고 양반들은 왕을 뭐라고 불렀나?

 

13. 조선시대 후궁의 계급들.

 

14. 조선시대 궁에서 생활하던 여자들과 남자들의 계급들,

 

      (관리 제외.)

 

제 질문은 이것까지구요.

 

또,. 이것 외에 다른것들을 알고 계신다면 남겨주세요.

 

^^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empe****
영웅
한국사, 한국드라마, 드라마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1번.

<한중록>과 <계축일기>를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실겁니다.

아래는 궁중에서 쓰인 단어, 말 입니다.

신체 궁중말
용안(龍顔)옥안(玉顔) : 임금의 얼굴.
용안(龍眼) : 임금의 눈.
어수(御手)옥수(玉手) : 임금의 손.
면부(面膚) : 왕 이외 왕족의 얼굴
이부(耳部) : 귀
안정(眼精) : 눈
안정(眼精)섭 : 눈썹.
액상(額上) : 이마.
수조(手爪) : 손톱.
수지(手指) : 손가락
족장(足掌) : 발(발등, 발바닥 등 모두 쓰임).
각부(脚部) : 왕, 왕비의 다리.
마리 : 머리.
두발(頭髮) : 머리칼.
구순(口脣) : 입술.
구중(口中) : 입, 입속.

신체와 관련 궁중말
용루(龍淚)옥루(玉淚) : 임금의(혹은 왕비의) 눈물.
안수(眼水) : 눈물
비수(鼻水) : 콧물.
성후(聖候) : 임금의 건강.
환경(環經) : 월경(月經).
통기(通氣) : 방기(放氣).
한우(汗雨) : 땀.
후수(後水) : 뒷물.
혈(血) : 피.

단어 궁중말
예학(睿學) : 왕세자(王世子)의 학문.
예덕(睿德) : 왕세자의 덕(德).
예후(睿候) : 왕세자의 건강.
예질(睿質) : 왕세자의 기질.
성심(聖心) : 임금의 마음.
성노(聖怒)천노(天怒) : 임금의 노여움.
천청(天聽) : 왕이 백성의 고충을 듣는 일.
사색(辭色) : 임금의 표정, 기분(氣分).
엄색(嚴色) : 임금의 화가 난 표정.
치사(致詞) : 왕에게 드리는 축하문
성의(聖意) : 임금의 생각.
성려(聖慮) : 임금의 심려(心慮).
성체(聖體)옥체(玉體) : 임금의 신체(身體).
성궁(聖躬) : 임금의 신상(身上).
성명(聖明) : 임금의 판단력, 총명(聰明).
성권(聖眷) : 임금의 신임(信任).
성은(聖恩) : 임금의 은혜.
성교(聖敎) : 임금의 명령, 말씀. 교지(敎旨).
성학(聖學) : 임금의 학문, 학식.
어진(御眞) : 임금의 초상화. 사진.
어제(御製) : 임금의 시문(詩文).
어찰(御札) : 임금의 편지.
어주(御酒) : 임금이 권하는 술.
어제(御題) : 임금이 내린 시(詩)의 제목.
어전(御前) : 임금의 앞.
매우(梅雨) : 임금의 대변(大便).
매우틀 : 임금의 변기(便器)
지 : 소변(小便), 또는 요강.
소첩 : 빗접[梳帖].
초도(初度) : 돌. 어린 왕자녀(王子女)의 생일.
탄일(誕日) : 임금의 생신(生辰)날. 왕비의 탄일은 '중전(中殿) 탄일'로 부름.
천추절(千秋節) : 왕세자의 생일.
계구릉(啓久陵) : 천능(遷陵)하기 위하여 능(陵)을 여는(掘) 것.
계찬궁(啓?宮) : 산에 매장(埋葬)하기 위하여 빈전(殯殿)을 여는 것.
재궁(梓宮) : 왕, 왕비, 왕대비, 세자, 세자빈의 관(棺).
빈전(殯殿) : 왕이나 왕비의 유해(遺骸)를 안치(安置)해두는 전각(殿閣).
빈궁(殯宮) : 동궁(東宮)과 빈궁(殯宮)의 영안실(靈安室).
승하(昇遐) : 왕, 왕비의 별세(別世).
재실(梓室) : 세자, 세자빈의 관(棺).
인산(因山) : 왕, 왕비의 관을 산에 매장하는 것.
요녀틀 : 재궁(梓宮)을 옮길 때 쓰는 바퀴 달린 기구(器具).
목주(木主)마마: 왕, 왕비의 위패(位牌).
선자(扇子) : 부채.
가매(假寐) : 낮잠
의궤(儀軌) : 궁중 행사의 기록
조보(朝報) : 소식
다리미 : 대루리

행동 궁중말
마리 아뢰다 : 머리 빗겨드리다.
기수 배설(排設)하다 : 이부자리를 깐다.
침수(寢睡) : 주무시다.
감(鑑)하다 : 보시다.
하저(下箸)진어(進御)하다 : 수저를 드시다. 식사를 하시다.
어진(御進)하시다 : 잡수시다.
어(御)하신 : 살다. 계시다.
어(御)하다 : 영묘(英廟=영조)겨오셔 유시(幼時)에 어(御)하신 감투(=쓰다).
행보(行步) : 걷는 것.
대세수하오시다 : 손을 씻는다.
수부수하오시다 : 양치질하다.
소세 듭시다 : 세수하신다.
소세 나오시다 : 세수 다 하셨다.
기노(起怒: 震怒)하시다 : 노(怒)하시다.
용려(用慮)하다 : 걱정하시다.
초려(焦慮)하다 : 몹시 걱정하시다.
과거(過擧)하다 : 실수하다. 지나친 행동을 하다.
납시다 : 나오신다.
듭시다 : 들어가신다.
뫼어라 : 모시어라. 가지고 오라.
아뢰옵다 : 말씀드리다
씻오신다 : 씻으신다.
자작한다 : 옷감을 재단(裁斷)한다.
미령(靡寧)하시다 : 임금께서 편찮으시다.
문안(問安)이 게오시다: 편찮으시다.
메습쇼: 진지를 잡수십시오.
물어주다: 하사(下賜)하다.
이어(移御)하다: 임금이 거처(居處)를 옮기다.
기미보다: 먼저 맛보다. = 임금, 왕비의 드는 음식은 먼저 수라 상 머리에서 임금이 수라를 들기 전에 반드시 상궁들이 시식(試食)을 하였다.
아모라타 없이: 측량할 길 없이.
아니꼽다 : 마음에 끌리지 아니하다
상常없다 : 버릇없다
미안하다 : 서운하다

의복 궁중말
용포(龍袍) : 임금의 예복(禮服).
의대(衣?) : 옷
의대차(衣?次) : 옷감.
주의(周衣) : 왕의 편복(便服), 웃옷.
용금치(龍金赤) : 용포(龍袍)에 다는 흉배(胸背) 및 보(補).
옥대(玉帶) : 임금의 허리띠.
야장의(夜長衣) : 잠옷.
한삼(汗衫) : 적삼.
봉지 : 바지(把持).
너른 봉지 : 두 다리를 가른 단속곳.
둥의대(胴衣?) : 왕의 저고리.
소고의 : 왕비의 저고리.
대자(帶子)옥대(玉帶) : 허리띠.
단니의(單裡衣) : 왕비의 속치마.
대조 : 옷고름.
족건(足巾) : 버선.
배자(褙子) : 조끼.
운혜(雲鞋) : 신발.
어혜(御鞋) : 임금의 신발
기수 : 이불.
기수잇 : 이불잇.
푸지 : 요.
줌치 : 주머니.
낭(囊) : 염낭.
침(枕) : 베개.
보자(褓子 ): 보재기.
치 : 왕의 신발, 또는 상투.
오목이, 오목다리 : 버선목에 끈이 달린 어린아이 버선.
동달이 : 동을 다른 색으로 단 어린아이 저고리.
다회(多繪) : 궁중에서 짜는 끈. 또는 주머니 끈, 허리띠로도 함.
무렴자 : 솜을 두어 누빈 커텐.
도침(?砧) : 다듬이.
수건(手巾) : 수건.
휘건(揮巾) : 내프킨.
휘견치마 : 행주치마.

진지상 궁중말
수라(水剌) : 임금의 진지
어상(御床)수라상(水剌床) : 임금의 진지상.
어정(御井) : 임금이 마시는 우물.
탕(湯) : 국.
다(茶) : 숭늉. 차(茶).
젖국지. 침채(沈菜) : 김치.
편침채(片沈菜) : 나박 김치.
구이 : 고기나 생선 군 것.
너비아니 구이 : 불고기.
조치 : 찌개.
시저(匙箸) : 수저.
저(箸) : 젓가락.
곽탕(藿湯) : 미역국.
청태(靑苔) : 파래.
건개 : 반찬
장과 : 장아찌
송송이 : 깍두기
조리개 : 장조림
면(麵): 국수.
편숙의: 떡국.
대산大蒜 : 마늘
계단鷄蛋 : 달걀
번초蕃椒 : 고추
황육黃肉 : 쇠고기
적계赤鷄 / 산계山鷄 : 꿩
전유아(煎油魚) : 전야, 간(肝) 전야. 생선 전야.
느름 적(炙) : 느르미, 우육(牛肉: 쇠고기), 도라지, 파, 버섯, 등을 꼬치에 끼워서 타원형으로 부친 것. 이 형태의 빈자떡은 꼬치 없이 크게 부친 것.
준시(?枾) : 곶감. 건시(乾枾), 꼬챙이에 끼지 않고 말린 감.
백설고 : 백설기.
탕제(蕩劑) : 임금의 약.
도어(刀魚) : 갈치.
동해부인(東海夫人) : 홍합(紅蛤).
청(淸) : 꿀.
청포(淸泡) : 묵.
장똑똑이 : 섭산적을 만들어 3. 5cm 4각형으로 잘라서 간장에 싱겁게 졸여서 그 간장에 띄운 것.
대조(大棗) : 대추.
편 : 시루떡.
서과(西瓜) : 수박.
감자(柑子) : 귤.
수라 듭시다, 수라 나아오시다 : 진지를 잡수시다. "진어(進御)"라 이름.
수라 잡수오너라 : 진지 상 올려라 + 상궁이 아랫사람에게 명령하는 말.
장고방(醬庫房) : 궁중 안에 장독대가 있는 곳.
고장자(庫醬子) : 장독간을 관리하는 우두머리 상궁(尙宮).
부견주 : 네 손잡이가 달린 발 없는 솥[鼎].
조라치(?羅赤) : 궁중의 화부(火夫).
기타 궁중말
성상(聖上)주상(主上)금상(今上) : 임금의 다른 칭호.
용상(龍牀) : 임금의 좌상(座牀), 혹 그 지위(地位).

 

3번.

내시는 우선 거세를 한 사내만이 가능합니다.

어릴 적 개에게 물려 거세를 당한다거나, 인위적으로 거세를 해서 말이죠.

하지만 거세를 했다고 해서 다 환관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내시는 왕의 측근으로 있으며, 왕의 비밀을 지키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합니다. (특히 외적의 침략으로 왕이 피신했을 경우 -)

이를 위해, 비밀을 얼마나 잘 지키는지 보기위해 인내심 테스트를 하는대요 ;

나무에 매달거나 물을 먹이고, 심지어는 땅에 눕힌 채 코에 모래를 넣기도 했다네요.

그렇게 합격하면 대궐 안 지리에 대해 교육을 받습니다. 비밀통로와 암문(暗門)에 대해 익숙하게 알고 있어야만 궁중에 변이 일어났을 때 왕을 피신시킬 수 있으니까요.

승진을 위해서는 '강경과'라는, 삼강행실에 대한 시험을 치룹니다.

궁녀는 10년에 한번정도 뽑았으며, 3~13세의 처녀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지밀과 침방(針房), 수방(繡房)은 중인계급, 나머지는 상민계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처음에는 아기나인(또는 생각시)로 생활하다가 20세 전후 성년이 되면 계례(일종의 성인식)를 치루면 나인이 됩니다. 그로부터 15년정도 지나면 상궁이 되는데 - 혹, 그보다 어린 나이일지라도 왕의 승은을 입으면 특별상궁으로 봉해지기도 합니다. 

궁녀는 평생을 궁중에서 살기도 하지만, 모시던 제 주인이 죽거나 중병에 걸리거나, 또는 나라에 큰 가뭄이 들었을 때 궁에서 나오기도 합니다.

 

5번.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경희궁, 덕수궁이 있습니다.

그리고 흥선대원군의 사저로써 고종황제가 어린 시절을 보낸 운현궁이 있구요 ...

(각 궁의 전각들은 인터넷 검색을 하시면 찾으실 수 있습니다.

글이 길어질 것 같아 올리지 못하는데 ; 원하신다면 메일로 보내드리겠습니다)

 

6번.

비는 순명효황후 민씨와 순정효황후 윤씨이며, 순종황제는 자식이 없습니다 -_-

순종황제의 후사는 이복동생인 영친왕이 잇습니다.

 

7번.

입으셨습니다.

창경원(일제가 창경궁 안에 동물원, 식물원 등을 만들어 공개했었던~_~) 개원 축하 파티 때 새로이 모닝코트를 맞춰 입고 회색 중절모를 쓰고 나갔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8번.

태조 : 이성계

정종 : 이방과

태종 : 이방원

세종 : 이도

문종 : 이향

단종 : 이홍위

세조 : 이유

예종 : 이황

성종 : 이혈

연산군 : 이융

중종 : 이역

인종 : 이호

명종 : 이환

선조 : 이공, 균

광해군 : 이혼

인조 : 이종

효종 : 이호

현종 : 이연

숙종 : 이순

경종 : 이균, 윤

영조 : 이금

정조 : 이산

순조 : 이공

헌종 : 이환

철종 :  이변, 원범

고종 :  이형, 재황, 명복

순종 : 이척

 

9번.

묘호에 '종'과 '조'를 붙이는 기준에 대해서는 말이 많아 ; 생략.

지식in을 검색해보시면 많은 글을 접하실 수 있을겁니다.

 

10번.

조선시대 왕위 상속은 우선권이 '왕세자'에게 있습니다.

왕세자가 사망한 경우라면 '왕세손(또는 원손)'에게 있지요.

왕세자를 책봉하기 전에 왕이 사망했다면, 왕의 장자인 원자에게 우선권이 주어집니다.

대군이 없을 경우에는 왕자군(일명 왕의 서자들)에게 돌아가구요.

왕자군도 없을 경우에는 조카를 양자로 입적시키기도 합니다.

(예 : 익종과 신정왕후의 양자로 들여진  철종과 고종)

이렇게 3촌, 4촌, 5촌 등으로 나아갔으나 ...

그래도 남자가 없다면 ; 마지막에 왕의 적녀인 공주에게 돌아갑니다.

(하지만 이 경우는 매우 드물죠~_~)

 

11번.

왕자녀라 할지라도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전하'라고 부릅니다.

(사적인 자리에서는 '아바마마'라 할지라도 -)

왕의 모후되시는 대비는 '주상'이라고 했구요 ...

왕은 제 가족들을 아래와 같이 불렀습니다.

중전, 곤전(왕후에게), 공주, 옹주, 대군, 군이라고 불렀어요.

때로는 왕자녀들의 별호(예 : 양녕, 화평)나 이름, 아명을 부르기도 했습니다.

 

12번.

'폐하(陛下)'는 제후국인 황제(와 황후)에게 쓰이는 말입니다.

'전하(殿下)'는 왕(과 왕비), 또는 제후국의 황태자(와 황태자비)에게 쓰이죠.

'주상'이라는 말은 왕(또는 황제)을 지칭하는 또 다른 말입니다.

같은 말로 성상(聖上), 금상(今上)이라 합니다.

백성이야 '임금님'이라 하셨을테고 ...

양반들은 저희들끼리 모여 왕을 제 3자로 놓고 이야기할 적에

위와 같이 주상, 성상, 금상이라고 합니다.

 

13번.

정1품 빈(嬪)

종1품 귀인(貴人)
정2품 소의(昭儀)
종2품 숙의(淑儀)
정3품 소용(昭容)
종3품 숙용(淑容)
정4품 소원(昭媛)
종4품 숙원(淑媛)

 

세자궁

종2품 양재(良?)

종3품 양원(良媛)

종4품 승휘(承徽)

종5품 소훈(昭訓)

 

14번.

정5품 상궁(尙宮)·상의(尙儀)
종5품 상복(尙服)·상식(尙食)
정6품 상침(尙寢)·상공(尙功)
정7품 전빈(典賓)·전의(典衣)·전선(典膳)
종7품 전설(典設)·전제(典製)·전언(典言)
정8품 전찬(典贊)·전식(典飾)·전약(典藥)
종8품 전등(典燈)·전채(典彩)·전정(典正)
정9품 주궁(奏宮)·주상(奏商)·주각(奏角)
종9품 주변징[치](奏變徵)·주징[치](奏徵)·주우(奏雨)·주변궁(奏變宮)

 

세자궁

종6품 수규, 수칙

종7품 장찬, 장정

종8품 장서, 장봉

종9품 장장, 장식, 장의

내시부

종2품 상선

정3품 상온, 상다

종3품 상약

정4품 상전

종4품 상책

정5품 상호

종5품 상탕

정6품 상세

종6품 상촉

정7품 상훤

종7품 상설

정8품 상제

종8품 상문

정9품 상경

종9품 상원

 

2005.11.23.

  • 채택

    질문자⋅지식인이 채택한 답변입니다.

  • 출처

    인터넷 검색, 서적 <죽어도 나는 양반, 너는 상놈> <조선의 왕실과 외척> 등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