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듣말쓰 92쪽이요! (최무선)
강장군 조회수 1,141 작성일2013.06.01

오늘 9시 반까지 해주세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2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mymi****
시민
본인 입력 포함 정보
 <화포>

 

 최무선은 우선 과거에 화약을 어떻게 만들었는지를 조사했다. 그리고 이전부터 염초에 반묘(유황)와 버드나무 숯(분탄)을 섞어 화약을 만들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반묘와 분탄은 쉽게 구할 수 있었지만 염초를 만드는 방법은 알 수 없었다. 그는 화약을 만들기 위해 부엌 아궁이의 재나 마루 밑의 흙을 물에 타서 끓이는 등 수 없는 실험을 거듭한 끝에 드디어 초보적으로 염초를 얻어내는 데 성공했다.

 그렇지만 화약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해서는 보다 간편한 염초 제조법을 확보할 필요가 있었다. 그는 중국 사람들의 왕래가 잦은 무역항 벽란도에 가서 염초제조법을 알고 있는 중국인을 수소문했다. 우여곡절 끝에 염초 제조법을 알고 있는 중국인 이원(李元)을 만났고 결국 이원으로부터 염초자취법이란 화약제조법을 알아냈다. 이것은 오늘날 흑색 화약(유연 화약)과 같은 것으로 질산칼륨 75%, 유황 10%, 목탄 15%를 화합하여 만든 화약을 말한다.

 흑색 화약은 염초를 산화제로, 목탄을 가연제로 하고 여기에 점화촉진제인 유황으로 이를 압축 성형하는 것이다. 흑색 화약은 약 300℃로 가열하면 발화하면서 세차게 탄다. 대기 중에서 흑색 화약의 밀도가 1.5 정도일 때 발화 속도는 1∼3m/초로 매우 빠르지만 연소 속도는 10mm/초로 매우 작다. 그러나 압력이 높아지면 연소 속도는 증가한다. 흑색 화약은 예로부터 폭약 또는 추진약으로 널리 이용되었고 현재도 연소성이 좋고 긴 화염을 일으키므로 고체 추진체의 점화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화약을 개발한 최무선은 화약을 이용한 무기, 즉 화전, 화통 등을 만들어 실험해본 후 자신감을 얻자, 화약과 각종 화약을 이용하여 무기를 만드는 화통도감(火筒都監)의 설치를 건의했다. 1377년 고려는 드디어 화약무기를 본격적으로 개발하는 화통도감을 설치하고 최무선을 제조관(提調官)으로 임명했으며 화통방사군(火筒放射軍)을 조직했다.

 국방군사연구소 발행 『한국무기 발달사』에 의하면 최무선은 화통도감에서 17종의 화약무기를 개발했다. 그가 개발한 무기는 대장군(大將軍), 이장군(二將軍), 삼장군(三將軍), 육화석포(六花石砲), 화포(火砲), 신포(信砲), 화통(火筒), 화전(火箭), 주화(走火), 유화(流火), 촉천화(觸天火), 천산(穿山), 오룡전(五龍箭), 철령전(鐵翎箭), 피령전(皮翎箭), 질려포( 藜砲), 철탄자(鐵彈子) 등이다.

 

 최무선이 개발한 화약무기는 크게 두 가지로 분류된다. 대장군, 이장군, 화포, 화통 등은 발사기 종류이고 화전, 주화, 유화, 촉천화 등은 피발사체 혹은 자체 폭발력을 지닌 로켓화기를 의미하는 것이다. 화포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대장군포는 쇠탄두가 달린 나무탄인 ‘차대전’과 ‘중전’을 평사로 쏘는 포인데, 조선시대에는 이것을 ‘장군화통’이라고 했다. 대장군포는 한쪽이 막힌 둥근 통 모양의 포신만으로 이루어졌는데 『국조오례의』에 의하면 포의 내부 직경은 96.9밀리미터, 길이는 859.5mm, 중량이 62.8kg이다. 화약통에는 흑색 화약이 채워졌다 폭발하기 때문에 이 폭발력을 견딜수 있도록 몸통 벽 두께를 위치에 따라 다르게 하였는데 평균 34∼46mm이다. 외탄도 계산 결과 발사각이 45도일 때 탄의 비행거리는 1060m, 최대 고도는 270m이다.

 이 곳에서 발사하는 대전은 2.7kg의 쇠탄두가 앞에 달려 있고 그 가운데로부터 뒤쪽에 십자형으로 쇠날개가 4개 달려 있으며 쇠탄두, 날개 그리고 꼬리 부분에 쇠띠가 감겨 있었다. 형태가 로켓을 방불케 하는 대전은 목표를 한번에 파괴하는 위력을 가졌다. 대장군포는 주로 적의 성루, 성문, 성벽, 배 등을 파괴하는데 사용됐다. 같은 형태의 ‘이장군포’는 다소 규모가 작은데 640m의 비행거리와 120m/초의 속도를 가졌다. 또 그보다 작은 삼장군포와 둥근 돌탄을 재었다가 곡사로 발사하며 운반에 편리하게 조립식으로 만든 육화석포(六花石砲)도 있었다. 육석화포란 동으로 만들었는데 격목통과 포신의 길이가 330.6mm로 짧기 때문에 장약된 화약이 발사 후 포신 안에서 다 타지 못하고 일부 포신 밖으로 나가면서 타는데 그 불꽃이 여섯 가지 색깔을 낸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총의 무게는 121.8kg으로 이동할 때는 두 부분으로 분리하여 따로따로 운반하여 필요한 곳에서 간단히 조립하여 포격을 가할 수 있는 등 우리나라처럼 산이 많은 지리적 조건에서는 매우 위력적인 무기였다. 탄도 계산 결과에 의하면 탄의 속도는 최대 약 42m/초이며 45도 초기 경사각으로 발사할 때 최대 비행거리는 약 175m, 최대 비행 고도는 48m이다. 『고려사』에는 이 포로 수백 근의 돌탄을 쏘았다고 적혀 있다



최무선에 관한 짧은 이야기 하나
<최무선이 만든 화약과 화포>
드디어 최무선이 만든 화약과 화포를 시험해 보는 날이 되었다. 이 자리에 임금과 신하들이 모두 모였다. 어릴 때부터 가졌던 꿈을 나이 50세가 넘어 이루게 된 최무선은 벅찬 감동에 손끝이 떨렸다. 그는 떨리는 마음을 진정시키고 손을 들어 발사 명령을 내렸다. 그 자리에 있던 임금과 신하들은 모두 최무선에게 눈길을 보내며 긴장하고 있었다. 최무선의 명령에 이어 조금 후 대포가 불을 뿜기 시작했다.

"쾅! 쾅! 우르르 쾅!"
온 땅을 흔드는 요란한 소리와 함께 불덩어리들이 휙휙 날아갔다.
"우와! 저것 보시오!"
임금과 신하들은 모두 놀라 입을 다물지 못하였다. 그리고 최무선의 공을 칭찬하기 시작했다.
"최무선이라 했던가? 참으로 훌륭하도다!"
"전하, 이제는 저 화약과 무기로 왜구를 무찔러 백성들이 편하게 살 수 있을 겁니다."

그 말대로 나중에 왜구가 쳐들어왔을 때 최무선이 만든 화약과 무기로 적을 무찌를 수 있었다.

최무선의 생애와 업적,그리고 화포제작

1. 생애와 업적


고려말의 장군이자 무기 발명가.
본관은 영주(永州:지금의 영천)이며, 광흥창사 최동순(崔東洵)의 아들이다.
우리나라에서 화약과 화약을 이용한 무기를 처음으로 제작하고 사용하였다.

어릴 때부터 과학에 관심이 많던 최무선은 왜구를 무찌르기 위해 화약을 만들고자 하였다. 당시 중국에서는 화약 제조법을 알고 있었으나 철저히 비림로 하고 있었다. 최무선은 초석에 황과 숯가루를 알맞게 섞어서 화약을 만든다는 기초 지식을 바탕으로 몇 년 동안 열심히 연구하였으나 계속 실패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화약 제조법을 알고 있는 원나라 사람 이원을 만나 집에 머물게 하고 우대하면서 화약 제조법을 배웠다.

실험해 본 결과 자신감을 얻은 그는 화약과 각종 화약을 이용한 무기에 대해 연구하고 또 그것들을 만들 수 있도록 화통도감의 설치를 건의하였다. 여러 번의 건의 끝에 허락을 받아 1377년(우왕 3)부터 화약과 무기에 관한 본격적인 연구를 시작하였다.
화통도감에서 화약을 만들고 화기를 제조하는 한편, 이를 실을 전함(戰艦) 건조에도 힘썼다. 화통도감에서 만들어진 각종 화기들(대장군(大將軍)·이장군(二將軍)·삼장군·육화석포(六火石砲)·화포(火砲)·신포(信砲)·화통·화전(火箭)·철령전 등)은 18가지인데, 이들은 총포류, 발사물, 주화로 분류할 수 있다. 1380년에 왜구가 쳐들어오자 부원수가 되어, 그 화기들을 사용하여 적함 500여 척을 전멸시켜 그 공으로 영성군이라는 벼슬에 올랐다. 1392년에 조선이 개국하자 여러 벼슬을 지냈고 세상을 떠난 뒤에 우의정 의 벼슬이 내려졌으며, 영성 부원군에 봉해졌습니다. 저서로 《화약수련법》이 있으나 전하지 않는다.

2. 화약 자체 생산


일찍부터 관리들은 전투에서의 화공의 효과를 크게 인식하여 방화의 목적으로 가연성 물질을 전투목적에 사용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왔다. 견고한 적의 요새, 또는 집결된 적의 병마에 풍향을 이용하여 화공하는 방법은 우리나라에서도 예로부터 널리 사용되어 왔으며, 화살 끝에 가연성 물질을 부착하여 적진에 날려 보내는 화공법도 흔히 사용되어 왔답니다. 그러나 이러한 화공법은 단순한 연소효과를 거둘 수 있을 뿐 파괴효과는 적었기 때문에 연소효과와 더불어 파괴효과를 거둘 수 있는 무기의 개발은 위정자들의 오랜 꿈이었다. 비행무기인 돌의 경우에도 돌이 가하는 단순한 충격효과보다는 파괴력이 수반되는 보다 강력한 충격을 줄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하는 탐구심이 지속되어 온 것이다. 폭발력과 가연성을 지니며 폭발력을 이용하여 공격적 물질을 보다 멀리 날려 보낼 수 있는 물질 즉, 화약의 제조에 인류는 역사의 많은 시간을 소비했다. 중국의 송대에는 기원 10세기에서부터 13세기 후반에 걸쳐 화약을 제조하여 이를 이용한 화기를 실용의 단계까지 끌어 올려놓다. 초기의 화약의 제조와 화기의 사용은 매우 위험한 일이었다. 화약 중에서도 주요 성분의 하나인 염초의 제조는 폭발의 위험을 극복해야 하는 기술을 필요로 하였으며, 그때까지 유치한 단계에 머물러 있던 화기 주조술은 화약의 폭발력을 감내할 만큼 견고한 화기를 만들어 내지 못하였던 것이다. 포신은 자주 파열되었으며 사용자의 희생이 뒤따랐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화기의 음향 효과,다시말해 화약이 폭발할 때의 굉음이 적의 말에게 주는 충격이 컸고, 또 인력에 의존하는 재래의 궁시에 비해 살상효과가 매우 컸기 때문에 이 화포의 발사시에 일어나는 위험을 감소시키려는 노력이 꾸준히 제시되었다. 화기의 사용은 화약의 존재가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14세기 중엽에 와서야 중국으로부터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물론 숙종 9년(1104)에 고려가 북쪽의 여진을 대규모로 정벌하였는데, 이때 발화 대라는 특수부대가 편성 운용 되었고, 발화대가 재래식 화공부대인지, 혹은 화기를 장비한 부대였는지는 확실하지 않지만 당시 중국대륙을 진척시키고 있던 몽고군이 이미 화기를 사용하였으며, 이들 몽고군과의 교섭이 일찍부터 이루어지고 있었던 점으로 미루어 보아 고려인들은 적어도 화기에 대한 인식이 있었음이 확실해 보인다. 고려가 보다 확실하게 화기를 사용한 시기는 고려사에 잘 나타나 있다. 공민왕 5년(1356) 9월 고려의 중신들은 서북면방어군을 사열하고, 총통 즉 화기를 이용하여 화살을 사격했다는 기록을 남겨 놓고 있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늦어도 14세기 후반부터는 화기를 제작하여 실전에 사용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화기의 사용이 곧 화약의 자체생산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기술수준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동양권은 이미 금속활자 문화의 단계에 있었으므로 화기의 주조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었으나 문제는 화약을 어떻게 제조하느냐가 관건이었다. 화기의 효능을 정확히 인식하고 있던 중국인들은 오랫동안 화약의 제조 법을 극비에 붙여 그 기술의 국외 유출을 엄격히 통제하였다. 이는 중국이 주변국가보다도 우세한 무기체계를 유지하려는 데서 나타난 현상이다. 화약의 성분인 유황, 목탄, 염초의 세 가지 중 유황과 목탄은 비교적 쉽게 얻을 수 있었지만 염초만은 화학적 기술로써 제조할 수밖에 없었다. 실로 화약의 제조는 이 염초의 제조 여하에 그 열쇠가 달려 있었다.

3. 화약 제조법


14세기 말에 최무선이 화약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서 중국인의 도움을 받아 오랜 노력 끝에 화약제조에 성공하여 그 제조법을 책으로 남겼지만 지금 전해지고 있지 않다. 그러나 그의 아들 최해산(崔琢山)에 의하여 계승되었고 15세기에서 16세기에 이르는 동안 그 제조 기술은 발전을 거듭하여 대량생산이 국가적으로 추진되었다. 그렇지만 그 제조 방법의 화학적인 공정에는 사실상 변화가 없었던 것 같다. 그러다가 16세기에서 17세기 초에 이르는 사이에 조선에서는 화약 제조 공정에 뚜렷한 변화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인조 13년 (1635년)에 쓰여진 이서(李構)의 「신전자취염초방」은 우리에게 그 자세한 방법을 알려주고 있다. 그 새로운 방법은, 군관인 성근(成根)이 실험을 통한 연구 결과로 알아낸 것인데, 그것을 병조판서로 있던 이서가 15개의 공정에 따라 서술한 것이다. 성근의 초석제조의 기본 원료는 역시 흙이다. 가마 밑에 있는 흙, 마루바닥 밑의 흙, 담벽 밑의 흙 또는 온돌 밑의 흙을 긁어내서 쓰는데, 그 흙맛이 짜거나 시거나 또는 달거나 쓴 것이 더 좋다고 했 다. 이제 이 흙과 따로 준비한 재와 오줌을 섞는다. 이렇게 섞여진 흙을 말똥으로 덮는다. 말똥이 마르기를 기다려 거기에 불을 붙여 태운다.그 흙을 다시 잘 섞어서 나무통 속에 퍼담고 물을 붓는다.
화약을 장전. 발사할 수 있게끔 고안된 조선시대 차차의 총통기(統筒機) 용액을 가마에 넣고 끓이기를 세 번 거듭하고 식혀서 초석 (硝石) 을 결정시킨다.이때 남은 용액과 남은 흙은 버리지 말고 모아두었다가 다음에 다시 쓰도록 했다. 이것이 성근의 초석제조 방법이다. 이서는 이렇게 해서 초석을 만들며 기술자 3명, 잡역부 7명이 1 개월에 1천근을 생산할 수 있다고 했다.
그런데 이 책에는 흑색화약을 만드는 다음 과정에 대해서는 설명이 없다. 그러니까 화약성분의 혼합비례와 그 처리법은 전에 하던 방법을 그대로 따랐던 것으로 생각된다. 초석과 화약 제조 방법의 보다 더 뚜렷한 발전은 성근보다 약 반 세기 뒤인 1698년에 이루어졌다. 그것은 역관(譯율) 김지남(金指南) 이 사신들과 함께 중국에 왕래하면서 얻은 중국 화약 제조법의 비밀을 연구하여 새로운 효율적 방법을 완성한 것이다. 그의 「신전자초방J은 화약 제조 과정을 10개 공정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기본 원료는 역시 흙이지만, 종전과 같이 특정한 곳의 흙뿐만 아니라 길바닥의 흙도 이용하게 하였고 맵거나 달거나 쓴 흙은 괜찮지만 짠맛이 나는 것은 습기를 쉽게 빨아들이기 때문에 쓰지 않도록 했다. 또 하나의 원료인 재는 쑥이나 볏짚을 태워 만든 것이 제일 좋고 잡초나 잡목을 태운 것도 쓰지만 소나무재는 쓸 수 없다고 했다.

이렇게 해서 얻은 흙과 재를 같은 부피의 비율로 섞는다(열 말씩) 이때 흙이 점성이 강한 것일 때는 재를 한 말쯤 더 섞고, 모래가 많이 섞인 흙일 때는 재를 한 말 적게 섞는다. 이제 바닥에 작은 구멍이 뚫린 독 안에 정자형 (井子型)으로 나무를 얼기설기 놓고 그 위에 발을 깔고 혼합된 원료를 고루 펴고 물을 부어 흘러나오는 물을 받아서 가마에 넣고 끓인다. 끓일 때 아교를 첨가한다. 이 공정은, 여기서 일어나는 반응은 기본적 (원리적)으로 종전의 방법에서의 그것과 같은 것이지만 훨씬 그 과정이 간략해졌다는 것이 특히 다른 점이다. 이 책은 또 하나의 과정, 즉 흑색 화약의 제조법을 밝히고 있다. 화약은 염초 1근과 버드나무재 3량, 고운 황가루 3돈중을 섞어서 만들였다. 이것은 염초와 재와 황의 조성비를 78:15:7로 하고 있다. 이 비율은 현재 화약을 만드는데 대충 6:1:1의 비율로 섞는 것과 비교할 만하다. 이 혼합물을 쌀 씻은 맑은 뜨물로 반죽하여 방아에 찧어서 떡과 같은 상태로 만들었다. 이 공정은 현재 행해지고 있는 흑색 화약의 제조법과 매우 비슷하다.
이 「신전자초방」의 저자는, 이렇게 만든 화약은 10년이 지나도 습기가 끼지 않는다고 보장하고, 원료인 흙과 재가 종전의 3분의 1밖에 들지 않는다고 했으니, 그 질은 상당히 우수한 것이었음에 틀림없다.

비공개
답변하신 분이 본인의 프로필 정보를 비공개로 하셨습니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setTimeout(function(){ new nhn.Kin.QnaEnd.CommentAndMenu($("qna_detail_answerList_best")); }, 500); $Fn(function() { nhn.Kin.Utility.initializeUserListBoxBySPS($("qna_detail_answerList_best"), "#qna_detail_answerList_best", ".au_layer_idmenu", "_user_id"); }).attach(document,"domready"); </SCRIPT>

그 외 5개의 답변이 있습니다.      

re: 최무선에 대해

곰탱이(cbwcjw11)
답변채택률0%
2013.05.26 20:00
답변 추천하기
 

최무선 [崔茂宣, ?~1395]

고려 말, 조선 초의 발명가. 영천에서 광흥창사를 지낸 최동순의 아들로 태어났다. 당시 고려에는 왜구가 창궐하여 심각한 피해를 입고 있었다. 왜구를 물리칠 화기를 제조하기 위해 화약제조법의 필요성을 절감하였던 것으로 추측된다. 원나라 이원에게서 배운 화약제조법(염초제조술)을 기반으로 1377년(우왕 3) 화통도감을 설치케 하여 화약을 만들었다. 대장군포·이장군포·삼장군포·육화포·석포·화포·신포·화통·화전·철령전 등 각종 화기를 제조하며 누선이라는 전함 건조에도 힘썼다.

 

1380년 왜구가 전라도에 대거 침입했을 때 최무선은 부원수로 참전하여 진포에서 화포·화통을 처음으로 사용하였고 왜선 500여척을 전멸시켜 영성군에 봉해졌다. 1383년 왜구는 120척의 선단을 이끌고 남해 관음포에 재침입하였다. 이 해전에서도 최무선이 참전하여 선봉에 선 적선 20척 중 17척을 화포로 궤멸시켰다. 2번의 해전으로 자신감을 얻은 고려는 대마도를 정벌하였고 이로서 왜구의 침공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1389년(창왕 1) 화통도감이 철폐되자 최무선은 집에서 《화약수련법》 《화포법》을 저술하였다. 1392년 조선이 개국하자 태종은 최무선의 공을 인정하여 정헌대부·검교문하부참찬사 겸 군기시판사 벼슬을 하사했다. 의정부 우정승에 추증, 영성부원군에 추봉되었다. 아들 최해산은 아버지의 비법을 전수받아 화기를 개발했으며 수레에 화기를 장착한 병기인 화차를 개발하였다. 특히 1409년(태종 9)에 육상화차를 개발하여 경복궁 후원인 해온정에서 발사시범을 보이기도 하였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 지역Q&A 이벤트 PC 상단 팝업 레이어 (10.22 ~ 11.15) $Fn(function() { var oEndDate = new Date(); oEndDate.setFullYear(2012, 10, 15); var oTodayDate = new Date(); if (oTodayDate > oEndDate) { return; } var oCookie = $Cookie(); if (oCookie.get("local_qna_spot_event") == "1") { return; } if (oCookie.get("local_qna_spot_event") == "2") { return; } var elBanner = $Element("end_local_qna_spot_event"); elBanner.show(); $Fn(function(we){ elBanner.hide(); oCookie.set("local_qna_spot_event", "1", 365); }, this).attach($$.getSingle('a.clse', elBanner.$value()), 'click'); $Fn(function(we){ elBanner.hide(); }, this).attach($$.getSingle('a.clse2', elBanner.$value()), 'click'); $Fn(function(we) { var sUrl = encodeURIComponent("/myinfo/interest.nhn?dirId=12"); nhn.Kin.Utility.openMyInterestPopup(true, sUrl , 'key' , "local"); }, this).attach($$.getSingle('a.btn2', elBanner.$value()), 'click'); oCookie.set("local_qna_spot_event", "2", 1); }).attach(document, "domready"); document.onkeydown=function keypress(e) { var oEndDate = new Date(); // 이벤트 기간은 11.15까지만 oEndDate.setFullYear(2012, 10, 15); var oTodayDate = new Date(); if (oTodayDate > oEndDate) { return; } e = (e||window.event); if (e.keyCode == 27) { var elBanner = $Element("end_local_qna_spot_event"); if(elBanner) { elBanner.hide(); } } }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hideDetailNoticeLayer() { $Element($('detailNoticeLayer')).hide(); }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var rosAlertMessage = ""; var isRosActionInterest = "false"; </SCRIPT> <SCRIPT id=myKinGradeTpl type=text/template>

{=currentLevelName} {=nextLevelName}
{if isLvGodSol}
내공
{=formattedTotalPoint}
{else}
내공(남은내공)
{=formattedTotalPoint}({=formattedRemainPoint})
{/if} {if totalPoint < 501}
지식 순위
-
{else}
지식 순위
{=formattedTotalPointRank}
{/if} {if isLvGodSol}
채택 답변
{=formattedTotalBest}
{else}
채택 답변(남은 채택 답변)
{=formattedTotalBest}({=formattedRemainBestCnt})
{/if}
{if isExpert} {/if}
</SCRIPT> <SCRIPT id=newQuestionDirTpl type=text/template>

나의 관심질문 중 관심분야

{if bHasNewQuestion}
  • {for num:q in newQuestions}
  • {=q.title }

    • {=q.dirName }
    • {if q.openFlag == 'Y'}{=q.maskingUserId }{else}비공개{/if}
    • {=q.formattedWriteTime}
  • {/for}
{elseif bHasInterest}
관심분야에 등록된 새 질문이 없습니다.

 

{elseif bHasRecommend}
설정된 관심분야가 없습니다.

관심분야를 추가해보세요.

  • {for num:recommendDir in recommendDirs}
  • {/for}
{else}
설정된 관심분야가 없습니다.

관심분야를 추가하시면, 답변할 수 있는
새 질문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if} 관리 </SCRIPT> <SCRIPT id=newQuestionLocalTpl type=text/template>

나의 관심질문 중 관심지역

{if bHasNewQuestion}
  • {for num:q in newQuestions}
  • {=q.title }

    • {=q.dirName }
    • {if q.openFlag == 'Y'}{=q.maskingUserId }{else}비공개{/if}
    • {=q.formattedWriteTime}
  • {/for}
{elseif bHasInterest}
관심지역에 등록된 새 질문이 없습니다.

 

{elseif bHasRecommend}
설정된 관심지역이 없습니다.

관심지역을 추가해보세요.

  • {for num:recommendLocal in recommendLocals}
  • {/for}
{else}
설정된 관심지역이 없습니다.

관심지역을 추가하시면, 답변할 수 있는
새 질문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if} 관리 </SCRIPT> <SCRIPT id=newQuestionKeywordTpl type=text/template>

나의 관심질문 중 관심키워드

{if bHasNewQuestion}
  • {for num:q in newQuestions}
  • {=q.title }

    • {=q.dirName }
    • {if q.maskingUserId != null && q.maskingUserId.length > 0}{=q.maskingUserId }{else}비공개{/if}
    • {=q.formattedWriteTime}
  • {/for}
{elseif bHasInterest}
관심키워드({=sKeyword})에 등록된 새 질문이 없습니다.

 

{else}
설정된 관심키워드가 없습니다.

관심키워드를 추가하시면,
키워드와 관련된 질문 중 답변 0건인 질문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if} 관리 </SCRIPT> <SCRIPT id=interestDirTpl type=text/template>

나의 관심설정 중 관심분야

{if bHasInterestDir} {if bHasRecommendDir}

관심분야를 추가해보세요.

  • {for num:recommendDir in recommendDirs}
  • {/for}
{/if} {elseif bHasRecommendDir}
설정된 관심분야가 없습니다.

관심분야를 추가해보세요.

  • {for num:recommendDir in recommendDirs}
  • {/for}
{else}
설정된 관심분야가 없습니다.

관심분야를 추가하시면, 답변할 수 있는
새 질문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if} 관리 </SCRIPT> <SCRIPT id=interestLocalTpl type=text/template>

나의 관심설정 중 관심지역

{if bHasInterestLocal} {if bHasRecommendLocal}

관심지역을 추가해보세요.

  • {for num:recommendLocal in recommendLocals}
  • {/for}
{/if} {elseif bHasRecommendLocal}
설정된 관심지역이 없습니다.

관심지역을 추가해보세요.

  • {for num:recommendLocal in recommendLocals}
  • {/for}
{else}
설정된 관심지역이 없습니다.

관심지역을 추가하시면, 답변할 수 있는
새 질문을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if} 관리 </SCRIPT> <SCRIPT id=interestKeywordTpl type=text/template>

나의 관심설정 중 관심키워드

{if interestKeywords && interestKeywords.length > 0} {else}
설정된 관심키워드가 없습니다.

관심키워드를 추가하시면,
키워드와 관련된 질문 중 답변 0건인 질문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if} 관리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_loadLoginFrame() { function LoadLoginFrame() { clearTimeout(loginFrameTimer); var frame = document.getElementById("loginframe"); if (frame && typeof frame.loaded === "undefined") { frame.loaded = true; var s = 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 frame.src='http://static.nid.naver.com/b4/b4login.nhn?svc=d278&url=' + encodeURIComponent(location.href); } } var loginFrameTimer = setTimeout(LoadLoginFrame, 1500); $Fn(function() { var nCurrentLevelMinPoint = 0; var nCurrentLevelMaxPoint = 100; var nTotalPoint = 0; var isLvGodSol = false; nhn.Kin.Utility.startGradeGraph($('level_guage'), nCurrentLevelMinPoint, nCurrentLevelMaxPoint, nTotalPoint, 11, 89, isLvGodSol); },this).attach(document,"domready"); $Fn(function() { LoadLoginFrame(); new nhn.Kin.RNB.LoginMyArea( nhn.Kin.Utility.initializeInterestKeyword( $("aside_login") ) ); },this).attach(window,"load"); })(); </SCRIPT>

더보기

<SCRIPT id=tplRnbMobileqnaQuestion type=text/template>
  • {=contents}
    Time:
    {=dispWriteTime}
    Posted by:
    {=maskingUserId}
  •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Fn(function() { namespace("nhn.Kin.SMSQna.MobileNewQuestion", function() /** * @scope nhn.Kin.SMSQna.MobileNewQuestion */ { if(!oData) var oData = {}; (function(){ oData.questionList = []; oData.currentTime = nhn.Kin.SMSQna.Utility.getDateObject("2013/06/01 09:31:10"); var oWriteTime,answerCnt,imagePath,contents,maskingUserId,reportedFlag,docId,mobileNumber,maskingUserId; oWriteTime = nhn.Kin.SMSQna.Utility.getDateObject("2013/06/01 07:10:53"); answerCnt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0); imagePath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 contents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cgv\uC2A4\uD398\uC15C\uB370\uC774\uC5D0 \uC601\uD654\uB97C\uBCF4\uB7EC\uAC00\uB294\uB370 \uD61C\uD0DD\uC744\uC5B8\uC81C\uBC1B\uC744\uC218\uC788\uB098\uC694????\uC77C\uC8FC\uC77C\uB4A4\uAC00\uC2A4\uD398\uC15C\uB370\uC774\uC778\uB370 \uC9C0\uAE08\uC608\uB9E4\uD574\uB3C4\uB418\uB098\uC694???");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lih****"); reportedFlag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N"); doc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4128564"); mobileNumber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010-90**-****");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lih****");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ARTPHONE",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oWriteTime = nhn.Kin.SMSQna.Utility.getDateObject("2013/06/01 04:34:02"); answerCnt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1); imagePath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 contents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uC911\uACE0\uB85C \uACF5\uAE30\uACC4\uB97C \uC0C0\uC2B5\uB2C8\uB2E4 \uC804\uC8FC\uC778\uC774 \uC815\uC0C1\uD574\uC9C0 \uD588\uB2E4\uBA74 \uC81C\uAC00 \uC720\uC2EC\uAE30\uBCC0\uC73C\uB85C\uB9CC \uC0AC\uC6A9\uD574\uB3C4 \uC804 \uC8FC\uC778\uC774 \uC545\uC758\uB85C \uBD84\uC2E4\uC2E0\uACE0 \uD560 \uC218 \uC788\uB098\uC694?\r\n");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sip****"); reportedFlag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N"); doc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4128561"); mobileNumber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010-89**-****");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sip****");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S",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oWriteTime = nhn.Kin.SMSQna.Utility.getDateObject("2013/06/01 02:44:34"); answerCnt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1); imagePath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 contents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uD53C\uBD80\uACFC \uC2A4\uCF00\uC77C\uB9C1 \uC2DC\uC220\uC744 \uBC1B\uC558\uB294\uB370\uC694. \uC5EC\uD0DC\uAE4C\uC9C0 \uB2E4\uC12F\uBC88\uC815\uB3C4 \uBC1B\uACE0 \uC0BC\uC8FC\uC815\uB3C4 \uC548\uBC1B\uB2E4\uAC00 \uB2E4\uC2DC \uBC1B\uC740\uAC70\uC608\uC694. \uADFC\uB370 \uC2A4\uCF00\uC77C\uB9C1\uBC1B\uACE0 \uB2F9\uC77C \uC0C8\uBCBD\uCBE4\uC5D0 \uBCF4\uB2C8 \uC774\uB9C8\uC5D0 \uC5EC\uB4DC\uB984\uC774 \uBD89\uAC8C \uB124\uAC1C\uC815\uB3C4 \uC62C\uB77C\uC654\uB354\uB77C\uAD6C\uC694. \uD55C\uBC88\uB3C4 \uC774\uB7F0\uC801\uC774 \uC5C6\uC5C8\uB294\uB370 \uBD80\uC791\uC6A9\uC778\uAC74\uAC00\uC694..? \uC555\uCD9C\uD560\uB54C \uC5C6\uB358 \uC5EC\uB4DC\uB984\uC774 \uC2A4\uCF08\uB9C1\uC9C1\uD6C4 \uC0DD\uAE30\uB098\uC694?");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dht****"); reportedFlag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N"); doc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4128557"); mobileNumber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010-84**-****");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dht****");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ARTPHONE",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oWriteTime = nhn.Kin.SMSQna.Utility.getDateObject("2013/05/31 23:37:57"); answerCnt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0); imagePath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 contents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uC131\uB0A8\uADFC\uCC98\uC758 \uAC70\uBD81\uC774 \uC9C4\uB8CC\uBCF4\uB294 \uB3D9\uBB3C\uBCD1\uC6D0 \uC5C6\uB098\uC694?");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dbe****"); reportedFlag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N"); doc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4128545"); mobileNumber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dbe****");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ARTPHONE",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oWriteTime = nhn.Kin.SMSQna.Utility.getDateObject("2013/05/31 23:35:42"); answerCnt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0); imagePath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 contents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uC81C\uAEBC\uC720\uC2EC \uB534\uD3F0\uC5D0 \uAEF4\uC11C \uC4F8\uB824\uACE0\uD558\uB294\uB370 \uD3F0\uC774 \uB85C\uBC0D\uC548\uB418\uBA74 \uBB50\uAC00\uC548\uB418\uB294\uAC74\uAC00\uC694");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wjd****"); reportedFlag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N"); doc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4128544"); mobileNumber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010-82**-****");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wjd****");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ARTPHONE",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oWriteTime = nhn.Kin.SMSQna.Utility.getDateObject("2013/05/31 22:43:39"); answerCnt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0); imagePath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 contents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uAE30\uC18C\uC911\uC9C0\uAC70\uB294\uB370\uBA87\uC77C\uAC78\uB9AC\uB098\uC694");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jee****"); reportedFlag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N"); doc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4128526"); mobileNumber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010-20**-****");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jee****");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S",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oWriteTime = nhn.Kin.SMSQna.Utility.getDateObject("2013/05/31 22:42:13"); answerCnt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0); imagePath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 contents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uD3EC\uB9E8-\uC870\uC870\uD560\uC778) \uB178\uB798\uC5D0\uC11C \uC55E\uC5D0 \'\uC5B4\uC774 \uD615\uBB50\uD574 \uC601\uD654\uD45C\uB04A\uC5B4\uB1A7\uC5B4?\'\uD558\uB294\uBD80\uBD84\uB178\uB798\uC774\uB984\uC880\uC694~");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hg0****"); reportedFlag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N"); doc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4128524"); mobileNumber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010-65**-****");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hg0****");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S",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oWriteTime = nhn.Kin.SMSQna.Utility.getDateObject("2013/05/31 22:41:49"); answerCnt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1); imagePath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 contents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uB358\uC2A4\uC5D0\uC11C \uB9E4\uB2C8\uC544\uB85C \uACE8\uB4DC\uC2DC\uC138\uAC00 \uC5BC\uB9C8\uD558\uB098\uC694??? \uAC1C\uAE09\uD568;;");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rud****"); reportedFlag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N"); doc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4128522"); mobileNumber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010-41**-****");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rud****");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S",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oWriteTime = nhn.Kin.SMSQna.Utility.getDateObject("2013/05/31 22:41:46"); answerCnt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0); imagePath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 contents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uB0A8\uC790\uAC00 \uBD80\uB978 \uBC1C\uB77C\uB4DC\uC778\uB370\uC694 \uAE40\uBC94\uC218\uBAA9\uC18C\uB9AC? \uC911\uAD6D\uC5B4\uBC84\uC804\uB3C4\uC788\uC5C8\uACE0 \uCD5C\uC2E0\uACE1\uC774\uC5D0\uC694 \uC54C\uB824\uC8FC\uC138\uC694");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kkt****"); reportedFlag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N"); doc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4128521"); mobileNumber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kkt****");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ARTPHONE",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oWriteTime = nhn.Kin.SMSQna.Utility.getDateObject("2013/05/31 22:29:49"); answerCnt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1); imagePath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 contents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uC77C\uC8FC\uC77C\uB4A4\uC5D0\uB3C8\uC900\uB2E4\uACE0\uD587\uB294\uB370150\uB9CC\uC6D0\uAC16\uACE0\uAE30\uC18C\uC911\uC9C0\uD587\uB124\uC694\uACBD\uCC30\uB4E4\uC774\uC0AC\uC9C4\uC774\uB098\uC9D1\uCC3E\uC73C\uB7EC\uC624\uB098\uC694?\uAE30\uC18C\uC911\uC9C0\uB2F9\uD558\uBA74\uACB0\uD63C\uD558\uAE30\uD798\uB4DC\uB098\uC694\uB3C8\uAC12\uC73C\uBA74\uD480\uB9AC\uB294\uAC70\uC544\uB2CC\uAC00\uC694?");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jee****"); reportedFlag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N"); doc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4128519"); mobileNumber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010-20**-****"); maskingUserId = nhn.Kin.SMSQna.Utility.getRealValue("jee****"); oData.questionList.push({ "registerType": "SMS", "answerCnt": answerCnt, "writeTime": oWriteTime , "imagePath": imagePath, "contents": contents, "maskingUserId": maskingUserId, "reportedFlag": reportedFlag, "docId": docId, "mobileNumber": mobileNumber, "maskingUserId": maskingUserId }); })(); var getRandomData = function(){ return oData; }; if ( typeof window.nhn == "undefined" ) window.nhn = {}; nhn.loginId = ""; eval(namespace.exports("getRandomData")); }); }).attach(document, "domready"); </SCRIPT> <SCRIPT id=emptyNewQuestionListTpl type=text/template>

    {=content}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SCRIPT> <SCRIPT id=newQuestionListTpl type=text/template>
  • {=title}
  • </SCRIPT> <SCRIPT type=text/javascript> $Fn(function() { var oDetailRnbNewQuestion = new nhn.Kin.RNB.NewQuestion({ dirId : 130102, dirName : "사회, 도덕", length : 6 }); }).attach(window, "load"); </SCRIPT>
    답변 내용에 개인정보(실명, 전화번호, 카카오톡 아이디 등)를 포함하거나 요청할 경우
    범죄에 악용될 수 있어 내용이 삭제될 뿐만 아니라 서비스 이용에 제한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13.06.01.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
3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kim6****
초수
본인 입력 포함 정보
 나도몰라요

2013.06.02.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