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훈몽자회의 자모 명칭
비공개 조회수 2,681 작성일2019.05.16
중종때 최세진이 지은 [훈몽자회]의 자모의 순서는 오늘날과 똑같지는 않고 유사하게 배열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면 자모의 명칭은 어떠한가요? 자모의 명칭도 완전히 똑같지는 않고 유사한 정도로 제시되었나요, 아니면 오늘날과 똑같이 제시되었나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목연
우주신
한국사 6위, 글쓰기, 화법 1위, 국어, 한문 9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최세진 훈몽자회 범례의 순서>

초성 종성 통용 8자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ㆁ

其役 尼隱 池末 梨乙 眉音 非邑 時衣 異凝

기역 니은 지말 리을 미음 비읍 시의 이응

('지말'이란 '池의 끝' 즉 '몯'의 끝이니 디읃

'시의'란 '때시 옷의衣'이니 시옷)

초성 독용 8자

ㅋ ㅌ ㅍ ㅈ ㅊ ㅿ ㅇ ㅎ

箕 治 皮 之 齒 而 伊 屎

(기 치 피 지 치 이 이 시)

중성 독용 11자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ㆍ

阿 也 於 余 吾 要 牛 由 應(不用終聲) 伊(只用中聲) 思(不用初聲)

(아 야 어 여 오 요 우 유 응(불용종성) 이(지용중성) 사(불용초성))

* 참고로 그 이후 한글 자모음의 명칭 변동에 대해서 올립니다.

그 이후 화동정음통석운고의 범례(박성원 1747), 언문지(유희 1824),

동문 자모 분해(강위 1869) 등이 나름대로 순서를 정했지만,

최세진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지금의 순서는 1905년 지석영이 지은 <신정국문>에서 처음 나왔다.

하지만, 당시의 한글 자모음 명칭은 지금과 약간 차이가 났다.

음운 체계를 자음과 모음이 아니라 최세진이 <훈몽자회>에서 분류했던 대로

초성종성, 초성독용, 중성독용으로 나누면서 순서를 약간 고쳤다.

<신정국문>에는 다음과 같이 나와 있다.

특이한 것은 ㄱ, ㄴ... 등을 기역, 니은...이라고 하지 않고

윽, 은...이라고 했다는 것이다.

초성종성통용 8자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八字난 用於初聲

윽 은 읃 을 음 읍 옷 응 八字난 用於終聲

초성독용 6자

ㅈ(지) ㅊ(치) ㅋ(키) ㅌ(티) ㅍ(피) ㅎ(히)

중성독용 11자

ㅏ(아) ㅑ(야) ㅓ(어) ㅕ(여) ㅗ(오) ㅛ(요) ㅜ(우) ㅠ(유) ㅡ(으)

二(* 合音 이으) ㅣ(이)

(*는 인터넷이 지원하지 않으므로 *로 표기했음.)

이어서 1909년 유길준이 <대한문전>에서 현재 우리말 자모음과

거의 유사하게 배열했다.

다만, 자음의 명칭은 기역, 니은, 디귿 등이 아니라, 극, 는, 듣 등으로 표기했다.

특이한 것은 모음과 자음이 아니라 모음과 부음으로 나눴다는 것이다.

음운 체계를 모자간이 아니라 부부(아버지와 어머니)간으로 본 듯 하다.

<대한문전>에는 나눈 한글자모음 순서와 명칭은 다음과 같다.

1. 母音11자

ㅏ(아) ㅑ(야) ㅓ(어) ㅕ(여) ㅗ(오) ㅛ(요) ㅜ(우) ㅠ(유) ㅡ(으) ㅣ(이) ㆍ(아래아)

2. 父音17자

ㄱ(극) ㄴ(는) ㄷ(듣) ㄹ(를) ㅁ(믐) ㅂ(븝) ㅅ(슷) ㅇ(응) ㅈ(즈) ㅊ(츠) ㅋ(크)

ㅌ(트) ㅍ(프) ㅎ(흐) ㆆ ㅿ ㆁ

그러던 중 1933년 조선어학회(현재의 한글학회)에서

조선어 맞춤법 통일안(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확정하면서

지금의 음운 체계가 확정되었다.

한글맞충법 통일안의 의의 중의 하나가

ㆍ(아래아), ㆆ(여린히읗), ㅿ(반치음), ㆁ(꼭지이응)을 삭제하고,

현재의 자모음 명칭과 순서를 확정했다는 것이다.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 확정한 한글 자모음 순서와 명칭은 다음과 같다.

제1항 한글 자모의 수는 스물 넉 자로 하고 그 순서는 다음과 같이 정한다.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ㅈ ㅊ ㅋ ㅌ ㅍ ㅎ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ㅡ ㅣ

[붙임] 위의 자모로 적을 수가 없는 소리는 두 개 이상의 자모를 어울러서 적는다.

ㄲ ㄸ ㅃ ㅆ ㅉ ㅐ ㅔ ㅚ ㅟ ㅒ ㅖ ㅘ ㅝ ㅙ ㅞ ㅢ

ㄱ(기역) ㄴ(니은) ㄷ(디귿) ㄹ(리을) ㅁ(미음) ㅂ(비읍) ㅅ(시옷) ㅇ(이응)

ㅈ(지읒) ㅊ(치읓) ㅌ(티읕) ㅍ(피읖) ㅎ(히읗) ㅏ(아) ㅑ(야) ㅓ(어) ㅕ(여)

ㅗ(오) ㅛ(요) ㅜ(우) ㅠ(유) ㅡ(으) ㅣ(이)

2019.05.16.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이 답변의 추가 Q&A
질문자와 답변자가 추가로 묻고 답하며 지식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