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용담유사에 대해서
ehes**** 조회수 3,468 작성일2010.04.11

전 초4 학생인데요

역사문제를 푸는데 용담유사라고 나와서요.

처음듣는 책인데 용담유사가 뭐예요?

내공 100 겁니다.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kims****
태양신
사회, 도덕 11위, 사회문화, 문화재 15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참고 하세요....

 


동학의 교조 최제우의 포교 가사집 <용담유사>.

 

 

용담유사의 특징


1860년에 지은 용담가, 안심가, 교훈가, 61년에 지은 도수사, 검결, 몽중노소문답가, 62년에 지은 권학가, 63년에 지은 도덕가, 흥비가 등 9편의 가사를 모아서 엮은 책 입니다.
서양세력에 대해 깊은 우려를 나타냈고 이에 맞서기 위한 정신자세로 동학을 내세운다는 뜻이 주를 이룸. 일반 민중과 부녀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한글 가사체를 빌려 동학사상을 펼침. 형식이나 문체는 고전가사와 비슷하지만 개화기의 문체를 처음으로 다루었다는 점에서 개화기 가사의 효시.

 

 

 

동학의 창시자 최제우(崔濟愚:1824~64)가 1860~63년 한글로 지은 포교가사집(布敎歌詞集).1

〈동경대전 東經大典〉과 함께 동학의 기본경전이다. 모두 9편의 가사를 싣고 있다. 서양세력이 밀려오는 데 대해 깊은 우려를 나타내며, 이에 맞서는 정신적 자세로서 동학을 내세우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평등사상에 입각하여 일반 민중과 부녀자를 독자로 삼았기 때문에 한글 가사체의 형식을 택하고 있다. 1881년(고종 18) 6월 최시형(崔時亨)이 충청북도 단양군 남면 천동 여규덕(呂圭德)의 집에서 처음 펴냈고 1893, 1922년 재간행되었다. 9편의 가사를 각각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용담가(龍潭歌):1860년 최제우가 득도하고 지은 가사이다. 자신이 태어나고 자라 득도한 곳인 경주 구미산 용담의 경치와 득도의 기쁨을 읊었다. 풍수지리사상과 충효사상이 강조된 작품이다. ② 안심가(安心歌):1860년에 지은 가사이다. 당시 사회에서 불안해하던 부녀자들을 안심시키려는 목적으로 지었다. 천대받던 부녀자들의 덕을 칭송하고 좋은 시절이 오면 여성이 주체가 될 것이라고 했다. ③ 교훈가(敎訓歌):1860년에 지은 가사이다. 고향의 교도들에게 수도에 힘쓰라고 교훈을 내리는 내용이다. ④ 몽중노소문답가(夢中老少問答歌):1861~62년에 지은 가사라고 한다.

 

 

 자식이 없던 노인이 금강산에 들어가 빌어 옥동자를 얻었는데, 이 아이는 난세를 한탄하며 천하를 돌아다니다가 금강산에서 꿈속의 도사를 만나 득도했다는 내용이다. 최제우의 삶과 득도과정, 내용을 나타낸 가사이다. ⑤ 도수사(道修詞):1861년에 지은 가사이다. 고향에서 제자들을 가르치다가 떠나게 되었을 때 제자들에게 도 닦기를 간절히 당부하는 내용이다. ⑥ 권학가(勸學歌):1862년에 지은 가사이다. 동학을 믿음으로써 다함께 동귀일체(同歸一體)할 것을 권유하는 내용이다. ⑦ 도덕가(道德歌):1863년에 지은 가사이다. 지벌(地閥)과 문필보다는 도덕이 중요함을 강조했다. 내 몸에 이미 모시고 있는 하느님에 대한 경외의 마음이 무엇보다도 소중하다고 했다. ⑧ 흥비가(興比歌):1863년에 지은 가사이다. 〈시경 詩經〉의 노래체인 흥과 비를 이용하여 도를 닦는 법을 가르치는 내용이다. 도는 멀고 어려운 것이 아니라 가까운 데에서 찾을 수 있다고 했다. ⑨ 검결(劍訣):1861년에 지은 가사이다. 이 노래가 문제가 되어 최제우는 처형당하게 되었다. 다시 〈용담유사〉가 간행될 때에는 이런 이유로 수록되지 못했다. 갑오농민전쟁 때 군가로 불리기도 했다. 최제우의 변혁의지가 잘 나타난 작품이다.

 

 

 

출처...본인외사전인용

2010.04.11.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