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북한과 다른나라 관계좀.....
qorg**** 조회수 2,939 작성일2015.10.29
북한과 다른나라 관계 좀요 미국이나 중국 러시아등
이요 .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왕초
절대신 열심답변자
2019 생활 분야 지식인 음식점, 맛집 1위, 음식 1위, 올림픽 1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참고바랍니다..

북한의 대외 관계
1) 정책변천
북한은 2009년 개정 「사회주의 헌법」 제17조에서 평등과 자주성, 상호존중과 내정불간섭, 호혜를 외교정책의 원칙으로 설정하고 있는데, 이는 구「헌법」과 변함이 없는 것이다. 이러한 입장은 「노동당 규약」 전문에도 나타나 있다. 즉 “자주성과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 원칙에 기초하여 사회주의 나라들과의 단결과 국제공산주의운동과의 연대성을 강화하고, 세계의 모든 신흥세력나라 인민들과의 친선·협조관계를 발전시키며, 아시아·아프리카·라틴아메리카 인민들의 반제민족해방운동과 자본주의 나라들의 노동계급과 그 밖의 인민들의 혁명투쟁을 지지하고 광범한 연합전선을 실현하여 미국을 우두머리로 하는 제국주의와 지배주의를 반대하며 평화와 민주주의, 민족적 독립과 사회주의 공동위업의 승리를 쟁취하기 위하여 투쟁한다”는 것이다. 북한 외교정책의 이념과 원칙은 자주·친선·평화이며, 이는 제국주의 세력으로부터 체제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국제적인 여건과 환경의 조성 등을 목표로 외교활동을 전개하는 것이다.
공산정권 성립 이후 북한은 유엔에 의해 38°선 이남 지역의 합법정부로 인정받은 대한민국과 정통성을 경쟁하는 입장에 있었다. 따라서 대외정책은 정통성 획득, 국제적 지위 향상을 꾀하는 노력으로 일관하여 왔다. 동시에 한반도 전체의 공산화통일을 위한 ‘국제혁명역량과의 연대성’ 강화에도 계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북한은 정권수립 이후 1953년 휴전이 성립될 때까지는 우선 사회주의 진영 내의 외교에 머물고 있었다. 대한민국이 유엔을 비롯하여 30여개국으로부터 승인 받아 국제사회의 일원으로 인정받은 데 비해, 북한은 소련·중국·동구 사회주의국가 등 12개국으로부터 승인 받았고, 대외활동 또한 소련의 영향권 아래에 있는 사회주의국가에 국한되었다.
특히, 6·25전쟁으로 유엔에서 침략자로 규정된 이후 전후복구를 위하여 소련·중국에 의존하면서 이들로부터의 군사적·경제적 지원과 외교적 지지를 획득하는 데 보다 주력하였다. 1950년대 중반부터는 사회주의 진영에 국한되었던 진영외교(陣營外交)에서 탈피하여 국제사회에의 진출을 꾀하는 등 다변외교(多邊外交)로 전환하였다.
1955년 아시아지역의 신생독립국 29개국이 참가한 반둥회의에서 ‘평화5원칙’이 채택되고 1956년 흐루시초프의 평화공존정책이 발표되는 등 국제정세 변화에 따라 제3세계에 관심을 돌리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곧 중·소분쟁의 와중에 휘말려 그 성과는 극히 미약하였다.
북한은 1962년의 중·소 국경분쟁과 쿠바사태 이후 악화된 중·소관계의 환경 속에서 초기에는 흐루시초프의 평화공존을 수정주의(修正主義)로 비난하고 소련의 반중국정책을 비판하면서 중국과의 연대를 중요시하자 소련과의 관계냉각에 따른 경제·군사협력 중단으로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였다. 1964년 흐루시초프가 실각하자 다시 소련에 접근하는 자세를 보였다.
1966년 8월 북한은 내정 불간섭과 상호평등을 표방한 ‘자주노선’을 선언하였다. 이 선언은 내적으로는 ‘정치에서 자주, 경제에서 자립, 국방에서 자위’ 노선에 따라, 외적으로는 중·소 등거리외교에서 활로를 찾고, 또한 1961년의 비동맹정상회담 이후 급증하고 있는 비동맹회원국에의 접근을 겨냥한 방안이었다. 그 뒤 제3세계국가에 대한 다변외교는 어느 정도 효과를 나타내어 북한의 대외관계는 넓어져 갔다. ‘자주외교기’에 들어서면서 북한은 중국 편향 외교정책으로부터 벗어나 중·소 중립입장으로 선회하는 가운데 보다 다변화되고 실리적인 방향으로 전환하였다. 북한이 실리외교를 정책노선으로 채택한 것은 1971년 11월 당중앙위원회 제5기 제3차 전원회의에서 ‘국제정세에서 제기된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라는 의제가 토의되면서부터였다
이러한 배경에는 대외적으로 1971년 9월 중국의 유엔 가입과 1972년 닉슨 미국대통령의 중국방문을 계기로 한 미국·중국의 관계개선, 일본·중국의 국교정상화 등 국제적 화해분위기의 성숙, 그리고 유엔 및 기타 국제기구에서의 남북한 대결에 대비한 지지국의 확보 필요성 등이 작용하였다. 또한 대내적 배경으로는 새로운 6개년 경제개발계획의 추진에 필요한 자본과 기술도입을 위해 서방국가들과의 경제협력의 필요성 등이 있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북한은 1970년 제5차 당대회 이후 1980년 제6차 당대회까지 66개국과 외교관계를 수립하였다. 북한은 외교에서의 자주적 노력을 통하여 제3세계 지역에서 중국이나 소련의 외교에 의지하지 않을 수 있는 독자적인 외교활동망을 구축할 수 있었으며, 초청·방문 등의 외교노력을 통하여 아시아·아프리카 등지에 있는 제3세계 국가들과의 유대를 확대·강화할 수 있었다. 이 시기 스웨덴·핀란드·노르웨이 등 북유럽 국가들과 외교관계를 맺고 경제협력도 발전시켰다.
또한 중립국외교를 적극 전개하여 1975년 페루의 수도 리마에서 개최된 비동맹회의에서 회원국으로 가입했고, 그 결과 제30차 유엔총회에서는 유엔 사상 처음으로 한국문제에 대한 서방측 결의안과 공산측 결의안이 동시에 통과되는 결과를 가져오기도 하였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부터는 남북대화의 중단, 외채상환문제, 외교관 밀수사건 등으로 국제적 신뢰도가 크게 손상되어 대서방외교는 별다른 진전을 보지 못하였다.
1980년에 접어들며 북한은 조선노동당 6차대회를 통하여 ‘자주·친선·평화’를 대외정책의 기본이념으로 표방하면서 우호적인 서방국가와도 친선관계를 맺겠다는 대서방외교 강화를 천명하기도 하였다. 북한이 대외개방을 모색하게 된 근본적인 원인은 기존의 계획경제와 ‘자력갱생’ 정책의 한계로 인한 장기적 경제침체의 탈피와 경제의 ‘주체화·현대화·과학화’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대외경제관계의 확대가 필수적이라는 것을 인식했기 때문이었다. 이와 함께 제6차 당대회에서 김정일 후계체제를 공고화할 필요성도 있었으며, 1978년부터 추진된 중국의 개방정책도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제3세계국가들의 반서방·반미 경향이 약화되고 실리우선정책의 추구, 그리고 서방권의 대공산권 화해정책이 퇴조 현상을 보임에 따라 북한의 외교정책은 침체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특히, 1983년 버마(현재의 미얀마) 아웅산 폭파사건과 1987년 대한항공기 공중폭파사건으로 서방 국가들로부터 외교적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한편, 북한은 중국의 경제개방 움직임의 여파와 북한경제의 지속적인 침체를 탈피하기 위해 1984년 「합영법(合營法: 조선합작경영법)」을 제정하고 서방측의 선진기술과 자본을 유치하기 위한 경제외교를 적극 전개하였다. 그러나 서방권과의 경제적 통상관계가 확대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합작투자사업의 실적은 저조하고 서방측으로부터 기대한 만큼 호응은 받지 못하였다.
1980년대 말부터 시작된 소련·동구권의 붕괴로 북한의 외교는 과거 그 어느 때와도 비교할 수 없는 어려운 국면을 맞이하게 되었다. 자주노선이라는 기본입장을 견지하면서 변화하는 현실에 적응할 수밖에 없었다. 중국을 주축으로 하는 사회주의 국가들과의 연대를 강화하면서 일본과의 수교회담을 서두르고 미국과의 관계개선이라는 획기적인 정책전환을 시도하게 된 것이다.
1990년대에 들어와 급격한 대외환경의 변화로 인한 국제적 고립 탈피와 내부의 심각한 경제난을 타개하기 위하여 미국·일본을 비롯한 서구자본주의 국가들에 대한 접근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즉 냉전시대 정치적·이데올로기적 동맹국이었던 국가들이 한국과의 유대관계를 강화하고 한편으로 북한에 대한 개방압력이 가중되면서 북한은 변화에 맞춰 새로운 돌파구를 찾아야만 했다. 이에 북한은 국제적 고립탈피와 내부의 경제난을 타개하기 위해 미국·일본을 비롯한 서구 자본주의 국가들에 대한 접근을 강화하였다.
1994년 7월 김일성이 사망하자 북한은 6·25전쟁 이후 최악의 위기상황을 맞았다. 이에 대처하기 위해 군부 중시의 비상위기관리체제를 통해 체제 안정을 꾀하는 한편, 대외적으로는 외교적 고립탈피와 경제난 해결을 위한 자원 확보에 주력하였다.
1990년 9월 일본 자민당 가네마루 신(金丸信) 총재와 사회당 다나베 마코토(田邊誠) 위원장을 단장으로 하는 양당 대표단의 평양 방문은 북일수교회담의 기본정신과 방향을 설정하고 회담 개최의 길을 열어 놓는 계기가 되었다. 이후 1992년 11월까지 8차에 걸쳐 회담이 진행되었는데 쌍방 입장의 차이와 핵문제와 같은 안보상의 문제 등으로 인해 중단되었다.
1988년 12월에 시작된 북경에서의 북미간의 참사관급회담은 1992년 1월 뉴욕에서 김용순(金容淳) 노동당국제부장 겸 비서와 아놀드 캔터(Arnold L. Kantor) 미 국무차관 간의 차관급 고위회담으로 이어졌다. 이 회담에서는 관계개선에 관한 문제들에 대해 의견이 교환되었다. 이후 북한에서는 6·25반미행사가 취소되고 국제원자력기구의 핵시설 사찰을 허용하였다.
또한 북한의 핵개발 문제와 관련 1994년 10월에는 북미간의 기본합의서가 채택되었다. 기본합의서는 북한의 핵시설 동결과 경수로에 의한 200만㎾e의 핵발전소 건설, 북미간의 연락사무소 설치 및 관계 정상화 등이 기본내용으로 되어있으며, 1995년부터는 이 기본합의서의 실행단계로 넘어갔다. 이러한 과정에서 쌍방간의 인적 교류가 활발해졌으며, 6·25전쟁 당시 전사한 미군유해 공동발굴과 유해 송환사업도 상당수준 진행되었다.
이 과정에서 북한의 대유엔외교에서도 근본적인 변화가 있었다. 하나의 국호로만 유엔 가입을 주장하고 남북한이 각기 유엔 가입하는 것을 ‘두 개의 조선 책동’이라고 거부해 왔던 북한이 정식으로 유엔가입을 신청함으로써 1991년 9월 18일 제46차 유엔총회에서 만장일치로 남북한이 유엔에 가입하게 되었다. 이로써 남과 북은 정부수립 후 43년 만에 유엔의 회원국이 된 것이다. 현재 남북한은 유엔 가입과 함께 유엔에 대표부를 설치하여 상임대표를 상주시키고 있다.
한편 북한은 중국이 1992년 8월 우리나라와 수교를 하자 한동안 냉랭한 관계를 보였으나, 1996년 5월 「북·중 경제기술협조협정」체결과 1999년 6월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의 중국 방문, 그리고 1999년 10월 탕자쉬안(唐家璇) 외교부장의 북한방문을 통해 서로 간의 우호관계를 회복하였다. 러시아와는 1999년 3월에 「조·소 우호협조 및 호상원조 조약」을 대체하는 신조약에 가서명함으로써 일반국가 관계로의 발전을 모색하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북한은 1998~1999년 동안 유럽연합(EU)과 2차례에 걸친 정치대화를 개최하였으며, 1999년 9월에는 제54차 유엔총회를 계기로 백남순(白南淳) 외무상이 유럽국가 등 20여개국과 외무장관 회담을 가짐으로써 그 동안 소원하게 지내왔던 유럽연합 여러 나라와의 관계개선에도 적극적으로 나서게 되었다.
2000년대 들어 북한은 체제유지를 보장받기 위한 전방위외교에 적극 나서게 된다. 1998년 9월 공식 출범한 김정일 체제는 변화된 대내외적 상황 속에서 체제유지의 문제를 심각하게 고려해야 하는 입장에 처했고, 이로 인해 국제적 고립 탈피 및 국제사회의 지원 확보를 외교활동의 주요목표로 설정하여 전방위 외교를 추진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북한은 체제안보가 최우선 과제라는 인식하에 핵·미사일 문제 등을 고리로 미국과의 관계개선에 적극적으로 임하였다. 2000년 10월에는 북한의 조명록 차수가 워싱턴을 방문하여 클린턴(William Jefferson Bill Clinton) 대통령과 회담한 후 ‘적대관계 종식’ 등의 내용이 담긴 ‘공동성명’과 ‘반테러 공동성명’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어 올브라이트(Madeleine Korbel Albright) 미국 국무장관이 평양을 방문하여 김정일과 회담을 하는 등 관계 정상화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2001년 1월 출범한 부시 행정부의 대북 강경정책으로 양측관계는 후퇴하게 되었으나, 여러 불리한 조건 속에서도 북한은 체제보장과 경제지원 확보를 위해 핵카드를 활용하여 대미관계 정상화를 적극 모색하였다. 2009년 현재 오바마 행정부와도 이러한 노력의 연장선에서 대미 관계정상화를 위해 외교력을 펼치고 있으나 핵문제 해결이 늦어지면서 아직 뚜렷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2) 현황
북한은 2009년 현재 160개국과 외교관계를 맺고 있으나 한국의 188개국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낮은 수치이다. 2009년 현재 북한이 외교관계를 맺고 있는 나라의 수는 모두 160개국이다. 이 가운데 남북한 동시수교국은 157개국이다. 지역별로는 아시아·대양주 25개국, 중동 17개국, 아프리카 45개국, 유럽 49개국, 미주지역 24개국과 수교하고 있다. 이 밖에 북한은 유엔체제 기구에 28곳, 정부간 국제기구 18곳 등에 가입하고 있다.
북한은 2000년대 들어서 유럽연합 8개국을 포함, 오스트레일리아, 필리핀, 터키, 캐나다, 브라질, 뉴질랜드, 쿠웨이트, 리히텐슈타인, 바레인 등과 수교하였고, 2002년 11월에는 신생독립국인 동티모르와 국교를 수립하였다. 특히 북한은 이 시기에 대외관계를 확대하면서 주요 거점지역에 공관을 새로 개설하였다. 2000년에 홍콩총영사관 및 이탈리아대사관, 2001년에 독일대사관, 2002년에 오스트레일리아 및 남아프리카공화국 대사관, 2003년에 영국대사관을 개관하여 2008년 11월 현재 총 49개 재외공관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탈냉전 이후 북한의 전방위 외교에 따라 전체적으로 외교관계를 맺은 국가의 수는 많아졌으나, 실제로 외교공관을 설치·운영하는 숫자는 경제사정의 악화에 따라 줄어들었다. 즉 북한은 공관의 설치·운영과 관련해서는 경제사정 악화로 1998년 3월 외무성의 재외공관 30% 정도 감축방침 발표 이래 공관의 구조조정을 단행하였다. 1998~2001년간 폐쇄된 공관현황을 보면 아프리카 지역이 7개로 가장 많고 유럽지역이 6개, 중동 2개, 중남미 2개, 아시아 1개 공관이 감축되었다. 대륙별로는 아시아가 16개, 유럽이 15개, 중동·아프리카가 13개, 미주가 5개이고, 상주대사관 42개, (총)영사관 3개, 대표부 4개 등이다.
3) 교민정책
우리나라의 분단상황은 재일동포사회에서도 그대로 재현되었다. 광복 직후 200만 명에 이르는 재일동포들은 귀국알선, 생활상담을 위한 자치단체로 재일조선인연맹을 결성하였다. 그러나 이 단체는 곧 일본공산당에 의한 좌경화와 더불어 정치단체로 탈바꿈되었기 때문에 우익진영계 인사들은 탈퇴하여 재일조선거류민단을 발족시켰다.
이때부터 8년 동안 좌익계는 민단계에 대한 폭력과 내부 주도권 다툼을 거듭하다가 1955년 북한을 지지하는 한덕수(韓德銖)를 중심으로 재일조선인총연합회(조총련)를 결성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북한은 조총련이 결성된 직후 정치·사상·경제적인 연계를 적극화하였다. 먼저 조총련을 북한의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에 편성된 단체로 간주하고, 1962년 이래 핵심간부를 최고인민회의 대의원으로 참가시키는 등 북한과의 일체감 부여에 주력하여 왔다. 또 1957년부터 133회(1996년 2월 현재)에 걸쳐 교육원조비 명목으로 426억 엔을 송금하였고, 1959년 재일동포 북송사업을 벌여 1987년까지 187차에 걸쳐 9만3360명을 송환하였다.
1980년대에 들어와 조총련은 서방측의 선진기술 및 자본도입을 서두르는 북한의 합작투자에 적극 협력하고 있다. 1985년 문을 연 평양의 창광여관 커피점, 낙원백화점 등이 합작투자의 결과로 나타났다. 1986년 8월 북한의 합영사업추진위원회와 조총련 합영사업연구회가 각각 60만 달러씩 공동출자하여 조선국제합영 총회사를 설립하고 매년 1회씩 이사회를 개최하여 합영사업의 확대방향을 협의해 오고 있다.
현재 조총련 회원 수는 20만 명이며 중앙의장단을 중심으로 한 중앙조직과 49개의 지방본부, 300여 개의 지부, 지역학교 및 직장 등의 단위로 조직된 2,800여 개의 분회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청년·상공인·교육자 등 18개 산하단체와 조선신보사 등 23개의 사업체를 보유하고 있다. 고등교육기관으로는 조선대학교가 있다.
한편, 북한은 「헌법」규정과 「국적법」에 의하여 모든 해외동포들을 ‘공민’이라고 규정하여 친북교포로 포섭·조직화하려는 교포정책을 전개하고 있다. 특히 1970년 이후 교포사회가 남북한 관계에서 점차 비중을 갖는 제3세력으로 등장하는 추세에 따라 해외교포의 친북세력화에 주력하였다.
즉 1971년 해외동포를 민족이라는 의식적 집단의 한 단위로 규정한 데 이어, 1976년 이래 김일성의 ‘신년사’에서 해외동포들이 통일을 위한 투쟁을 적극 전개할 것을 호소했는가 하면, ‘대민족회의’, ‘전민족대회’ 등 통일방안 제의와 관련된 집회에 참석할 것을 주장하여 왔다. 이를 위하여 북한은 해외교포의 방북초청 및 반한통일전선 공작, 반한·친북여론의 조성에 주력하고 있다. 1990년대 들어서는 조총련 조직을 통하여 3세, 4세를 비롯한 광범한 동포를 상대로 주체사상 교육을 강화하였다. 김일성 사망 후에는 김정일에 대한 충성과 함께 그를 충효일심으로 받들어야 한다는 내용의 교육사업을 강력히 추진하고 있다. 교민정책을 담당하는 행정기관으로는 정무원 산하 해외동포원호위원회와 교포사업총국이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는 조선노동당연락부와 통일전선부, 그리고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과 조국평화통일위원회가 업무를 주도하고 있다.
탈냉전의 시대변화에 따라 북한도 젊은 세대의 요구를 수용하는 등 조총련의 변화를 시도하였다. 1998년 5월 22일 제18차 전체대회를 열어 ‘한덕수의장·서만술 제1부의장·허종만 책임부의장’ 체제를 정립하고, 10여 명으로 구성되어 있던 부의장단을 4명으로 줄이는 등 조직정비를 단행함으로써 업무의 효율화를 모색하였다.
또한 1999년 4월에 서만술 제1부의장의 방북 때 ‘조총련을 일본실정에 맞게 개혁하라’는 김정일의 지시에 따라 같은 해 9월 중앙위원회 확대회의를 열어 일부 조직을 개편하고, 동포생활과 권익옹호를 최우선시하는 사업방침을 확정하는 등 변화를 모색하였다. 이러한 움직임은 2001년 조총련을 결성한 이후 46년간 의장으로 재임하여 온 한덕수가 사망하고 서만술(徐万述)이 의장에 공식적으로 취임하면서 따라 더욱 활발해졌다.
서만술 의장은 2001년 7월 일본 각지에서 열린 각 지부별 정기대회에 참석, 조총련의 기층조직인 지부와 분회 활동을 적극 강화해 나갈 것을 촉구하였다. 뿐만 아니라 모든 조총련의 ‘애국사업’은 앞으로 “동포밀착, 동포복무, 동포주인형으로 혁신될 것이다”라면서 동포 중심의 조총련 활동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장기간에 걸친 일본의 경기침체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조총련의 돈줄인 조은신용조합(朝銀信用組合)들의 파산이 잇따르고 2001년 11월에는 조총련 중앙본부에 대한 일본경찰의 압수수색이 이루어지는 등 악재가 겹치면서 조직이 약화되고 있다. 특히 1972년부터 외교기관에 준해 ‘고정자산세’와 ‘부동산취득세’를 면제해 주었던 조총련 시설에 대해 2003년부터 세금을 부과하기 시작하면서 상황은 더욱 열악해졌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김정일 위원장은 2002년 8월 방북한 허종만(許宗萬) 조총련 책임부의장을 통해 조총련의 조직과 교육을 개혁할 수 있도록 학습조를 폐지하고 조총련 산하 초·중등학교에서의 김일성·김정일 초상화 대신 자연스러운 활동사진으로 대체할 것을 지시하였다. 이와 같이 북한과 정치·사상·경제적으로 깊은 연계를 맺고 있는 조총련은 북한의 대외선전기구 및 한반도 공산화혁명을 위한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하던 기능에서 일부 벗어나 동포권익옹호 단체로의 탈바꿈을 시도하는 등 현실 적응을 위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2006년 9월에 출범한 아베정권이 북한 ‘만경봉호’에 대한 입항금지, 대북금융 제재 등의 조치를 취하면서 조총련의 재정은 파산상태에 직면하게 되었다. 2007년 초부터는 대북지원이 의심되는 조총련 인사들을 ‘불법행위 단속’을 명목으로 체포하고 조총련 사무실을 수색하는 등 대 조총련 강경정책을 추진하였다.
한편 중국에도 재일 조총련과 유사한 형태의 조직을 결성했는데, 1998년 8월 15일 통일대축전을 전후한 시점에서 1991년경 결성된 기존의 친북단체 ‘재중조선공민총연합회’를 ‘재중조선인총연합회’(재중 조총련)로 확대·재편하였다. 재중 조총련의 의장은 재중조선공민총연합회 의장이었던 양영동이 승계하였다. 북한의 평양방송이 “재중 조총련이 2001년 3월 조직 결성 10돌 기념보고대회를 개최하고 김정일 노동당 총비서의 영도아래 통일애국운동을 적극 전개할 것을 다짐했다”고 보도한 것으로 볼 때 활동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밖에도 북한은 미국 내에서 여러 단체로 흩어져 친북활동을 벌여 왔던 한인단체들을 규합해 1997년 1월 뉴욕에서 ‘재미동포 전국연합회’를 결성, 함성국(미국명 마이클 함) 목사가 초대회장을 맡고 있다. 이 단체는 중앙회와 3개 지역위원회로 구성됐으며 주로 정치 외적인 재미동포의 북한 방문과 식량지원 같은 인도적 활동에 치중하고 필요시 미국정부에 대해 대북 경제제재의 완전 해제와 같은 일종의 로비활동도 병행하고 있다. 한편 이들 외에 해외에서 활동하고 있는 친북단체로는 ‘국제고려인통일연합회’(고통련), ‘재독일 동포연합회’와 ‘재호주 동포연합회’ 등이 있다.

2015.11.11.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