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우리나라최초의 영어사전은요?
supe**** 조회수 3,386 작성일2003.02.15
언제 만들어진 무엇이에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lond****
초수
번역, 통역, 사회, 도덕, 과학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 순수 외국어 사전은 1873년에 발행된 러시아-한국(노한)사전이 첫번째고여, 언더우드(Underwood, H.G.)가 영어사전을 가장 먼저 발간했습니다. (1890- 고종 28년) 지금 연세대학교 소장이라고 나와있네여.

<첫번째 영어사전의 이름은 한영믁뎐입니다>

- 원서명 : A Concise Dictionary of the Korean Language, in two parts

- Korean-English and English-Korean - 한영믁뎐

--------------- 참고 자료 : 상세자료입니다 --------------

1) 著述의 動機와 目的 :

러시아어와 한국어의 對譯辭典으로서 유럽語와 韓國語의 最初의 對譯辭典이다. 著者 퓨딜로(Putsillo, M.)의 卷頭에 실은 15페이지에 걸치는 긴 序文에 의하면 1873년 러시아 로마노프(Romanov)王朝의 大公侯 알렉세이·알렉산드로비치가 侍從 K.N.프시에트를 대동하고 海路 2년간의 세계여행을 마친후, 소련 극동지방의 해군근거지인 블라디보스토크(Vladivostok)에 상륙하여 우수리강(Ussuri 江 : 鳥蘇里江)지역과 黑龍江지역을 순시하는 도중 우연히 沿海州 某寒村에 들려 그곳 官吏이던 著者인 퓨딜로(Putsillo, M.)가 열심히 한국어를 연구하고 있는 것을 보고 辭典출판에 필요한 자금을 지급해준 것이 이 책 출판의 동기가 되었다고 한다. 어떻게 보면 퓨딜로가 한국어에 관심을 가졌던 것은 지극히 당연한 일일지 모른다. 여기에는 地理的 要因이 크게 작용했음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리고 당시 러시아의 입장에서는 시베리아 변방의 외국인 이민을 위해 또 그 당시 쇄국정책을 쓰고 있던 한국과의 미래의 외교관계의 중요성에 비추어서, 大公侯께서 辭典의 편찬을 하게 한 것 같다.


2) 著述의 形式과 內容 :

이 책의 총 페이지 수는 731페이지로서 한 페이지에 露語 약 10 單語를 기재하고 對面에는 한국어로 해석을 하고 있으며, 책의 크기는 가로 17cm 세로 13cm로 되어 있다. 저자는 한국과 접경지역인 沿海州에 移民해온 無學의 한국 노동자들을 상대로 어휘를 수집하였기 때문에 수록된 어휘의 대부분이 함경북도 및 沿海州에 거주하는 韓人의 方言에 속해 있고, 저자가 도회지와 떨어진 벽지의 땅에 있었던 관계상 참고자료도 손에 넣을 수 없었으며 메드허스트(Medhurst) 의 "Translation of a Comparative of the Chinese, Corean and Japanese Languages" 1835를 참고한 것 이외는 하등의 참고한 책이 없었다. 그래서 내용상의 오류나 불완전한 점이 많다. 수록자 수는 약 3,000 餘單語이다. 제작에 있어 石版刷도 저자 자신이 뜬 것으로 그 書寫에도 곤란이 많았던 것 같다.


3) 學究的 價値 :

이 책은 당시 한국인들의 시베리아 移民動機, 그들의 生活狀態, 또 어떻게 그들이 발전해 나갔는가를 자세히 알려주고 있어 1870년대 당시 移民의 社會相을 짐작할 수 있는 좋은 자료가 된다. 그리고 우리나라 咸鏡道 方言硏究에 貴重한 資料가 되고 있다. 이 책이 간행된지 22년 후인 1896년(建陽 1) 5월 8일, 서울 洞에 露西亞學校가 開校되었는데, 당시 러시아 敎師였던 體職砲兵士官 비루고프(Birukoff)는 學習書로 이 辭典을 사용하지 않았는가 생각된다. 현재 이 책의 傳存本은 서울大學校 中央圖書館에 1부 보존되어 있다. 그러나 實物을 實査하지 못한 것이 아쉽다.


2. 韓佛字典


巴里外地宣敎會 編, 橫濱. 高宗 17년(1880), 서울大學校 中央圖書館 藏·國立

中央圖書館 藏.

原書名 : DIctionnaire Cor en-Francais : 한불믁뎐





1) 著述의 動機와 目的 :

프랑스 선교사들의 한국 선교에 대한 집념은 대단한 것이어서 그들의 굴하지 않은 意志는 먼 앞날을 바라보는 布敎의 가장 긴요한 수단의 하나인 言語의 장벽을 뚫기 위한 [韓佛字典]의 편찬으로 凝結되었었다. 그리하여 프랑스 천주교 선교사들은 入鮮 당시부터 [韓佛字典]의 편찬에 뜻을 두었으나 당시의 西學 곧 天主敎 布敎의 금지와 신도 학살사건 때문에 결코 사전 편찬이 용이하지가 않았다. 이 책은 高宗 3년 天主敎徒 虐殺의 亂인 丙寅敎難 당시 九死一生으로 脫出한 리델(Ridel, Felix Clair : 李福明, 1830∼1884) 신부가 遼東半島의 一孤村인 李巖懸 溝(天主敎村)에 10여년 동안 피신하면서 한국에 다시 갈 날을 기다리면서 同行한 한국인 신도 崔智爀의 도움으로 그 동안『韓國文法書』와 함께 字典 原稿를 完成하였다고 한다. 그후 韓國內의 천주교 탄압이 小康狀態에 들어가자 高宗 14년 (1877)에 두세(Doucet, C.E.), 로베르(Robert, A.P.)등 프랑스 신부 2명을 대동하고 잠입하였다. 그는 곧바로 체포되었으나 프랑스 정부의 강력한 항의로 석방되어 청나라로 다시 추방됐다가, 그 동안 마련했던 字典 原稿를 가지고 일본으로 건너가 파리 외지선교회(Par les Missionnaires de Cor e de la Soci t des Missions trang rs de Paris) 이름으로 高宗 17년 (1880) 요꼬하마(橫濱) "Echo du Japon" 印刷所에서 [韓佛文典]과 함께 新鉛活字本으로 인쇄 출판되었다. 그리고 같은 해에 역시 요꼬하마에서 프랑스 선교사 코스트(Coste, George, 1842∼1896)에 의해 [韓佛字典 : Dictionnaire Cor en-Francais]이 출판됐었다.


2) 著述의 形式과 內容 :

이 책의 크기는 가로 29cm, 세로 21cm 이고 총 페이지 수는 698페이지다. 表題가 쓰여진 間紙 다음에 6페이지로 된 序文이 있다. 이 서문에서는 이 사전을 이용하는데 유의할 점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즉 어휘 배열순, 字母 글자의 발음(구개음화 등), 풀이말에 있어서 어간과 어미, ― 폁다 合成動詞, 漢字어휘와 곁들여서 설명하였다. 그 다음 2페이지에서는 이 字典의 어휘 배열순에 따른 한글 字母와 로마字에 대한 對比表와 略字記號를 凡例로 들었다.

內容은 語彙辭典·文法辭典 및 地名辭典의 3部로 나누어졌다. 語彙辭典部는 615페이지로, 기술방법은 약 3만 5천 어휘에 달하는 우리 고유어를 앞에 내세운 다음 프랑스어류의 철자법, 그 단어에 상당하는 한자의 제시, 프랑스어 설명의 순으로 되어 있다. 排例은 韓國音 西洋式 알파벳 順이다.


[ 보 기 ]

발빈폁다, PAL-PIN-H˖-TA. 拔貧. Etat d'un homme extr mement pauvre qui devient unpeu plus l'aise ; viter la pauveret , c. a. d. tre son aise.

발복폁다, PAL-POK-H˖-TA. 發福. Qui a obtenu ce qu'il attendait dequis longtemps ; avoir du bonheur, de la chance.

발분폁다, PAL-POUN-H˖-TA. 發奮. S'efforcer pour ; se f cher, s'irriter contre les obstacles et redoubler d'effors.

발판, PAL-HPAN,-I. 足板. Planche pour passer sur un terrain mou ; paillasson la porte ou chose semblable ; chelle.

발포폁다, PAL-HPO-H˖-TA. 發捕. Envoyer les satellites prendre quelq- u'un ; mettre les satellites en campagne.

발표폁다, PAL-HPYO-H˖-TA. 發表. Pustule ede petite v eole ; comm- encer se montrer (la petite v role).

발령폁다, PAL-BYENG-H˖-TA. 發令. Ordre public, commandement d'un chef sup rieur (gouverneur ou mandarin) ; donner ordre, laucer un ordre.


그리고 이 사전에 수록된 어휘들은 당시의 순수한 우리말로서 현대에는 쓰여지고 있지 않은 묻힌 말, 버린 말들이 많다.


[ 보 기 ]

츄들츄들. Tchyou-Teul-Tchyou-Teul.

새촐남이. Sai-Tchyol-Nam-i.

야살스럽다. Ya-Sal-Seu-Rep-Ta.


이 사전의 낱말 배열은 우리 글자의 字母 가운데 홀소리 字母인 <아야럁어여으이오요우유> 순으로, 홀소리가 앞에 오고 닿소리 字母인 <ㅎㄱㄳㅋㅁㅏㅂㄻㅍㄹㅅㅆㄷ ㅌㅈ ㅊ>의 순으로 배열하여 닿소리가 뒤에 오게 하였다. 이 책중에 쓰여진 한글 字母는 崔智爀의 글씨라고 한다.

附錄 I, 文法辭典은 57페이지로써, 일상행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動詞 hata(하다)와 il-ta(일다) 두 개의 동사를 자료로 하여 이것들의 시끝바꿈(Conj- ugaison Alphabetique)인 活用形態의 갖가지들 916의 例文을 들어 일일이 그 용법을 설명하고 있다.

附錄 II에는 地名辭典을 싣고 있다. 27 페이지로서 먼저 官吏·軍人들의 계급과 명칭에 대한 간단한 언급이 있은 후, 우리나라 725개의 地名·江山名을 地圖上 位置(徑度·緯度) 所屬 行政道까지 밝히고 巴里에서 인쇄된 韓國地圖(Dictionnaire Geographique de la Cor e)가 21페이지에 걸쳐 들어 있다.


[ 보 기 ]

회령 Hoi-Ryeng, 會寧. Ville Mur e 1935 lys de la Capitale. 9 Cantons.

Prov. de Ham-kyeng. I Pou-Sa. 41˚58' - 127˚32'

부산 Pov-San ou 부산개 Pou-San-Kai 釜山 Port, a 20 lys de la Ville de Tong-n i, Ouvert depuis Peu au Commerce du Japon, quiy entretenait d j Une garnison de 200 Soldats.

R sidence d'un Syou-s , 34˚46' - 126˚5'

시흥 SI-Heung, Ou 검쳔, Kem-Tchyen 始興, Ville 33 lys de la Capitale. 6 Cantons, Prov de Kyeng-Keui, lh-yen-ryeng 37˚28' - 124˚26'.


3) 學究的 價値 :

우리말과 西歐語와의 對比辭典으로서는 高宗 11년(1874)에 출판된 한국 최초의 『露韓語對譯辭典』다음 가는 가장 오래된 辭典으로 약 3만 5천 어휘에 달하는 우리 고유어 및 漢字語와 佛語가 수록된 최초의 현대식 사전이다. 그리고 이 사전에 수록된 어휘들은 당시의 순수한 우리말들로서 近世語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며, 그 내용의 충실성에는 감탄하지 않을 수 없다. 그리하여 이 사전은 그 뒤 편찬된 여러 辭典, 언더우드(Underwood, H.G.), 게일(Gale, J.S.)의『英韓辭典』,『朝鮮語辭典』등의 底本(밑본)이 되었다는 점에서 귀중하다.


3. 韓英·英韓辭典


언더우드(Underwood, H.G.)著. 橫濱. 高宗 27년 (1890) 延世大學校

中央圖書館.

原書名 : A Concise Dictionary of the Korean Language, in two parts

Korean-English and English-Korean - 한영믁뎐




1) 著 者 :

언더우드 (Underwood , Horace Grant : 元杜尤, 1859∼1916)는 미국 北長老敎 선교사, 교육자, 런던 출생, 1872년 미국에 移住, 1881년 뉴욕대학을, 1881년 뉴우브런즈윅(New Brunswick) 신학교(和蘭系改革派)를 졸업, 동년 7월 북장로교회 외국선교사로 임명되어, 이듬해인 高宗 22년(1885) 4월 5일 감리교 선교사인 아펜젤러(Appenzeller, Henry Gerhard, 1858∼1902) 목사와 같은 해에 제물포에 상륙하였다. 언더우드 선교사는 그 보다 1년전인 高宗 21년(1884)에 입국한 高宗의 侍醫 및 선교사인 미국의 알렌(Allen, Horace Newton : 安連, 1858∼1932)이 경영하는 한국 최초의 국립병원인 齋洞에 있는 廣惠院에서 物理·化學을 가르쳤으며 高宗 23년(1886) 고아원을 설치했고, 이듬해 高宗 24년(1887) 9월에 한국 최초의 교회인 서울 '새문안 교회'를 세웠다. 그리고 高宗 26년(1889) 基督敎書會를 창설하고 성서번역위원회 회장, 대한기독교서회 회장, 기독교 교육회장 등을 역임했다. 高宗 27년(1890) 『韓語辭典』『英韓辭典』을 출판했으며, 光武 1년(1897) 주간지 그리스도 신문을 창간하고, 光武 4년(1900) 기독교청년회를 조직하여 光武 7년(1903) 그 회장이 되었고, 1911년 선교사업을 돕고 학교업무의 연락을 위해 교육조사국을 창설했다. 1915년 儆新學校에 대학부를 설치, 1917년 연희전문학교의 설립을 보게 했다. 1916년 身病으로 귀국, 애틀랜틱시티(Atlantic City) 에서 죽었다. 그는 우리나라 종교·문화·언어·정치·사회 등 여러 분야에 많은 공헌을 남겼다.

저서로는 말본, A Concise Dictionary of the Korean Language For twent-

y three years a Missionary in Korea ; Modern Education in Korea ; A Par-

tial Bibliography of Occidental literature on Korea ; The Call of Korea.


2) 著述의 動機와 目的 :

저자가 高宗 22년(1885) 선교사로 온 후 포교의 첫 단계로서 한국어에 흥미를 가지고 약 5년간 한국어 어휘의 수집 및 정리를 하여 사전을 편찬한 것이다. 이 책이 完成되기까지에는 게일( Gale, James. S.) 선교사의 助力이 매우 컸다.


3) 著述의 形式과 內容 :

韓國語·英語 對照의 최초의 사전으로서 韓英字典·英韓字典의 2卷으로 되어 있는데, 이 책의 序文에서도 言及한 바와 같이 學生版(Student Edition)이라고 할 수 있는 袖珍用版이다. 總頁數는 489페이지로 책의 크기는 가로 17cm, 세로 9.5cm다.

第 1 卷. 韓英字典(A Korean-English Dictionary) 196 페이지. 이 책의 緖言(1889년 11월)에 의하면 일상생활에 所用되는 약 4천 4백여 어를 標題語로 내세워 그 단어에 해당하는 漢字의 倂記, 英語의 순서로 되어 있다.


[ 보 기 ]

그렇게. 如此. thus in that way of that kind.

아미. 蛾眉 eyebrow (of womans only)


한글의 철자법은 대체로 正祖代에 간행된 [全韻玉篇]과 리델(Ridel)의 [韓佛字典]에 準據하였고 한글의 배열순은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에게 편리를 도모하기 위하여 [韓佛字典]과 같이 한글 부분의 배열을 알파벳순에 맞추어 독특하게 배열하였다. 이를 표로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ㅏ ㅑ ㅓ ㅕ ㅣ ㅣ ㅗ ㅛ ㅜ ㅠ

A E I O U




ㅎ ㄱ ㅋ ㅁ ㄴ ㅇ ㅂ ㅍ ㄹ ㅅ ㄷ ㅌ ㅈ ㅊ

H K M N O P R S T Z




1 ㄱ ㅁ ㄴ ㅇ ㅂ ㄹ ㅅ

? K M N O P R S




上記와 같은 배열이 되어, 사용상에는 곤란이 있으나 당시의 어휘풀이와 철자법을 알 수 있는 자료가 된다.

漢語는 William의 'Syllabic Dictionary of chinese language'에 설명한 語句를 借用하였다. 그리고 韓國固有語는 한국인 교사에게 배워서 채택했음을 술회하고 있다. 卷末에는 부록으로서 普通數詞·順序數詞·金錢의 單位名·日名·月名·週名 등이 실려 있다.

第 2 卷, 英韓字典(An English-Korean Dictionary) 293 페이지.

第 2 卷에 해당하는 英韓字典(An English-Korean Dictionary)의 緖言에 의하면 미국의 선교사요 언어학자·사학자인 헐버어트(Hulbert, Homer Benzaleel : 轄甫, 1863∼1949) 교수의 조력에 힘입은 바 컸다. 약 6천 3백의 英語單語를 수록하고 있는데. 前編이 간결을 위주로 한데 반하여 여기에선 文法的 說明, 熟語, 用例 등 비교적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이 두 卷을 合綴하여 單卷으로 된 [韓英·英韓辭典](A Concise Dictionary of the Korean language, in two parts Korean-English and English-Korean)이 同年에 역시 요꼬하마에서 출판되었는데, 前記書와의 차이점은 前者가 포켓版이나 학생판인데, 이보다 크기가 좀 더 작아진 것 뿐이지 별다른 차이는 없다.


4) 學究的 價値 :

두 卷을 合綴하여 單卷으로 편찬한 최초의 한국어·영어 對照語辭典으로서 어휘수가 많으며, 설명이 간결하고 일상 휴대할 수 있는 袖珍用辭典으로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에게 가장 적절하게 된 사전이다.


4. 羅韓辭典


다블뤼(Daveluy, M.C.A.)著. 香港. 高宗 28년(1891). 所藏處不明.

原書名 : Parvum Vocabularium ad Usum Studiosae Juventutis Coreanae.


1) 著 者 :

이 辭典은 序文이나 跋文이 없어 著者에 대한 확실한 것은 모르지만 저자는 파리 외방선교회의 신부 다블뤼(Daveluy, Marie Nicolas Antoine : 安敦伊, 1818∼1866) 혹은 한국인 神父 方達智의 公編이라고도 한다. 그런데 表題名이 다른 이 책의 京城 天主公敎會 所藏 寫本인 "Dictionarium Latino-Coreanum editio recentior, accurat Correcta, multis Vocabulis locapletate et ad Usum alumn- orum accommod atissima, Auctore Clerico" (이 題名의 한글서명은 "믁회문법"으로 기록되어 있는데, 그것은『自會文法』의 音으로써 이 책의 韓國名인 것이다) 이 책의 表紙 下部에, 이 책은 1867년 4월 19일 附 페롱(F ron, Stanislas, 1827 ∼ ? ) 신부의 손에 의해 佛文으로 " 이 사전은 전부 高宗 3년(1866) 3월 30일 기독교를 위해 한국에서 순교한 다블뤼 主敎의 손에 의해서 書寫됐던 것이다." 라고 뜻을 追記했다. 卷末에는 펜글씨의 선명한 1851년 12월 14일 脫稿했다는 취지를 라틴어와 한글로 기록돼 있다. 페롱(F ron) 신부는 哲宗 8년(1857) 3월 31일에 입국, 다블뤼(Daveluy), 리델(Ridel) 신부와 더불어 布敎에 힘썼던 불란서 선교사로서, 高宗 3년(1866) 丙寅敎難 때 著者인 다블뤼 선교사는 순교하고 페롱 신부는 九死一生으로 청국 산동성으로 피신했었다.

本 原稿는 전부 조선에서 11년 동안에 걸쳐 조선선교에 힘쓰면서 우리말에 익숙했으며, 덕망이 높았던 다블뤼(Daveluy)의 손으로 이루어졌던 것으로 完成年代가 빨랐다는 데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으며 바로 간행을 보지 못하고, 1851(哲宗 2)에 이 원고를 탈고한 지 40년후인 高宗 28년(1891)에 우리나라 아닌 香港에서 비로소 출판을 보게 되었던 것이다.

前記 1891년 香港版 Parvum Vocavularium과 역시 香港版인 그 寫本原稿의 內容을 비교하면 거의 동일하다. 다만 다른 점은 香港版 初版은 페이지 수가 301페이지인데 비해 寫本은 그 보다 108페이지가 더 많은 409페이지다. 어떻든 1891년판의 『羅韓辭典』은 1851년에 탈고 했던 다블뤼(Daveluy) 선교사의 원고를 정리해서 출판했던 것이 분명하다. 다블뤼는 우리나라에 入國 전에도 중국에 머물을 동안 [韓·中·佛辭典] 편찬에 종사했으며, 韓國敎會史자료를 모아 파리로 보내어 뒤에 달레(Dallet, Claude Charles 1829∼1887) 선교사의 저서 <朝鮮敎會史 ; Hisrori de I'Eglise de Cor e>의 대본이 되게 하였으며, 入國 후에도『羅韓辭典』外 한글로 엮은『領洗大義』(1864)·『主敎要旨』(1864)·『天主聖敎禮規』(186 5) 등의 저술이 있다.

미국의 선교사며, 동양학자인 그리피스( Griffis, William Elliot, 1843∼1928)는 일찍이 <은둔의 나라 한국>(Corea, the Hermit Nation)이란 우리나라 역사책을 지어 서양에서 널리 애독된 바 있는데, 그리피스가 이 역사책에서 말한 바에 의하면 "韓國語硏究의 시작은 무어니 해도 불란서 선교사의 공적이 절대적이었다." 라고 말하고, 유감스러운 것은 이들 선교사들의 조직적 연구계획이 한국정부의 박해로 인해 혹은 불태워지고 혹은 파기됐다는 사실이다. 다블뤼는 『羅韓小辭典』以外에도 다년간 푸르데(Pourthie)신부와 같이 『韓·中·羅典語辭典』(Ch- inese-Corean-Latin Dictionary)편찬에 종사했었다. 또 이무렵에 뿌데이니코라(P- etitncolas)선교사에 의해 『羅韓辭典』(Latin-Corean Dictionary)이 完成되었는데. 수록 어휘수는 3,000 單語 내지 10,000 單語를 수록했었다고 云云하고 있다. 이와 같이 『羅韓辭典』은 당시 다블뤼 선교사 이외에도 여러 사람의 불란서 선교사들에 의해 편찬되었던 사실을 알 수가 있다. 그러나 이들의 귀중한 辭典이 큰 박해로 말미암아 불살라졌거나 잃어버리게 된 것 같다.

저술의 동기는 그 당시 天主敎學校에서 천주교 공용어인 라틴어 학습을 위한 학생들의 요구에 응하기 위해 또는 선교사들의 해외 傳道의 所用으로 간행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 책이 우리나라에서 간행되지를 못하고 홍콩에서 간행됐던 것은 당시 근대식 인쇄시설도 없었지만 천주교 박해 때문에 출판이 불가능했기 때문이었던 것 같다. 이 책은 간행된지 45년 후인 1936년 7월에 修正增補하여 [羅韓辭典](Dictionarium Latino-Coreanum, 尹乙洙 編, 京鄕雜誌社, 1936年 7月 初版)으로 改題되어 出版되었다. 그리고 解放후인 1959년 2월 5일에 京鄕雜誌社에서 그 增補版이 780페이지로 간행되었다.


2) 著述의 形式과 內容 :

라틴어를 本位로 했으며, 거기에 한국어로 對譯한 袖珍用辭典이다. 各單語마다 品詞·動詞·形容詞의 變化, 기타 文法的 說明과 그 單語에 속하는 여러 가지 熟語를 例記하고 있는 것이 새롭다. 예를 들면 a (또는 ab, abs)의 條에,


Secundus a rege 후에 다음에 님금후에 둘-믁

a tergo 로 뒤로

a summo 우회로

hoc factum est a me 위폁야 나를 위하야 나거시

a primo 브렴


등의 語句를 들고, 거기에 대한 하나 하나의 한글의 對譯을 붙이었다. 이 책은 약 9,000의 라틴語를 수록했고, 비록 綴字 語彙 설명에 오류가 많으나 哲宗 2년(1851)에 이미 다른 外國語도 아닌 라틴語가 한국어로 해석되었다는 점에서 주목할만하다.


5. 英韓辭典


스코트(Scott, James)著, 漢城府, 英國基督敎傳道會, 高宗 28년(1891).

延世大學校 中央圖書館 藏.

原書名 : English-Corean Dictionary, being a Vocabulary of Corean

Colloquial Words in Common Use.





1) 著 者 : 스코트(Scott, James)는 당시 영국의 동양어학자로서 高宗 21년(1884) 한국주재 영국 인천부영사로 부임, 高宗 29년(1892)까지 9년 동안 한국에 체류했었다. 그는 入朝 3년 만에 "Corean Manual"(初版 1887)을 만들고, 7년 후인 高宗 28년(1891)에 [英韓辭典]과 附錄에 韓國語에 관한 비교적 자세한 論文을 발표했었다.

스코트(Scott, James)는 이 책을 편찬하는데 있어, 日本語·琉球語의 文法論·日本文學史 기타의 저서를 내어 유명한 당시 총영사 애스턴(Aston, William Ge- orge : 阿須頓, 1841∼1911)의 助力이 많았었다고 한다. 애스턴 총영사는 외교관, 언어학자로서 高宗 20년(1883) 나가사끼(長崎) 주재 영사를 거쳐 高宗 21년(1884) 4월 26일, 우리나라 주재 총영사로 임명되어 副領事 스코트(Scott, James)와 함께 入朝, 高宗 23년(1886) 10월 22일까지 2년여간 서울에 체류했었다. 애스턴(aston, W.G.)은 총영사로 부임하기 이전인 高宗 19년(1882) 6월에 빌(Wille, Adminal)제독의 군함에 편승하여 조선에 와서 수주간 머물면서 조선어를 연구한 일이 있었다. 애스턴(Aston, W.G.)의 名著 『日鮮兩語の比較硏究』는 그가 한국의 총영사로 부임하기 훨씬 이전인 高宗 16년(1879)에 완성된 것이다. 스코트(Scott, James)가 조선에 영국 부영사로 오게된 것은 애스턴의 추천에 기인하였던 것이다.


2) 著述의 形式과 內容 :

이 책의 卷頭에는 緖言으로서 長篇의 論文이 실려 있다. 그 중에는 國語의 母音·子音·二重母音에 관한 意見을 논술하고, 다시 『韓國語法要綱』이라고 해서 動詞·形容詞·代名詞·名詞 등에 관한 所見도 진술했다. 그리고 제 7세기의 말경에 Syel chong (薛聰)이 Nido-Syllabary (吏讀文字)를 발명하고, 漢字를 그 뜻에 따랐으며, 그 音價에 쫓아서 응용했던 것을 논술했다. 스코트(Scott, James)는 "A Corean manual or phrase book with introductory grammar" (2nd, ed. 1893) pp.318∼319 에서도 같은 말을 술회하고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韓國의 言語 韓國人種은 어떤 系統의 人種에 속하는가』라는 項目을 設定해서 논했다. 첫째, 韓國의 漢字音은 中國語 및 中國文學의 發源地인 山東地方의 音을 가장 충실하게 받아들인 것 같고, 그래서 오늘의 中國方言 중 韓國音과 가장 가까운 것은 廣東省의 音인 것이다. 둘째로 韓國語가 어떠한 語族에 속하는가는 쉽게 대답하기 곤란한 문제이다. 어떤 사람은 韓國語가 印度의 드라비다語와 類似하다고 하나, 語源上 類似性이 없는 것을 다만 文法構成上의 어떤 類似點만을 가지고서 그 語系를 判斷할 수는 없다. 셋째로 日本語와 韓國語와는 그의 音節構成 및 語法構成上 의 類似性을 가지고 있다고 해서 同一根源이라고 판단해서는 안 된다. 아직 語根의 同源을 주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英語의 Many와 國語의 Mani 와 같은 우연의 일치가 있는 것을 십분 주의해야 한다.

일본어는 아주 간단한 膠着的性質을 가지고 있는데, 韓國語는 膠着과 曲尾와의 두 가지 性質이 있어 差異가 있다라는 要旨이다

以上과 같이 우리말의 드라비다語와의 類似性 問題를 一蹴하고서 어떠한 語族에 속하는지 쉽사리 확답할 수 없다고 했다. 그리고 우리 民族의 原住民은 滿洲의 中心에 있는 Sungari 江一松花江 上流에 있었으나 점차 南方으로 移動해서 半島를 占領하고 原住民을 征服·同化시킨 것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6. 韓英字典


게일(Gale, James Scarth)著. 1卷 橫濱. 京城耶蘇敎會, 光武 1년(1897),

서울大中央圖書館 心岳 李崇寧遺贈圖書 藏.

原書名 : A Korean-English Dictionary. : 한영믁뎐



1) 著 者 :

게일(Gale, James Scarth : 奇一)은 1863년 2월 19일에 캐나다 온타리오州 빌깅톤市에 스코틀랜드系 移民 집안에 태어났다. 1888년 6월 캐나다 토론토(Tor- onto)대학을 졸업하고, 그해 6월 25일 극동지구 한국 파견 선교사로 임명. 서울, 해주, 평양 등지에서 韓國語와 漢文, 韓國古典과 歷史를 배웠다. 한편 高宗 23년(1886) 儆新學校를 創立하고 高宗 26년(1889) 大韓聖書公會 번역위원, 高宗 28년(1891)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대한기독교서회 편집위원으로 있으면서 아펜젤러(Appenzeller)·언더우드(Underwood)등과 함께 성서의 한국어 번역과 저술을 하는 한편, 光武 7년(1903)에는 皇城基督靑年會를 창립하고, 光武 8年(1904) 李源兢·兪星濬 등을 도와 국민교육협회를 창립하게 했고, 王立亞細亞學會 韓國部會 幹事로 활동하는 등 1927년 한국을 떠날 때까지 한국학 연구의 선구자로서도 크게 공헌을 했다. 그의 가장 큰 업적은 尹致昊의 후원을 받아 성서를 번역한 것이다. 그의 대표적 저술은 다음과 같다.


英韓字典(A Korean-English Dictionary) 1 卷. (1168p.), 1897. 2版 1911.

3版 1931.

辭課指南(Korean Grammatical Forms) 1卷. (249p.), 1893. 再版(229p.)1903. 改訂版 3版 1916.

天路歷程(pilgrims progress) 1卷 (202p.), 1895. 再版 1910, 3版 1919.

4版 1926.

韓國語의 難解( Difficulties of Korea) Kor. Rep. IV. 1897. 論文임.

過渡期의 韓國(Korea in Transition) 1909.

朝鮮의 文字(The Korean Alphabet) 1912. 論文임.

朝鮮人物史(A History of Korean people) 1924∼27. (『The Korea

Missions Field』에 揭載)

이 밖에도 『聖經全書』(1929)·『韓國風俗誌』·『沈淸傳』·『興夫傳』·『漢陽誌』·『朝鮮結婚考』·『파고다公園考』·『金剛山誌』등 古典에 대한 英譯, 註釋 등에 관한 많은 단편적 발표들을 남기고 1934년에 별세했다.


2) 著述의 動機와 目的 :

初版의 머리말에서 저자는 이 [韓英字典]의 편저의 동기가 될만한 말을 하였다. 게일(Gale, James Scarth)선교사는 Giles의 한국어에 관한 견해에 대하여 논박하고, 당시 신빙할만한 사전이 없음을 유감으로 생각하여 한국인에게나 외국인들에게 한국말과 글을 읽고 배우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많은 어휘들을 수록하였다고 하였다.


3) 著述의 形式과 內容 :

初版은 光武 1년(1897) 요꼬하마(橫濱) 福音印刷所에서 出版하였다. 리델(Ridel)편의 『韓佛字典』에 의거하여 편찬된 것으로 내용은 2編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第1編은 韓英辭典(Korean-English Dictionary), 第2編은 漢英辭典(Chines- e-English Dictionary)으로 되어 있다. 第1編·韓英辭典은 이 책의 骨子를 이루는 부분으로 830페이지에 약 3만5천여의 단어를 종래의 諸辭典과 마찬가지로 알파벳 순으로 배열하였으나, 각 단어마다 漢字의 訓·母音의 長短·熟語·反對語·出典·動詞活用·方言·同義語·尊稱語 등 지금까지 없었던 辭典의 一大革新을 일으켰으며 뒤에 6페이지에 달하는 增補가 첨가되고 있다.


[ 보 기 ]


7 걱졍 s. 憂 (근심-*우) Anxiety ; uneasuness ; worry. See 근심.

33 *츌판폁다 s. 出版(날) (판쿁) To be ruined ; to be reduced to poverty. See 거판쿁다. Also 츌판나다.


第2編·漢英辭典은 1096 페이지로서 漢字 11, 110 單語를 第1編과 같은 순으로 배열하였다. 예를 들면 a 의 條 밑에 阿梠…… 등의 여러 가지 많은 같은 音의 漢字를 모으고, 한 字마다 거기에 대한 한국어를 붙이고 다시 英語의 譯語를 첨가했다. 附錄으로는 日本·中國·韓國의 年表(BC. 660∼1897년까지)·時候名·十干名·十二支名·數詞와 또 漢英辭典部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漢字의 劃引索引 등을 붙였다.

第2版은 1911년에 역시 橫濱 福音印刷所에서 刊行되었는데, 第2版은 初版을 訂正增補한 것이어서, 初版 보다 58페이지가 많은 1,154페이지이다. (本文 1113p. 附錄 帝國年代表 pp.1115∼1143. The sixty year cycle pp.1144∼1145. Explanation of the Hundred Year Calendar pp.1146∼1154.) 초판의 로마字母의 순서에 때라 어휘 배열을 하였다. 初版 第2編에 있었던 漢英辭典(Chinese-English Dictionary)을 없애고 처음부터 끝까지 한글 字母에 따라 모든 어휘를 수록하여 한국어 위주의 사전으로 개편하였다. 그리고 第2版에는 새로운 新語가 현저히 증가했으며, 初版의 緖言중에 있었던 Giles에 대한 공격문을 일체 削除했으며, 附錄으로 六十年曆·百年曆이 수록되어 있다.

第3版은 1923년의 日本 關東大地震災로 第2版의 原版이 없어져서, 다시 게일(Gale) 기타 여러사람들의 노력에 의해서 1931년에 京城, 朝鮮耶蘇敎會印刷所에서 第2版을 크게 修正增補하여 출판된 것이다. 朝鮮總督府 編의 『朝鮮語辭典』(京城 ; 大阪屋號商店, 1920. 983페이지)과 그 당시의 새로운 出版物에서 新語를 採集하여, 그 수록어휘 수도 약 8만 2천으로 增補하였고 페이지수도 第2版이 1,154페이지인데 비해 627페이지가 많은 1,781페이지로 늘었다. 그래서 第3版 書名도 『韓英大字典』(The Unabridged Korean-English Dictionary)으로 改名하였다. 그리고 第3版인 이 책의 卷頭에 보면, '1911년 5월 3일자로 서울에서 지음'이라고 第2版 간행에 대한 간단한 서문이 실려 있고, 다음에 1897년 1월 27일에 일본 요꼬하마에서 간행했던 初版 序文이 아울러 게재되어 있는데, 第3版 서문에서도 初版 序文에서 언급한 Giles의 견해에 대한 반박 대문은 빼버리고 실었다. 그리고 第3版에는 이 사전의 사용법에 관한 凡例로서, 이 사전의 쓰임에 있어 필요한 한글과 로마字와의 對照表라든지 記號·略字符號 등을 적었다. 또 漢字의 四聲과 吏讀에 관한 극히 간단한 언급도 빼놓지 않았다. 또 附錄으로 前版과 같이 韓國年代表·十干名·十二支名·六十年曆·百年曆을 英語로 설명을 곁들여서 실었다. 그리고 歷代王朝 및 王名 알파벳 순으로 배열한 歷代王名·圖表등이 있다.


4) 學究的 價値 :

한국어사전으로 1945년 이전 출판된 것들 중 어휘 수집 정리가 가장 잘 정돈된 사전이다. 그리고 한국 고유어와 漢字語를 가능한 한 많이 수록시켰을 뿐만 아니라 그 對比에서 뜻과 訓에까지 언급하고 이를 다시 영어로 해설을 하여 한 번에 韓·漢·英 對照辭典의 구실을 하게 하였다.


[ 보 기 ]


4 *츄풍락엽 s. 秋風落葉 (가을)(바람)( ㅓ러질)(닙) The falling leaves

in the autumn wind.

28 츌넝츌넝폁다. s. To rattle as water in a bottle. See 쉩낭쉩낭폁다.


또 人名·地名辭典을 겸할 수 있게 하였다.


죵셩 S. 鍾城 (쇠북)(재) A Prefect in Ham-Kyöngdo. Lat 42. 44'

Long. 129. 50'

리우 L. 李瑀 (오얏)(옥돌) F.S. 德水 N.P. 王山 Younger beother

of Yul-gok and a famous penman (필원).


그리고 方言과 近代語가 수록되어 현재 간행된 사전들에 빠진 어휘들이 여기에 많이 들어 있음은 주목할만한다.


킬鏡. S. In Consequence of ; because of ; Since-an ending Used

With Verbs in 타 See 키에.

봄뷔이 春刈草(봄-춘)(버힐예)(풀-초) Grass fuel, as cut in the spring.

당셷화 S. 堂靑花(나라)(푸를)() A blue dye imported from China.


과거의 사전들이 단순히 의미의 전달에 불과하였던 데서 벗어나 現代的 意味의 形式을 갖춘 가장 정비된 사전으로서 그 당시 가장 권위 있던 사전이다. 이 사전에 대하여 당시 선교사로서 이 보다 먼저 『英韓辭典』을 펴낸 바 있는 스코트(Scott, James)는,


……among all dictionaries of the Korean language the most Conspicuous Work is that of Dr. James S. Gale…… Whose Korean-English dictionary is a work marked by Painstaking and Scholarship. It Covers entire ground of the Korean Side of language and the more We have Used it the greater. has grown our Confidence in its accuracy and the Value ……

라고 말하였으며, 이것으로 보아도 가히 이 사전의 言語史的 價値를 짐작할 수 있다.


7. 佛韓字典


알레베끄(Al v que Charles) 著. 京城, 光武 5년(1901), 서울大學校

中央圖書館 藏.

原書名 : Petit Dictionnaire Francais-Cor en : 법한믁뎐.





1) 著述의 動機와 目的 :

高宗 23년 (1886) 韓佛修好通常條約의 체결과 함께 프랑스 선교사들의 포교활동이 자유롭게 되자, 전도사업에 가장 큰 장애가 되었던 언어의 장벽을 무너뜨리기 위하여 建陽 元年(1896) 1월에 京城 烞洞에 佛蘭西學校를 開設하였다. 개교 당시 교사는 마르텔(Marte, E.) 였고, 조선인 교사 1명이 있었다. 학생수는 17명(혹은 34명이라는 說도 있음)이었으나 개교한지 2년 후인 光武 2년(1898)에는 학생수가 100명으로 늘었다. 이 책은 당시 조선에 주재하고 있던 불란서인들에게 한국어를 습득시키고, 또 불란서어를 배우고 싶어하는 한국인들을 위해 편찬한 사전이라는 취지를 緖言에서 언급하고 있다.


2) 著述의 形式과 內容 :

이 책의 總頁數는 374페이지다. 辭典 고유의 부는 350페이지이고 부록이 24페이지이다. 배열은 알파벳순이며, 내용은 프랑스어를 기초로 해서 다음에 이것을 한국어로 번역하였고, 한국 발음을 불어로 병기해 주고 있다.


[ 보 기 ]


Voci pr p.

Voie n.t.

Voil pr p.

(Voil pourquoi

Voile n.m.

do. de deuil

do. de f'emme

Voiler v.t.


Voir v.t.

(L'avez-vous vu?


(Je ne l'ai pas vu

Voisin n.m.

do.

Voisin n.f.


Voisinage n.m.

Voiture n.f.

Voix n.f.

Vol n.m.

do. (oiseau)

Volage adj.


Volaille n.f.

Voler v.t.
보시오



이것보시오

이 ㅏ달그로



포션

쟝옷

둘으오…가리

우오

보오

그것슬부셧소


못보앗소

이웃집

이웃사람

이웃녜편네


이웃동鏡

수레…마차

음셩

도적질

날나감

변덕믷이


날즘꿷

도덕질폁오
Possio

Kil

Hikaute possio

Hikkatal keuro

Taute

Pfossaune

Tjiang hote

Toureuho . . Kari

houho

Poho

Keukausseul

possansso

Mote poasso

Hi houte tjipe

Hi houte sarame

Hi houte hiei

pfiaunei

Hi houte tong nai

Sourei . . Matcha

Heume seng

Totjauk tjil

Nalla kame

Piaune tauk

tjaing hi

Nal tjeume saing

Totjauk tjil h'aho




卷末에는 부록으로서 조선시대의 官廳名·朝鮮語 數詞 및 度量衡名·貨幣單位 등이 수록되어 있다. 이 책은 프랑스어를 기초로 하여 만든 유일한 『韓佛辭典』이다.


8. 英韓字典


죤스(Jones, George Heber)著. 東京 : 敎文館. 1914.

原書名 : An English-Korean Dictionary : 영한믁뎐.




1) 著 者 :

1867년에 出生. 1919년 別世, 미국의 선교사 감리교회에서 파견되어 한국교육사업에 종사했다. 高宗 24년 (1887)부터 光武 7년(1903)까지 朝鮮聖書敎會(조선성서공사 전신)회장 및 유니온 신학교장으로 있었으며, 光武 4년(1900) 6월 11일 서울에 Korea Branch of the Royal Asiatic Society를 창설하고 그 副會長을 역임, 隆熙 元年(1907)부터 1911년까지 감리교회 외국전도국에 근무했다.

저서로는 Korea Country and People (1907) ; English -Korean Dictionary of Scientific and Technical Terms (1901) 등이 있다.


2) 著述의 動機와 目的 :

緖言에서 著者는 과거 15년간을 회고하며, 한국사회에는 새로운 思潮가 일어나서 言語上에도 큰 영향을 미치었다. 리델(Ridel)의 『韓佛字典』이나 게일(Gale)의『英韓大字典』등은 거의 完備된 사전이기는 하나 거기에는 新語가 수록되어 있지 않은 것이 유감이라고 논술하고, 이 책의 편찬 목적은 주로 과학·철학·종교·법률·교육 등에 관한 新語를 수집하여 점차로 발전해 가는 新思潮에 상응하는 새 어휘에 대하여 알고자 하는 사람의 요구에 응하기 위한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다.


3) 著述의 形式과 內容 :

이 책의 총 페이지는 서문의 4페이지를 포함하여 395페이지고, 크기는 가로 22cm, 세로가 15cm이다. 그리고 編成은 辭典部 다음에 附錄을 싣고 있다

辭典部(1페이지∼212) 페이지에서는 5,086에 달하는 중요한 단어에 대하여 英文·한글·品詞·漢字 相當語의 순으로 배열하고 있다.

그리고 한 단어에 관계되는 모든 뜻을 한꺼번에 주어 日用語 文章語의 순으로 되어 있고 가능한 한 例文까지도 주고 있다.


[ 보 기 ]


76 Adolescence, n. 미셩년 (未成年)

77 Adopt, tv. (a son) 양믁폁다 (養子) : (a daughter) 양녀폁다 (養女) :

(a resolution) 가결폁다 (可決) : 쏡용폁다 (採用)


78 Adore, tv. (to reverence) 존슝폁다 (尊崇) : 존경폁다 (尊敬) : (profound

regard and affection) 쉷럡폁다 (寵愛)

79 Adulterer, n. 간부 (姦夫)

80 Adulteress, n. 간부 (姦婦)

81 Adultery, n. 간음(姦淫)

82 Advantage, n. (profit) 리익 (利益) : 유익 (有益) : (benefit) 효험 (效驗) :

(spiritual) 신익 (神益)

83 Advent, n. (of Christ) 강림 (降臨) : 강꿷 (降生) : 쟝림 (將臨) :

Second -- 구쥬믡림 (救主再臨)

First Sunday in -- 쟝림슈쥬일 (將臨首主日)


부록으로는 약 1만여의 항목의 韓國語索引을 붙여 거기에 대하는 英語漢語를 찾아볼 수 있도록 하여 주고 있다. 색인은 ㅏㅑㅓㅕㅗㅛㅜㅠㅡㅣㅂㅅㄷㄱㅎㄴㄹㅁㅍㅌㅈㅊ 순으로 독특하게 배열되어 있다.

이 책은 게일(Gale)의 『英韓字典』의 姉妹書로서 사실상 그 책으로부터 많은 도움을 받았으며, 單語의 선택은 日用語라기 보다는 文章이나 讀書에 사용되는 單語들이 더 수록되어 있어 平民들에게 보다는 소수의 학자들에게 많이 알려진 책이다. 이 책의 출판지는 동경이지만 표제지의 총판매처는 京城 鐘路 耶蘇敎書會로 되어 있다.





[ 韓國語索引 ]





앗기다



앙화

앙화

앙화



야회

야릇한

야료

야단

야만

야폷



야직

야학교

야쵸

야폷챠

야역

야심

야만이

야포韡

야꿷镢

야만镢

야금슐

야학교

야회

야연



560


1313

5022

2756



3116

3000

3770

3770

3388

2915

1913

2916

2917

2918

2919

2921

142

331

341

4992

3992

2694

3836

4084

4084
야ꏡ한

야단

야료

야학

야릇한

야이

야만의

야젼젼신

야회

야단



약한

약육강식

약례

약료

약방셔



약뎡셔

약질

약됴

약속

약속

약속폁다

약한

약한

약속



약속

약쇽

약쇽한
4671

4754

4754

4245

4251

4060

3818

4422

2415

1075



4946

4946

2654

2654

2654

2655

3466

3509

3252

3252

3430

3431

1439

4044

3251

3642

769

697

698
약됴

약韡



얄구즌

얄망구즌

얄망한



얌젼한

얌젼한



얏한

얏흔



양병

양꿷

양잠법

양부

양치

양구비

양국의

양입폁다

양지

양믁

양믁

양여폁다

양긔잇鏅

양위폁다
779

473



4251

4251

3000


3249

352



3964

2903



4910

3808

3942

1423

1423

1508

1823

2125

3085

4101

4172

4333

4872

7








IV. 結 語





以上에서 論述한 바와 같이『歐美語·韓國語對譯辭典』의 발생이 이웃 나라인 日本이나 中國 보다 늦어졌던 이유는, 당시 미국의 선교사며, 동양학자인 그리피스(Griffis, W.E.)의 유명한 歷史書인 『은둔의 나라』(Corea, the Hermit Nation)에서도 지적한 바와 같이 朝鮮時代 儒生들의 완고한 封建思想으로 인하여 外來文化의 수입을 극력 반대했었기 때문이다.

아직도 국내학계가 구시대의 학문으로 만족하고 있었을 때, 프랑스 선교사들에 의해, 西學의 물결이 굳게 닫혔던 防波堤를 넘어 서서히 흘러들어 왔던 것이다. 그러므로 開化의 前哨的 役割을 한 것은 바로 프랑스 선교사들이었다. 당시 프랑스 선교사들의 한국 선교에 대한 집념은 대단한 것이어서 그들의 굽히지 않은 意志는 먼 앞날을 바라보는 布敎의 가장 긴요한 수단의 하나인 문자와 언어의 절벽을 뚫기 위한 媒介로서 『韓佛字典』의 편찬으로 凝結됐었다. 그러나 당시의 西學 곧 天主學의 禁止와 선교사들에 대한 처절한 박해 때문에 결코 辭典 編纂은 용이하지가 않았다. 國內 敎徒의 도움으로 朝鮮에 잠입한 선교사들은 신도의 집에 은거하면서 한국어 학습과 어휘의 수집 및 정리를 하여 字典 原稿를 만들어 가지고 일본이나 중국으로 도망 다니며 인쇄 출판을 해야만 했었다.

선교사들에 의해 만들어진 이들 사전은 浩瀚한 전문학술적인 경향을 지니고 있고, 통속 간편한 편찬 방법은 아니기 때문에 근세 학문연구와 문화사 연구에 있어서도 귀중한 사료적 가치가 풍부하다. 그러나 필자는 본고에서『歐美語·韓國語對譯辭典』을 다만 그것을 開化期 産物로 해서 관찰하는데 그치지 않고 우리 근세 언어의 변천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고, 한국의 방언 연구에도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연구의 중점을 두었다. 근세 언어 연구에 있어서는 古辭書 이외의 다른 방법으로 해서 연구할 수도 있지만 辭典을 통해서 언어를 조사하여, 근대 언어문화사적 측면에서 考究해 보았다.

이 『歐美語·韓國語對譯辭典』은 서양 문법 체계의 도입인 동시에 국어 문법 연구상 한 構想期를 이루는 업적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들 사전들은 우리말과 서양어와의 직접적인 비교 대조를 보여준 실증이기도 하다. 이처럼 근대어 사전은 우리들의 손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 아니고 외국 선교사들에 의해서 이루어진 결과가 되었다. 그리고 이 시대 배경에서 행해진 그들의 근대적 연구는 신학술의 전초적 도입을 뜻하며, 동시에 그들의 소개는 逆으로 우리 문화의 수출이었다. 적건 많건 이 시기의 『歐美語·韓國語對譯辭典』의 대두는 근대화 과정에 있어서 적지 않는 자극과 영향을 미친 촉진제였던 것이다.

그런 면에서 볼 때, 한국을 근대사조로 끌어들이는 데 큰 역할을 한 것은 『歐美語·韓國語對譯辭典』의 공적이 아닌가 생각한다.

한편 『歐美語·韓國語對譯辭典』은 기독교사적 및 언어사적 가치 외에도 이들 사전은 우리나라 교육·문화·정치·사회 등 여러 분야에도 많은 공헌을 남겼다.

그리하여 解題에 있어서는 각 시대의 각종 『歐美語·韓國語對譯辭典』의 傳本을 연구자료로 해서 서지적 검토 및 언어의 변천과정을 조사하고, 아울러 그 학구적 가치 등을 조사해 보았다. 傳本을 구하지 못한 것은 이미 다른 서지학자들이나 언어학자들에 의해서 연구된 자료를 토대로 하였다. 한 가지 아쉬운 점은 본론에서 소개한 8種의『歐美語·韓國語對譯辭典』 이외에도 아직까지 세상에 알려지지 않은 채 어디엔가 묻혀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당시의 『歐美語·韓國語對譯辭典』 및 未定稿分을 하루 속히 찾아내어 이를 정리하는 일이다. 당초의 의도대로 되지 못한 것이 유감이다. 후일에 미비한 부분을 보충하고자 하며 先學諸賢의 叱正을 바랄 뿐이다.

2003.02.15.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