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정선전씨 옥천전씨 용궁전씨 조선시대 과거시험 문과 합격자는 몇 명입니까?
gold**** 조회수 14,659 작성일2011.06.10
정선전씨, 옥천전씨, 용궁전씨...등  과거시험 합격자는 몇 명 정도이고,  조선시대 문과급제자중에서 정선전씨 .....등의  공직이력에 대하여 알고 싶습니다.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2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abir****
초수
본인 입력 포함 정보

 

1. 전효우(全孝宇)

[문과]

세종(世宗) 29년(1447) 정묘(丁卯) 친시(親試) 정과 3등(丁科三等) 10위

[인적사항]

-본관 정선(旌善)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녹사(錄事) -관직 교리(校理) -관직 한림(翰林)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숙겸(全叔謙)

[조부]

성명 : 전오륜(全五倫)

[증조부]

성명 : 전분(全賁)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교리(校理)]

조선시대 집현전(集賢殿)·홍문관(弘文館)·승문원(承文院)·교서관(校書館) 등에 둔 정·종오품(正·從五品) 관직이다.

정원은 관청에 따라 달라서 교서관에는 1원을 두었으나, 집현전·홍문관·승문원에는 2원씩 배정하였다. 또 벼슬의 품계도 달라서 집현전·홍문관의 교리는 정오품(正五品) 관직이었으나, 승문원·교서관의 교리는 종오품(從五品) 관직이었다.

집현전교리(集賢殿校理: 正五品)는 1399년(정종 1)에 처음 설치되었으나 이름뿐이었다. 그 후 1420년(세종 2)에 세종이 집현전을 재건하면서 정원도 2원으로 늘어나고 기능도 강화되었으나 다시 집현전이 폐지되면서 교리도 없어졌다.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 正五品)는 1470년(성종 1)에 집현전의 성격을 계승한 홍문관이 설치되면서 2원으로 구성되어, 주로 문한(文翰)에 관련된 일을 담당하였다. 또 모두 동반(東班: 文官)을 임용하였고, 경연관(經筵官)·사관(史官)·지제교(知製敎)를 정례대로 겸임하였으며, 사헌부(司憲府)·사간원(司諫院)과 함께 삼사(三司)의 일원으로 간언(諫言) 활동에 참여하였다. 부교리(副校理: 從五品)·수찬(修撰: 正六品)·부수찬(副修撰: 從六品)과 함께 서벽(西壁)이라고 칭하여졌고, 통칭 옥당(玉堂)이라 불렸다.

승문원교리(承文院校理: 從五品)는 1409년(태종 9)에 고려의 문서응봉사(文書應奉司)가 조선시대에 들어와 개편, 강화하면서 처음 설치되었다. 다음해 문서응봉사는 승문원으로 개칭되고, 교리의 정원도 2원으로 늘어났다. 승문원은 외교문서 작성과 검토에 관한 일을 맡아 보았으나, 중종 이후 폐지되었다.

교서관교리(校書館校理: 從五品)는 1401년(태종 1)에 교서감을 교서관으로 개편하면서 새로 설치되었다. 주로 도서의 간행·향축(香祝)·인문(印文)의 필사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다. 교서관은 장관인 판교(判校: 正三品 堂下)가 다른 관원이 겸임하는 직책으로 중기 이후에는 폐지되었으므로 교서관의 실질적 책임자는 교리였다. 따라서 직무가 중요하고 복잡하였는데, 중기에는 겸교리 3원이 새로 배치되었다. 그러나 1750년(영조 26)에 들어와 2명으로 줄어들었고, 나중에 교서관이 규장각 외각으로 편입되면서는 겸교리 1명은 규장각 직각(直閣: 從六品∼正三品 堂下)이 겸임하였다. 관장 하에 분장(分掌)으로 책색(册色)과 수포색(收布色)이 있었다.

-----------------------------------------------------------------------------

 

2. 전공간(全公侃)

[문과]

중종(中宗) 12년(1517) 정축(丁丑) 별시(別試) 3등(三等) 13위

[인적사항]

-자 낙숙(樂叔) -본관 정선(旌善)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관직 부사(府使)

-승정원 주서(注書)에 발탁되었다.

- 1531년(중종 26) 울진군수를 지냈으며,

- 개성판윤(開城判尹)·함흥판관(咸興判官)·강동현령(江東縣令)·평산부사(平山府使) 등을 지냈다. -그 후 호조(戶曹)·형조(刑曹)·병조(兵曹) 및 이조정랑(吏曹正郞) 등을 역임하였다.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성명(全性命)

[외조부]

성명 : 권송(權悚)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부사(府使)]

조선시대 지방(地方) 관직(官職)의 하나이다. 정원은 1원이다.

고려시대에 개성부(開城府)와 지사부(知事府)의 수령을 부사라고 했으며, 조선시대에는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正三品)와 도호부사(都護府使: 從三品)를 일컫는 말이다. 경주(慶州)와 같이 정이품(正二品) 관직을 두던 부(府)의 수령(守令)은 부사(府使)라 하지 않고 부윤(府尹)이라고 하였다.

도호부사의 줄임말이기도 하지만 도호부는 부와는 다른 행정구역이므로 엄밀하게 말하자면 지사부의 장관이다. 특히 조선시대의 도호부사는 부사로 약칭되기도 했는데 이것도 역시 도호부의 사(使)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엄밀한 의미에서 부사는 고려에만 존재한 것이라 할 수 있다.

[별칭]

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도호부사(都護府使) 

[이조정랑(吏曹正郞) ]
조선시대 이조(吏曹)에 둔 정오품(正五品) 관직으로 정원은 2원이다. 위로 이조판서(吏曹判書: 正二品), 이조참판(吏曹參判: 從二品), 이조참의(吏曹參議: 正三品 堂上) 각 1원이 있고, 아래로 이조좌랑(吏曹佐郞: 正六品) 2원이 있다. 이미 사품관(四品官)에 오른 사람은 정랑을 제수(除授) 받을 수 없었으며, 이조정랑을 지낸 사람은 이조좌랑을 제수 받을 수 없었다. 정랑의 관장 하에 문선사(文選司), 정색(政色), 제향색(祭享色), 고공색(考工色), 고훈사(考勳司), 노직색(老職色), 공명색(空名色) 등의 분장(分掌)이 있었다.

정랑은 육조의 실무를 관장하여 청요직(淸要職)으로 간주되었으며, 특히 이조·병조의 정랑은 좌랑과 함께 인사행정을 담당하여 전랑(銓郞)이라고 하였다. 또한 이들은 삼사(三司) 관직의 임명동의권인 통청권(通淸權)과 자신의 후임자를 추천할 수 있는 재량권이 있어 권한이 막강했으며, 이로 인해 붕당의 폐단을 낳기도 하였다.

[별칭]

낭청(郞廳), 낭관(郞官), 조랑(曹郞), 전랑(銓郞)

[참고문헌]《대전회통(大典會通)》

----------------------------------------------------------------------------- 

 

3. 전의채(全義采)

[문과]

영조(英祖) 20년(1744) 갑자(甲子)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2위

[인적사항]

-자 관도(貫道) -생년 경인(庚寅) 1710년 -합격연령 35세 -본관 정선(旌善)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관직 현감(縣監)

[가족사항]

[부]

성명 : 전흥벽(全興璧)

[조부]

성명 : 전익제(全翊濟)

[증조부]

성명 : 전내성(全乃性)

[외조부]

성명 : 서우적(徐禹績)

[처부]

성명 : 김만벽(金萬璧)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현감(縣監)]

조선시대 동반(東班) 종육품(從六品) 외관직(外官職)으로 정원은 138원인데 후기에는 122원으로 줄었다. 부윤(府尹: 從二品)·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正三品)·목사(牧使: 正三品)·도호부사(都護府使: 從三品)·군수(郡守: 從四品)·현령(縣令: 從五品)과 같이 각도 관찰사(觀察使: 從二品)의 관할(管轄) 하에 있었다.

1413년(태종 13) 지방제도 개혁 때 감무(監務)를 현감(縣監: 從六品)으로 개칭했다. 이로써 현의 수령으로 현령과 현감을 두게 되었다. 당시 지방의 말단기관장인 역(驛)의 찰방(察訪: 從六品)과 동격인, 지방수령으로서는 가장 낮은 관직이었다. 경국대전에 법제화되어 대한제국까지 이어졌다. 군직으로는 절제도위(節制都尉)를 겸하였다.

현감(縣監)을 두었던 현을 각 도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경기도(京畿道)에는 통진(通津: 도호부사로 승격)·죽산(竹山: 도호부사로 승격)·시흥(始興: 현령으로 승격)·지평(砥平)·과천(果川)·음죽(陰竹)·양성(陽城)·양지(陽智)·교동(喬桐: 도호부사로 승격)·교하(交河: 군수로 승격)·가평(加平: 군수로 승격)·포천(抱川)·적성(積城)·연천(漣川)이 있었다.

충청도(忠淸道)에는 보은(報恩: 군수로 승격)·제천(堤川)·직산(稷山)·회인(懷仁)·연풍(延豊)·음성(陰城)·청안(淸安)·진천(鎭川)·목천(木川)·영춘(永春)·영동(永同)·황간(黃澗)·청산(靑山)·대흥(大興: 군수로 승격)·덕산(德山: 군수로 승격)·홍산(鴻山)·평택(平澤)·정산(定山)·청양(靑陽)·은진(恩津)·회덕(懷德)·진잠(鎭岑)·연산(連山)·노성(魯城)·부여(扶餘)·석성(石城)·비인(庇人)·남포(藍浦)·결성(結城)·보령(保寧)·해미(海美)·당진(唐津)·신창(新昌)·예산(禮山)·전의(全義)·연기(燕岐)·아산(牙山)이 있었다.

경상도(慶尙道)에는 인동(仁同: 도호부사로 승격)·하양(河陽)·용궁(龍宮)·봉화(奉化)·청하(淸河)·언양(彦陽)·진보(眞寶)·현풍(玄風)·군위(軍威)·비안(比安)·의흥(義興)·신령(新寧)·예안(禮安)·연일(延日)·장기(長鬐)·영산(靈山)·창령(昌寧)·기장(機長)·자인(慈仁: 인조 15년에 신설)·영양(영양: 肅宗 2년에 신설)·거창(居昌: 도호부사로 승격)·하동(河東: 도호부사로 승격)·개령(開寧)·삼가(三嘉)·의령(宜寧)·칠원(漆原)·진해(鎭海)·문경(聞慶)·함창(咸昌)·지례(知禮)·안의(安義: 安陰)·고령(高靈)·산청(山淸: 山陰)·단성(丹城)·사천(泗川)·웅천(熊川)이 있었다.

전라도(全羅道)에는 무주(茂朱: 도호부사로 승격)·광양(光陽)·옥과(玉果)·남평(南平)·구례(求禮)·곡성(谷城)·운봉(雲峰)·임실(任實)·장수(長水)·진안(鎭安)·동복(同福)·화순(和順)·흥양(興陽)·장성(長城: 선조 33년에 珍原縣을 編入하고 도호부사로 승격)·대정(大靜: 군수로 승격)·정의(旌義: 군수로 승격)·용안(龍安)·함열(咸悅)·부안(扶安)·함평(咸平)·강진(康津)·고산(高山)·태인(泰仁)·옥구(沃溝)·흥덕(興德)·정읍(井邑)·고창(高敞)·무장(茂長)·무안(務安)·해남(海南)이 있었다.

황해도(黃海道)에는 토산(兎山)·장연(長淵)·장련(長連)·송화(松禾)·강령(康翎)·은율(殷栗)이 있었다.

강원도(江原道)에는 이천(伊川: 도호부사로 승격)·평강(平康)·금화(金化)·낭천(狼川)·홍천(洪川)·양구(楊口)·인제(麟蹄)·횡성(橫城)·안협(安峽)이 있었다.

함경도(咸鏡道)에는 홍원(洪原)·이원(利原: 利城)·길주(吉州: 吉城縣, 牧使로 승격). 명천(明川: 도호부사로 승격)이 있었다.

평안도(平安道)에는 양덕(陽德)·맹산(孟山)·태천(泰川)·강동(江東)·은산(殷山)이 있었다.

-----------------------------------------------------------------------------

 

4. 전백령(全栢齡)

[문과]

영조(英祖) 41년(1765) 을유(乙酉)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6위

[인적사항]

-자 덕노(德老) -생년 을유(乙酉) 1705년 -합격연령 61세 -본관 정선(旌善)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이원(全爾源)

[생부]

성명 : 전이만(全爾晩)

[조부]

성명 : 전성용(全性容)

[증조부]

성명 : 전언종(全彦宗)

[외조부]

성명 : 함영득(咸榮得)

[처부]

성명 : 양영선(梁英善)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수정일 수정내역

2005-11-30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을 저본으로 최초 등록하였습니다.

-----------------------------------------------------------------------------

 

5. 전좌천(全佐天)

[문과]

영조(英祖) 44년(1768) 무자(戊子)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4위

[인적사항]

-자 자성(子性) -생년 신유(辛酉) 1741년 -합격연령 28세 -본관 정선(旌善)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익초(全翼初)

[조부]

성명 : 전응삼(全應參)

[증조부]

성명 : 전운만(全雲萬)

[외조부]

성명 : 길대욱(吉大郁)

[처부]

성명 : 강계성(康繼成)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

 

6. 전도해(全道海)

[문과]

순조(純祖) 19년(1819)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위

[인적사항]

-생년 기해(己亥) 1779년 -합격연령 41세 -본관 정선(旌善) -거주지 순안(順安)

[음관] 음관(蔭官)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성행(全聖行)

[조부]

성명 : 전치의(全致義)

[증조부]

성명 : 전천리(全天理)

[외조부]

성명 : 김운추(金運秋)

[출전]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奎貴11655])

-----------------------------------------------------------------------------

 

7. 전영덕(全永悳)

[문과]

고종(高宗) 25년(1888) 무자(戊子)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6위

[인적사항]

-생년 계유(癸酉) 1873년 -합격연령 16세 -본관 정선(旌善) -거주지 박천(博川)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용구(全龍九)

[조부]

성명 : 전세정(全世貞)

[증조부]

성명 : 전응리(全膺履)

[외조부]

성명 : 강인겸(姜仁謙)

[출전]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奎貴11655])

-----------------------------------------------------------------------------

 

8. 전재덕(全在悳)

[문과]

고종(高宗) 30년(1893) 계사(癸巳) 정시(庭試) 병과(丙科) 11위

[인적사항]

-생년 신유(辛酉) 1861년 -합격연령 33세 -본관 정선(旌善) 거주지 북청(北靑)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상윤(全尙潤)

[출전]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奎貴11655])

-----------------------------------------------------------------------------

 

9. 전세록(全世祿)

[문과]

숙종(肅宗) 5년(1679) 기미(己未)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6위

[인물요약]

자 영수(永受) -생년 경진(庚辰) 1640년 -합격연령 40세 -본관 강릉(江陵)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관직 전적(典籍)

[가족사항]

[부]

성명 : 전문도(全文道)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전적(典籍)]

조선시대 성균관(成均館)에 둔 정육품(正六品) 관직으로 정원은 13원이다.

위로 지사(知事: 正二品)가 1원으로 대제학(大提學)이 정례대로 겸직하며, 동지사(同知事: 從二品) 2명, 대사성(大司成: 正三品), 좨주(祭酒: 正三品), 사성(司成: 從三品) 각 1원, 사예(司藝: 正四品) 2원, 사업(司業: 正四品) 1원, 직강(直講: 正五品) 4원이 있고, 아래로 박사(博士: 正七品), 학정(學正: 正八品), 학록(學錄: 正九品), 학유(學諭: 從九品) 각 3원씩 있다. 대사성 이하 성균관에 소속된 관원을 총칭하여 관직(館職)이라고 하였다.

조선건국 직후 성균관의 직제는 고려시대의 직제가 그대로 이어졌으며, 전부(典簿: 正六品) 1원을 두었다. 1401년(태종 1) 7월 직제의 일부가 개정되어 전부를 주부(主簿: 正六品)로 개칭하였다. 1466년(세조 12) 1월 관제개혁 때 주부를 전적(典籍)으로 바꾸면서 정원이 13원으로 증원되었고, 전적은 도적(圖籍)의 수장(收藏)과 출납·관리의 일을 맡았다. 전적의 관장 하에 성균관의 분장(分掌)인 추쇄색(推刷色)과 공방(工房)이 있었다.

종학(宗學)의 전훈(典訓: 正五品) 이하를 사예(司藝: 正四品)·직강(直講: 正五品)·전적이, 경국대전에는 양현고(養賢庫)의 주부를 전적이, 사학(四學)에서는 전적 이하 20명이 사학훈도(四學訓導)를 겸하고 있는 것 등으로 보아 겸직이 많았다. 대전회통에서는 정원의 4원이 승문원의 참외관(參外官: 從八品)이 겸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

 

10. 전흡(全洽)

[문과]

인조(仁祖) 24년(1646) 병술(丙戌)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9위

[인적사항]

-자 사윤(士潤) -생년 경술(庚戌) 1610년 -합격연령 37세 -본관 경주(慶州)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관직 찰방(察訪)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일성(全一誠)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

 

11. 전한(全翰)

[문과]

중종(中宗) 12년(1517) 정축(丁丑) 별시(別試) 3등(三等) 8위

[인적사항]

-자 문경(文卿) -호 경재(敬齋) -생년 무신(戊申) 1488년 -합격연령 30세 -본관 경산(慶山)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관직 목사(牧使)

[가족사항]

[부]

성명 : 전희(全禧)

[조부]

성명 : 전은로(全殷輅)

[증조부]

성명 : 전을규(全乙奎)

[외조부]

성명 : 윤▣▣(尹▣▣)

[처부]

성명 : 염▣▣(廉▣▣)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목사(牧使)]

조선시대 관찰사(觀察使) 밑에서 각 목(牧)을 다스리던 정삼품(正三品) 동반 외관직(外官職)이다. 목은 큰 도(道)와 중요한 곳에 두었는데, 왕실과 관계가 있는 지방은 작더라도 목으로 승격시켰다.

경기도(京畿道)에 3원[여주(驪州)·파주(坡州)·양주(楊州)], 충청도(忠淸道)에 4원[충주(忠州)·청주(淸州)·공주(公州)·홍주(洪州)], 경상도(慶尙道)에 3원[상주(尙州)·진주(晉州)·성주(星州)], 전라도(全羅道)에 4원[나주(羅州)·광주(光州)·제주(濟州)·능주(綾州)], 강원도(江原道)에 1원[원주(原州)], 황해도(黃海道)에 2원[황주(黃州)·해주(海州)], 함경도(咸鏡道)에 1원[길주(吉州)], 평안도(平安道)에 2원[안주(安州)·정주(定州)] 등 모두 20원을 두었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

 

12. 전헌(全獻)

[문과]

중종(中宗) 17년(1522) 임오(壬午)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위

[인적사항]

-자 징지(徵之) -본관 경산(慶山)

[이력사항]

-전력 생원(生員) -관직 성균관권지(成均館權知)

[가족사항]

[부]

성명 : 전희(全禧)

[조부]

성명 : 전은로(全殷輅)

[증조부]

성명 : 전을규(全乙奎)

[외조부]

성명 : 윤▣▣(尹▣▣)

[제]

성명 : 전한(全翰)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

 

13. 전응창(全應昌)

[문과]

선조(宣祖) 5년(1572) 임신(壬申) 춘당대시(春塘臺試) 병과(丙科) 5위

[인적사항]

-자 성지(成之) - 생년 기축(己丑) 1529년 -합격연령 44세 -본관 경산(慶山) -거주지 미상(未詳)

[생원진사시]

명종(明宗) 13년(1558) 무오(戊午)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28위

[이력사항]

-전력 생원(生員) -관직 충청도사(忠淸都事)

-타과 명종(明宗) 13년(1558) 무오(戊午) 생원시(生員試)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순(全珣)

[제]

성명 : 전경창(全慶昌)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도사(都事) ]

① 조선시대 중앙과 지방 관청에서 사무를 담당한 관직이다. 해당 관서는 다음과 같다.

충훈부(忠勳府)·의빈부(儀賓府)·중추부(中樞府)·충익부(忠翊府)·개성부(開城府)·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에 두었던 종오품(從五品) 관직이다.

충훈부도사(忠勳府都事)는 1원으로 공신(功臣) 자손 중에서 차출(差出)하고, 대신당상(大臣堂上)이 있으면 자벽(自辟)하였다. 도사의 관장 하에 공방(工房)·노비색(奴婢色)·녹색(祿色)·상하색(上下色)·충익색(忠翊色)의 분장이 있었다. 의빈부도사(儀賓府都事)는 1원으로 그 관장 하에 노비색과 공방의 분장이 있었다. 중추부도사(中樞府都事)는 1원, 충익부도사(忠翊府都事)는 2원이었으나, 후에 충익부는 충훈부에 병합(倂合)되었다. 도총부도사는 6원이었다.

② 의금부(義禁府)의 한 벼슬로서 처음에 종오품이었으나, 후에 종육품(從六品)과 종팔품(從八品) 또는 종구품(從九品)으로 나누어졌다. 종육품 도사는 참상도사(參上都事: 經歷)라 하여 5원 중 1인은 무신(武臣) 중에서 차출(差出)하여 45일 출관(出官)하고 90일에 면신(免新)하였으며, 선생자제(先生子弟)는 10일을 감하였다. 종팔품도사는 참하도사(參下都事)로서 5원이며 삼삭(三朔)에 출관(出官)하고, 육삭(六朔)에 면신하였으며, 선생자제는 일삭(一朔)을 감하였다.

③ 오부(五部)의 종구품 관직으로 중부(中部)·동부(東部)·남부(南部)·서부(西部)·북부(北部)에 각 1원씩 있어서 시체(屍體)의 검험(檢驗), 도로(道路)·교량(橋梁)·반화(頒火)·금화(禁火)·제처(諸處)의 수리(修理)·청소(淸掃) 등을 맡아보았다.

④ 팔도(八道) 감영(監營)의 종오품 관직으로 감사(監司: 觀察使, 從二品)의 다음 관직이며 정원은 1원이다. 지방관리(地方官吏)의 불법(不法)을 규찰(糾察)하고 과시(科試)를 맡아보았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

 

14. 전경창(全慶昌)

[문과]

선조(宣祖) 6년(1573) 계유(癸酉)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3위

[인적사항]

-자 계하(季賀) -생년 임진(壬辰)1532년 -합격연령 42세 -본관 경산(慶山) -거주지 미상(未詳)

[생원진사시]

명종(明宗) 10년(1555) 을묘(乙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13위

[이력사항]

-전력 진사(進士) -관직 헌납(獻納)

-타과 명종(明宗) 10년(1555) 을묘(乙卯) 진사시(進士試)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순(全珣)

[형]

성명 : 전응창(全應昌)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헌납(獻納)]

조선시대 사간원(司諫院)의 정오품(正五品) 관직으로 정원은 1원이다. 위로 대사간(大司諫: 正三品 堂上), 사간(司諫: 從三品) 각 1원이 있고, 아래로 정언(正言: 正六品) 2원이 있다.

1401년(태종 1)에 국초(國初)부터 있었던 문하부(門下府)의 낭사 벼슬인 보궐(補闕: 正五品)을 고친 이름이다. 문하부가 의정부(議政府)로 흡수되고 낭사가 사간원으로 독립할 때 보궐을 헌납이라고 하였다. 처음에 좌·우헌납 각 1명을 두었으나 후에 1명으로 줄였다.

간관으로서 국왕에 대한 간쟁(諫諍)과 봉박(封駁)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실제 임무는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간원의 다른 관료 및 사헌부(司憲府)·홍문관(弘文館)의 관료와 함께 간쟁·탄핵·시정(時政)·인사 등에 대한 언론과 경연(經筵)·서연(書筵)의 참여 및 인사 문제와 법률 제정에 대한 서경권(署經權), 국문(鞫問) 및 결송(決訟) 등에 참여하였다.

[별칭]

보궐(補闕), 납언(納言)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

 

15. 전성준(全聖準)

[문과]

숙종(肅宗) 7년(1681) 신유(辛酉)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0위

[인적사항]

-자 중식(仲式) -생년 정유(丁酉) 1657년 -합격연령 25세 -본관 나주(羅州)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관직 사예(司藝)

[가족사항]

[부]

성명 : 전기정(全氣正)

[제]

성명 : 전성신(全聖臣)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사예(司藝)]

조선시대 성균관(成均館)의 정사품(正四品) 관직으로 정원은 2원이다. 유생들에게 음악(音樂) 지도를 맡은 벼슬로 처음에 악정(樂正)이라고 하였다. 위로 지사(知事: 正二品)가 1원으로 대제학(大提學)이 정례대로 겸직하며, 동지사(同知事: 從二品) 2원, 대사성(大司成: 正三品), 좨주(祭酒: 正三品), 사성(司成: 從三品) 각 1원이 있고, 아래로 사업(司業: 正四品) 1원, 직강(直講: 正五品) 4원, 전적(典籍: 正六品) 13원, 박사(博士: 正七品), 학정(學正: 正八品), 학록(學錄: 正九品), 학유(學諭: 從九品) 각 3원이 있다. 대사성 이하 성균관에 소속된 관원을 총칭하여 관직(館職)이라고 하였다.

국초에 정원은 2원, 정사품으로 승격되면서 1401년(태종 1)에 3원으로 늘어났다. 1658년(효종 9)에 좨주(祭酒: 正三品 堂上) 1원을 성균관에 따로 설치하면서 정원이 2원으로 되었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

 

16. 전여초(全汝初)

[문과]

숙종(肅宗) 19년(1693) 계유(癸酉) 개성정시(開城庭試) 병과(丙科) 1위

[인적사항]

-자 택삼(宅三) -생년 임신(壬申) 1632년 -합격연령 62세 -본관 나주(羅州)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관직 교수(敎授)

[가족사항]

[부]

성명 : 전경(全暻)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교수(敎授)]

조선시대 종육품(從六品) 잡직(雜職) 기술직이다. 해당 관서와 정원은 다음과 같다.

① 개성부(開城府)에 1원으로 유수(留守)가 계차(啓差)하였고, 호조(戶曹)에는 산학교수(算學敎授)·겸교수(兼敎授) 각 1원, 형조(刑曹)에는 율학교수(律學敎授)·겸교수 각 1원, 관상감(觀象監)에는 천문학교수(天文學敎授)·지리학교수(地理學敎授) 각 1원과 겸교수 3원, 전의감(典醫監)에는 의학교수(醫學敎授) 1원, 치종청(治腫廳)에는 최고 관직으로 임명된 지 45개월이 되면 6품으로 올라갔으며 정원은 1원, 혜민서(惠民署)에는 의학교수 1원, 사역원(司譯院)에는 한학교수(漢學敎授)·겸교수 각 2원, 도화서(圖畵署)에는 교수(敎授)·겸교수 각 1원, 사학(四學: 中學·東學·南學·西學)에는 겸교수 각 1원이 있었다.

② 향교(鄕校)의 지도(指導)를 위하여 지방의 부(府)·목(牧)에 두어 유생(儒生)을 가르쳤으며, 경기도(京畿道)에 11원, 충청도(忠淸道) 4원, 경상도(慶尙道) 12원, 전라도(全羅道) 8원, 황해도(黃海道) 6원, 강원도(江原道) 7원, 함경도(咸鏡道) 13원, 평안도(平安道) 11원이 있었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

 

17. 전성신(全聖臣)

[문과]

숙종(肅宗) 31년(1705) 을유(乙酉)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1위

[인적사항]

-자 중보(仲輔) -생년 갑진(甲辰) 1664년 -합격연령 42세 -본관 나주(羅州)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관직 현감(縣監)

[가족사항]

[부]

성명 : 전기영(全氣英)

[생부]

성명 : 전기정(全氣正)

[조부]

성명 : 전영(全濚)

[형]

성명 : 전성준(全聖準)

-----------------------------------------------------------------------------

 

18. 전성택(全聖澤)

[문과]

경종(景宗) 1년(1721) 신축(辛丑)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11위

[인적사항]

-생년 경신(庚申) 1680년 -합격연령 42세 -본관 나주(羅州)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품계 통덕랑(通德郞) -관직 찰방(察訪)

[가족사항]

[부]

성명 : 전기정(全氣正)

[형]

성명 : 전성준(全聖準)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통덕랑(通德郞)]

조선시대 정오품(正五品) 동반(東班) 문관(文官)에게 주던 품계(品階)이다. 정오품의 상계(上階)로서 통선랑(通善郞)보다 상위 자리이다. 1392년(태조 1) 문산계가 제정된 이후로 문관에게만 주다가, 대전회통(大典會通)에서는 종친(宗親: 임금의 4대손까지의 친족)에게도 이 품계를 주었다.

해당 관직으로는 종친부(宗親府)의 령(令)·전부(典簿), 의정부(議政府)의 검상(檢詳), 육조(六曹)의 정랑(正郞), 규장각(奎章閣)의 직각(直閣), 사헌부(司憲府)의 지평(持平), 장례원(掌隷院)의 사의(司議), 사간원(司諫院)의 헌납(獻納), 경연청(經筵廳)의 시독관(侍讀官), 홍문관(弘文館)의 교리(校理),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의 문학(文學)·겸문학(兼文學), 세손강서원(世孫講書院)의 좌권독(左勸讀)·우권독(右勸讀), 성균관(成均館)의 직강(直講), 춘추관(春秋館)의 기주관(記注官), 통례원(通禮院)의 찬의(贊儀), 상의원(尙衣院)·군기시(軍器寺)·수성금화사(修城禁火司)·전함사(典艦司)·전연사(典涓司)·예빈시(禮賓寺)·전설사(典設司)의 별좌(別坐), 종학(宗學)의 전훈(典訓), 내수사(內需司)의 전수(典需), 장생전(長生殿)의 낭청(郞廳) 등이 있었다.

직각, 시독관, 기주관, 전훈은 모두 예겸(例兼) 하였다. 처(妻)에게는 공인(恭人)의 작호(爵號)가 주어졌다.

[찰방(察訪)]

조선시대 각 도(道)의 역참(驛站)을 관장하던 문관(文官) 종육품(從六品) 외관직(外官職)이다.

서울을 중심으로 각 지방에 이르는 중요한 도로에 마필(馬匹)과 관명(官員)을 두어, 공문서(公文書)를 전달하고 공용여행자(公用旅行者)에게 숙소제공·마필공급 등 편리를 도모하는 기관(機關)을 역참이라 하였는데, 약간의 역참(驛站)을 1구(區)로 하여 이를 역도(驛道)라 칭하고, 그 구간의 마정(馬政)을 맡아보는 관직(官職)을 마관(馬官)이라 하여, 교통로(交通路)를 이용하여 정보수집(情報蒐集)도 하였는데 고려 후기부터 역승(驛丞)이라고 하다가 1535년(중종 30)부터 찰방(察訪)이라고 개칭하였다.

경국대전에 보면 조선 초기 전국에 23명의 찰방과 18명의 역승(驛丞)을 두어 총 537역을 관장케 했는데, 1535년(중종 30)에는 역승을 없애고 전국의 큰 역에 40명의 찰방을 두고 이를 찰방역이라 하였다.

경기도(京畿道)에 6원, 충청도(忠淸道)에 5원, 경상도(慶尙道)에 11원, 전라도(全羅道)에 6원, 황해도(黃海道)에 3원, 강원도(江原道)에 4원, 함경도(咸鏡道)에 3원, 평안도에 2원을 두었다. 작은 역에는 역장을 두어 찰방이 이를 관장하였는데, 중요한 요소에는 겸찰방(兼察訪) 12원을 두어 찰방의 비행(非行)을 감시하게 하였다.

-----------------------------------------------------------------------------

 

19. 전명조(全命肇)

[문과]

영조(英祖) 16년(1740) 경신(庚申) 개성별시(開城別試) 갑과(甲科) 1[장원(壯元)]위

[인적사항]

-자 품초(稟初) -생년 경오(庚午) 1690년 -합격연령 51세 -본관 나주(羅州) -거주지 미상(未詳)

[생원진사시] 영조(英祖) 11년(1735) 을묘(乙卯) 증광시(增廣試) 생원 3등(三等) 27위

[이력사항]

-전력 생원(生員) -관직 장령(掌令)

-타과 영조(英祖) 11년(1735) 을묘(乙卯) 생원시(生員試)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성준(全聖準)

[조부]

성명 : 전기정(全氣正)

[증조부]

성명 : 전종유(全宗裕)

[외조부]

성명 : 이직(李溭)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장령(掌令)]

조선시대 사헌부(司憲府)의 정사품(正四品) 관직으로 정원은 2원이다. 감찰(監察) 업무를 담당하였다.

1401년(태종 1)에 시사(侍史)를 고친 이름으로 장헌시사(掌憲侍史)라 하고, 대사헌(大司憲: 從二品) 이하 집의(執義: 從三品)·장령·지평(持平: 正五品)까지의 사헌부 소속의 관원을 통칭 대관(臺官)이라고 하였으며, 또 장령과 지평을 별칭 대장(臺長)이라고 하였으며, 학문(學問)과 덕행(德行)이 뛰어나 이조(吏曹)에서 대관(臺官)으로 추천(推薦)된 사람을 남대(南臺)라고 하였다.

모든 대관은 사헌부의 청환직(淸宦職)으로, 문과 급제자 중 청렴 강직하여 시류에 영합하지 않고, 옳다고 믿는 바를 굽히지 않고 직언할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하므로, 승문원(承文院), 성균관(成均館), 홍문관(弘文館) 등을 거친 젊고 기개가 있는 인재들이 임명되었는데, 그만큼 직무가 막중하기 때문이었다. 이조(吏曹)의 전랑(銓郞)과 함께 전 조선시대의 사족사회(士族社會)의 틀을 지탱하는 역할을 하였다.

[별칭]

시사(侍史), 사헌시사(司憲侍史), 장헌시사(掌憲侍史), 대장(臺長)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

 

20. 전석구(全錫九)

[문과]

고종(高宗) 16년(1879)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8위

[인적사항]

-생년 계묘(癸卯) 1843년 -합격연령 37세 -본관 나주(羅州) -거주지 영변(寧邊)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인하(全寅夏)

[조부]

성명 : 전국령(全國翎)

[증조부]

성명 : 전창원(全昌元)

[외조부]

성명 : 이윤복(李允馥)

[출전]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奎貴11655])

-----------------------------------------------------------------------------

 

21. 전순인(全舜仁)

[문과]

중종(中宗) 14년(1519)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1위

[인적사항]

-자 원경(元卿) -본관 미상(未詳)혹은  정선(旌善).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관직 목사(牧使)

-1528년(중종 23)에 사헌부지평(司憲府持平)을 역임하였다.

-승문원교리(承文院校理)로 있을 때는 서장관(書狀官)으로 두 차례나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금으로 주조한 향로를 선물로 하사받았다.

-그 후 풍천(豊川)·정선(旌善)·원주(原州)·청풍(淸風) 등의 수령을 지냈으며,

-춘추관기사관 지제교(春秋館記事官 知製敎)·

-성균관 사성(成均館司成)·군자감정(軍資監正)을 역임하였다.

[가족사항]

통덕랑(通德郞) 전계현(全繼賢)의 아들이다.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목사(牧使)]

조선시대 관찰사(觀察使) 밑에서 각 목(牧)을 다스리던 정삼품(正三品) 동반 외관직(外官職)이다. 목은 큰 도(道)와 중요한 곳에 두었는데, 왕실과 관계가 있는 지방은 작더라도 목으로 승격시켰다.

경기도(京畿道)에 3원[여주(驪州)·파주(坡州)·양주(楊州)], 충청도(忠淸道)에 4원[충주(忠州)·청주(淸州)·공주(公州)·홍주(洪州)], 경상도(慶尙道)에 3원[상주(尙州)·진주(晉州)·성주(星州)], 전라도(全羅道)에 4원[나주(羅州)·광주(光州)·제주(濟州)·능주(綾州)], 강원도(江原道)에 1원[원주(原州)], 황해도(黃海道)에 2원[황주(黃州)·해주(海州)], 함경도(咸鏡道)에 1원[길주(吉州)], 평안도(平安道)에 2원[안주(安州)·정주(定州)] 등 모두 20원을 두었다.

[군자감정(軍資監正) ]
조선시대 군량미 등 군수품의 저장·관리·출납을 맡아본 군자감(軍資監)에 두었던 정삼품(正三品) 관직으로 정원은 1원이다.

정(正) 위로 도제조(都提調: 正一品) 1원은 의정이 겸하고, 제조(提調: 從二品∼從一品) 1원은 호조판서(戶曹判書)가 정례대로 겸임하며, 아래로는 부정(副正: 從三品), 첨정(僉正: 從四品), 판관(判官: 從五品)은 1원이 있는데, 부정·첨정은 삭감하였다. 도제조·제조를 타관이 겸직했기 때문에 정이 실질적인 으뜸 벼슬이었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서장관(書狀官) ]

조선시대 외국에 보내던 사행(使行) 중 정관(正官)의 하나이다. 임시 관직으로 위로 정사(正使), 부사(副使)와 함께 3사(三使)의 하나이고, 기록관이라고도 하여 행대어사(行臺御使)를 겸하였다. 일본에 보내던 통신사(通信使)에도 서장관이 따라갔다.

인조 이전의 명(明)나라, 인조 이후의 청(淸)나라에 정기·부정기적으로 보내던 사행에는 양국 협약에 따라 규정된 인원을 보냈는데, 서장관은 정사·부사와 함께 3사라 하여 외교 실무에 큰 역할을 하였다.

-----------------------------------------------------------------------------

 

22. 전방경(全方慶)

[문과]

선조(宣祖) 6년(1573) 계유(癸酉)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8위

[인적사항]

-자 중선(仲善) -본관 미상(未詳)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관직 현감(縣監)

[가족사항]

[부]

성명 : 전광우(全光祐)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

 

23. 전형룡(全炯龍)

[문과]

고종(高宗) 31년(1894) 갑오(甲午)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5위

[인적사항]

본관 미상(未詳)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정환(全廷煥)

[출전]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奎貴11655])

-----------------------------------------------------------------------------

 

24. 전재봉(全在鳳)

[문과]

철종(哲宗) 12년(1861) 신유(辛酉)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4위

[인적사항]

-생년 갑오(甲午) 1834년 -합격연령 28세 -본관 성주(星州) -거주지 강화(江華)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영목(全榮穆)

[조부]

성명 : 전언복(全彦福)

[증조부]

성명 : 전성겸(全性謙)

[외조부]

성명 : 한응혁(韓膺爀)

[출전]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奎貴11655])

-----------------------------------------------------------------------------

 

25. 전순필(全舜弼)

[문과]

명종(明宗) 4년(1549) 기유(己酉)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5위

[인적사항]

-자 성유(聖兪) -생년 갑술(甲戌) 1514년 -합격연령 36세 -본관 안동(安東)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생원(生員) -관직 부사(府使)

-타과 명종(明宗) 1년(1546) 병오(丙午) 생원시(生員試)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연(全璉)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

 

 

26. 전팽수(全彭壽)

[문과]

중종(中宗) 14년(1519)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5위

[인적사항]

-자 중노(仲老) -본관 옥천(沃川)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진사(進士) -관직 부정(副正)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응경(全應卿)

[조부]

성명 : 전효순(全孝順)

[증조부]

성명 : 전오례(全五禮)

[외조부]

성명 : 김력(金酈)

[처부]

성명 : 안세창(安世昌)

[처부2]

성명 : 박평(朴枰)

[제]

성명 : 전팽령(全彭齡)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부정(副正)]

조선시대 종친부(宗親府)·선공감(繕工監)·별군직청(別軍職廳)·훈련원(訓鍊院)에 두었던 종삼품(從三品) 관직이다.

종친부정(宗親副正)은 대군(大君)의 중증손(衆曾孫)과 왕자(王子)의 중손(衆孫)에게 처음 주었으며 정원수는 없었고, 선공감부정(繕工監副正)은 1원, 별군직부정(別軍職副正)은 가설훈련주부(加設訓鍊主簿)가 품계(品階)에 따라 예부(例付)되었고, 훈련부정(訓鍊副正)은 2원이었다.

처음에는 종친부·돈령부(敦寧府)·봉상시(奉常寺)·사복시(司僕寺)·군기시(軍器寺)·사섬시(司贍寺)·군자감(軍資監)·관상감(觀象監)·전의감(典醫監)·사역원(司譯院)·훈련원(訓鍊院)·선공감·사도시(司䆃寺)·사재감(司宰監)·제용감(濟用監)·내자시(內資寺)·내섬시(內贍寺)·예빈시(禮賓寺) 등에도 부정을 두었으나 중기 이후 감원(減員) 하였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

 

27. 전팽령(全彭齡)

[문과]

중종(中宗) 19년(1524) 갑신(甲申) 별시(別試) 병과(丙科) 23위

[인적사항]

-자 숙로(叔老) -생년 경자(庚子) 1480년 -합격연령 45세 -본관 옥천(沃川)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생원(生員) -품계 가선대부(嘉善大夫) -관직 목사(牧使)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응경(全應卿)

[조부]

성명 : 전효순(全孝順)

[증조부]

성명 : 전오례(全五禮)

[외조부]

성명 : 김력(金酈)

[처부]

성명 : 이국형(李國衡)

[처부2]

성명 : 김축(金軸)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

 

28. 전식(全湜)

[문과]

선조(宣祖) 36년(1603)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6위

[인적사항]

-자 정원(淨元) -호 사서(沙西) -생년 계해(癸亥) 1563년 -합격연령 41세 -본관 옥천(沃川)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직장(直長) -관직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관직 부제학(副提學)

-타과 선조(宣祖) 22년(1589) 기축(己丑) 진사시(進士試)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여림(全汝霖)

[조부]

성명 : 전혼(全焜)

[증조부]

성명 : 전팽조(全彭祖)

[외조부]

성명 : 이신(李信)

[처부]

성명 : 홍천서(洪天敍)

[처부2]

성명 : 최▣▣(崔▣▣)

[자]

성명 : 전극항(全克恒)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부제학(副提學)]

조선시대 홍문관(弘文館)에 두었던 정삼품(正三品) 당상관(堂上官)으로 정원은 1원이다.

제학(提學: 從二品)의 아래, 직제학(直提學: 正三品 堂下)의 위 벼슬이다. 궁중의 경서(經書) 및 사적(史籍)을 관리하며, 문서를 처리하고 왕의 자문에 응하기도 하며 때로 경연관(經筵官: 임금께 경서(經書) 등을 강론하는 직)·지제교(知製敎: 조서(詔書)·교서(敎書)를 지어 바치던 벼슬)를 겸임하였다. 부제학 이하 부수찬(副修撰: 從六品)까지를 통칭하여 옥당(玉堂)이라고 하며, 모두 문관(文官)을 임용(任用) 하였다. 1907년(융희 1) 홍문관의 폐지와 함께 없어졌다.

[별칭]

부학(副學), 옥당(玉堂)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

 

29. 전극항(全克恒)

[문과]

인조(仁祖) 2년(1624) 갑자(甲子) 공주정시(公州庭試) 병과(丙科) 2위

[인적사항]

-자 덕구(德久), 덕고(德古) -호 규천(虯川) -생년 신묘(辛卯) 1591년 -합격연령 34세 -본관 옥천(沃川)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진사(進士) -관직 예조정랑(禮曹正郞) -관직 한림(翰林) -타과 광해군(光海君) 4년(1612) 임자(壬子) 진사시(進士試)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식(全湜)

[조부]

성명 : 전여림(全汝霖)

[증조부]

성명 : 전혼(全焜)

[외조부]

성명 : 홍천서(洪天敍)

[처부]

성명 : 조기원(趙基遠)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예조정랑(禮曹正郞)]

조선시대 예조(禮曹)에 둔 정오품(正五品) 관직으로 정원은 3원이다. 위로 예조판서(禮曹判書: 正二品), 예조참판(禮曹參判: 從二品), 예조참의(禮曹參議: 正三品 堂上) 각 1원이 있고, 아래로 예조좌랑(禮曹佐郞: 正六品) 3원이 있다.

예조정랑을 지낸 사람은 예조좌랑(禮曹佐郞)을 제수 받을 수 없었다. 정랑의 관장(管掌) 하에 계제사(稽制司), 전향사(典享司), 전객사(典客司) 등의 분장(分掌)이 있었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

 

30. 전익희(全益禧)

[문과]

인조(仁祖) 2년(1624) 갑자(甲子)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7위

[인적사항]

-자 중수(重綏) -생년 무술(戊戌) 1598년 합격연령 27세 -본관 옥천(沃川)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관직 부사(府使)

[가족사항]

[부]

성명 : 전뢰(全磊)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

 

31. 전명룡(全命龍)

[문과]

인조(仁祖) 5년(162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12위

[인적사항]

-자 백유(伯兪) -생년 병오(丙午) 1606년 -합격연령 22세 -본관 옥천(沃川) -거주지 미상(未詳)

[생원진사시] 인조(仁祖) 2년(1624) 갑자(甲子) 증광시(增廣試) 생원 3등(三等) 20위

[이력사항]

-전력 생원(生員) -관직 부사(府使) -타과 인조(仁祖) 2년(1624) 갑자(甲子) 생원시(生員試)

[가족사항]

[부]

성명 : 전대승(全大承)

[처부]

성명 : 고인계(高仁繼)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

 

32. 전석교(全錫喬)

[문과]

고종(高宗) 13년(1876) 병자(丙子) 식년시(式年試) 을과(乙科) 5위

[인적사항]

-생년 정미(丁未) 1847년 -합격연령 30세 -본관 옥천(沃川) -거주지 옥천(沃川)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가족사항]

[부]

성명 : 전효승(全孝昇)

[조부]

성명 : 전응노(全應魯)

[증조부]

성명 : 전헌(全櫶)

[외조부]

성명 : 김방(金坊)

[출전]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奎貴11655])

-----------------------------------------------------------------------------

 

33. 전중권(全仲權)

[문과]

세종(世宗) 14년(1432) 임자(壬子) 식년시(式年試) 동진사(同進士) 15위

[인적사항]

-본관 용궁(龍宮)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생원(生員) -관직 군수(郡守)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직(全直)

[외조부]

성명 : 원도(元道)

[처부]

성명 : 유찬(柳瓚)

[자]

성명 : 전영령(全永齡)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군수(郡守)]

조선시대 동반(東班: 文官)의 종사품(從四品) 외관직(外官職)으로 군(郡)의 행정(行政)을 맡아보았다. 군수는 일반 국민을 직접 다스리는 목민관(牧民官)으로서 광범위한 권한을 위임받고 있었으나, 그 주된 임무는 공물(貢物)·부역 등을 중앙에 조달하는 일이었다.

부윤(府尹: 從二品)·대도호부사(大都護府使: 正三品)·목사(牧使: 正三品)·도호부사(都護府使: 從三品)·군수(郡守: 從四品)·현령(縣令: 從五品)·현감(縣監: 從六品) 등은 그 품계(品階)에 고하(高下)는 있었으나, 행정상으로는 상하의 차별 없이 모두 관찰사의 지휘감독을 직접 받았으며 이들을 통칭 수령(守令)이라고 하였다.

전국(全國)을 모두 82군(郡)으로 경기도(京畿道)에 7곳, 충청도(忠淸道)에 12곳, 경상도(慶尙道)에 14곳, 전라도(全羅道)에 12곳, 황해도(黃海道)에 7곳, 강원도(江原道)에 7곳, 영안도(永安道: 咸鏡道)에 5곳, 평안도(平安道)에 18곳을 두었으며, 군내(郡內)에 불상사가 발생하면 현감(縣監)으로 강등(降等)시키는 일도 있었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

 

34. 전영령(全永齡)

[문과]

세조(世祖) 8년(1462) 임오(壬午) 식년시(式年試) 정과(丁科) 14위

[인적사항]

-본관 용궁(龍宮)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진사(進士) -관직 병조정랑(兵曹正郞)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중권(全仲權)

[조부]

성명 : 전직(全直)

[외조부]

성명 : 유찬(柳瓚)

[처부]

성명 : 윤취은(尹就殷)

[처부2]

성명 : 김양중(金養中)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병조정랑(兵曹正郞)]

조선시대 병조(兵曹)에 둔 정오품(正五品) 관직으로 정원은 4원이다. 위로 병조판서(兵曹判書: 正二品), 병조참판(兵曹參判: 從二品), 병조참의(兵曹參議: 正三品 堂上), 병조참지(兵曹參知: 正三品 堂上)가 있고, 아래로 병조좌랑(兵曹佐郞: 正六品)이 있다. 이미 사품관(四品官)에 오른 사람은 병조정랑을 제수(除授) 받을 수 없었으며, 병조정랑을 지낸 사람은 병조좌랑을 제수 받을 수 없었다.

정랑과 좌랑의 관장 하에 병조의 분장(分掌)인 무비사(武備司)·무선사(武選司: 政色)·승여사(乘輿司: 馬色)의 삼사(三司)와 일군색(一軍色)·이군색(二軍色)·결속색(結束色)·형방색(刑房色)·성기색(省記色)·경생색(梗栍色)·유청색(有廳色)·도안색(都案色)·여정색(餘丁色)·해유색(解由色) 등을 두었다. 일군색과 이군색은 모두 자벽(自辟)의 자리였다. 자벽은 장관(長官)이 자의(自意)로 사람을 천거하여 아래 벼슬아치로 임명하는 것을 말한다.

정랑은 6조의 실무를 관장하여 청요직(淸要職)으로 간주되었으며, 특히 이조·병조의 정랑은 좌랑(佐郞)과 함께 인사행정을 담당하여 전랑(銓郞)이라고 하였다. 또한 이들은 삼사(三司) 관직의 임명동의권인 통청권(通淸權)과 자신의 후임자를 추천할 수 있는 재량권이 있어 권한이 막강했으며, 이로 인해 붕당의 폐단을 낳기도 하였다.

[별칭]

낭청(郞廳), 낭관(郞官), 조랑(曹郞), 전랑(銓郞)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

 

35. 전형(全瀅)

[문과]

선조(宣祖) 39년(1606) 병오(丙午)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21위

[인적사항]

-자 택보(澤甫) -생년 을축(乙丑) 1565년 -합격연령 42세 -본관 용궁(龍宮) -거주지 미상(未詳)

[관련정보]

[생원진사시] 선조(宣祖) 38년(1605) 을사(乙巳) 증광시(增廣試) 진사 2등(二等) 5위

[이력사항]

-전력 진사(進士) -관직 충청도사(忠淸都事) -타과선조(宣祖) 38년(1605) 을사(乙巳) 진사시(進士試)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수백(全壽百)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도사(都事)]

① 조선시대 중앙과 지방 관청에서 사무를 담당한 관직이다. 해당 관서는 다음과 같다.

충훈부(忠勳府)·의빈부(儀賓府)·중추부(中樞府)·충익부(忠翊府)·개성부(開城府)·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에 두었던 종오품(從五品) 관직이다.

충훈부도사(忠勳府都事)는 1원으로 공신(功臣) 자손 중에서 차출(差出)하고, 대신당상(大臣堂上)이 있으면 자벽(自辟)하였다. 도사의 관장 하에 공방(工房)·노비색(奴婢色)·녹색(祿色)·상하색(上下色)·충익색(忠翊色)의 분장이 있었다. 의빈부도사(儀賓府都事)는 1원으로 그 관장 하에 노비색과 공방의 분장이 있었다. 중추부도사(中樞府都事)는 1원, 충익부도사(忠翊府都事)는 2원이었으나, 후에 충익부는 충훈부에 병합(倂合)되었다. 도총부도사는 6원이었다.

② 의금부(義禁府)의 한 벼슬로서 처음에 종오품이었으나, 후에 종육품(從六品)과 종팔품(從八品) 또는 종구품(從九品)으로 나누어졌다. 종육품 도사는 참상도사(參上都事: 經歷)라 하여 5원 중 1인은 무신(武臣) 중에서 차출(差出)하여 45일 출관(出官)하고 90일에 면신(免新)하였으며, 선생자제(先生子弟)는 10일을 감하였다. 종팔품도사는 참하도사(參下都事)로서 5원이며 삼삭(三朔)에 출관(出官)하고, 육삭(六朔)에 면신하였으며, 선생자제는 일삭(一朔)을 감하였다.

③ 오부(五部)의 종구품 관직으로 중부(中部)·동부(東部)·남부(南部)·서부(西部)·북부(北部)에 각 1원씩 있어서 시체(屍體)의 검험(檢驗), 도로(道路)·교량(橋梁)·반화(頒火)·금화(禁火)·제처(諸處)의 수리(修理)·청소(淸掃) 등을 맡아보았다.

④ 팔도(八道) 감영(監營)의 종오품 관직으로 감사(監司: 觀察使, 從二品)의 다음 관직이며 정원은 1원이다. 지방관리(地方官吏)의 불법(不法)을 규찰(糾察)하고 과시(科試)를 맡아보았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

 

36. 전이성(全以性)

[문과]

선조(宣祖) 39년(1606) 병오(丙午)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9위

[인적사항]

-자 성지(性之) -생년무인(戊寅) 1578년 -합격연령29세 -본관 용궁 (龍宮)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관직 시정(寺正)

[가족사항]

[부]

성명 : 전행(全緈)

[처부]

성명 : 황▣▣(黃▣▣)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정(正)]

조선시대 정삼품(正三品) 당하관(堂下官) 관직이다.

① 종친부(宗親府), 돈령부(敦寧府), 상서원(尙瑞院), 봉상시(奉常寺), 종부시(宗簿寺), 사옹원(司饔院), 내의원(內醫院), 상의원(尙衣院), 사복시(司僕寺), 군기시(軍器寺), 사섬시(司贍寺), 군자감(軍資監), 장악원(掌樂院), 관상감(觀象監), 전의감(典醫監), 사역원(司譯院), 훈련원(訓鍊院), 선공감(繕工監), 사도시(司導寺), 사재감(司宰監), 제용감(濟用監), 내자시(內資寺), 내섬시(內贍寺), 예빈시(禮賓寺) 등에 두었으나, 상서원정은 도승지(都承旨)가 예겸하기 때문에 정삼품 당상관(堂上官)이다.

종친부·돈령부·훈련원을 제외하면 모두 실질상 으뜸 벼슬이다. 이중 돈령부·선공감·사도시·사재감·제용감·내자시·내섬시·예빈시의 정은 후에 폐지되었으며, 사섬시는 1705년(숙종 31)에 호조(戶曹)에, 종부시는 1864년(고종 1)에 종친부에 병합되었다.

② 세자의 중증손(衆曾孫), 대군(大君)의 중손(衆孫), 왕자군(王子君: 왕의 庶子)의 중자(衆子)와 적장증손(嫡長曾孫)에게 처음 주던 정삼품 당하관의 작호(爵號)로 종친부와 돈령부에 소속되어 있었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

 

37. 전명삼(全命三)

[문과]

숙종(肅宗) 17년(1691) 신미(辛未) 증광시(增廣試) 병과(丙科) 28위

[인적사항]

-자 석보(錫甫) -생년 계묘(癸卯) 1663년 -합격연령 29세 -본관 용궁 (龍宮) 거주지 미상(未詳)

[생원진사시]

숙종(肅宗) 13년(1687) 정묘(丁卯)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2위

[이력사항]

-전력 생원(生員) -관직 현감(縣監) -타과 숙종(肅宗) 13년(1687) 정묘(丁卯) 생원시(生員試)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오교(全五敎)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

 

38. 전근사(全近思)

[문과]

숙종(肅宗) 41년(1715) 을미(乙未)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2위

[인적사항]

-생년 을묘(乙卯) 1675년 -합격연령 41세 -본관 용궁 (龍宮)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관직 -예조좌랑(禮曹佐郞)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오륜(全五倫)

[증조부]

성명 : 전이성(全以性)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예조좌랑(禮曹佐郞)]

조선시대 예조(禮曹)에 둔 정육품(正六品) 관직으로 정원은 3원이다. 위로 예조판서(禮曹判書: 正二品), 예조참판(禮曹參判: 從二品), 예조참의(禮曹參議: 正三品 堂上) 각 1원과 예조정랑(禮曹正郞: 正五品) 3원이 있다.

예조정랑을 지낸 사람은 예조좌랑을 제수 받을 수 없었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

 

39. 전광제(全光濟)

[문과] 영조(英祖) 19년(1743) 계해(癸亥) 정시(庭試) 병과(丙科) 11위

[인적사항]

-생년 정축(丁丑) 1697년 -합격연령 47세 -본관 용궁 (龍宮)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관직 도사(都事)

[가족사항]

[부]

성명 : 전희대(全僖大)

[조부]

성명 : 전세형(全世衡)

[증조부]

성명 : 전한(全澣)

[외조부]

성명 : 강영(康渶)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

 

40. 전홍교(全洪敎)

[문과]

고종(高宗) 7년(1870) 경오(庚午)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18위

[인적사항]

-생년을미(乙未) 1835년 -합격연령 36세 -본관 용궁(龍宮) -거주지 용인(龍仁)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지련(全智鍊)

[조부]

성명 : 전혁규(全爀奎)

[증조부]

성명 : 전희수(全熙壽)

[외조부]

성명 : 김쾌응(金快應)

[출전]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奎貴11655])

-----------------------------------------------------------------------------

 

41. 전윤담(全允淡)

[문과]

순조(純祖) 22년(1822) 임오(壬午) 식년시(式年試) 갑과(甲科) 3위

[인적사항]

-생년 무신(戊申) 1788년 -합격연령 35세 -본관 전주(全州) -거주지 평양(平壤)

[음관] 음관(蔭官)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익방(全翼邦)

[조부]

성명 : 전오상(全五常)

[증조부]

성명 : 전계식(全桂植)

[외조부]

성명 : 최형대(崔亨大)

[출전]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奎貴11655])

-----------------------------------------------------------------------------

 

 

42. 전영달(全穎達)

[문과]

선조(宣祖) 10년(1577) 정축(丁丑) 별시(別試) 병과(丙科) 6위

[인적사항]

-자 충원(冲遠) -생년 경술(庚戌) 1550년 -합격연령 28세 -본관 천안(天安) 거주지 미상(未詳)

[생원진사시] 선조(宣祖) 6년(1573) 계유(癸酉)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23위

[이력사항]

-전력 생원(生員) -관직 참의(參議) -타과 선조(宣祖) 6년(1573) 계유(癸酉) 생원시(生員試)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수우(全守愚)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참의(參議)]

① 조선시대 육조(六曹)에 소속된 정삼품(正三品) 당상관(堂上官)으로 정원은 각 1원씩 총 6원이다. 참판(參判: 從二品)의 다음으로 이조참의(吏曹參議)·호조참의(戶曹參議)·예조참의(禮曹參議)·병조참의(兵曹參議)·형조참의(刑曹參議)·공조참의(工曹參議)가 있었다.

1405년(태종 5)에 각 조에 좌·우참의 2원씩 총 12원으로 증원하였다. 그러나 1434년(세종 16)에 무신들을 배려하여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4원을 증치하는 대신 좌·우참의를 참의로 바꾸고, 정원은 1원으로 감원하였다. 각 조의 참판과 함께 판서를 보좌하면서도 판서와 대등한 발언권을 지니고 있었다.

② 조선 말기 갑오개혁(甲午改革) 이후에 의정부(議政府)와 내무아문(內務衙門)·외무아문(外務衙門)·탁지아문(度支衙門)·군무아문(軍務衙門)·법무아문(法務衙門)·공무아문(工務衙門)·농상아문(農商衙門) 등 각 아문(衙門)에 두었던 주임관(奏任官) 벼슬이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

 

43. 전영수(全永壽)

[문과]

영조(英祖) 22년(1746) 병인(丙寅) 함경도별시(咸鏡道別試) 병과(丙科) 2위

[인적사항]

-생년 계묘(癸卯) 1723년 -합격연령 24세 -본관 천안(天安)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가족사항]

[부]

성명 : 전극창(全克昌)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

 

44. 전영택(全榮澤)

[문과]

순조(純祖) 28년(1828) 무자(戊子)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9위

[인적사항]

-생년 병신(丙申) 1776년 -합격연령 53세 -본관 천안(天安) -거주지 영암(靈巖)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익상(全益祥)

[조부]

성명 : 전이일(全爾一)

[증조부]

성명 : 전성뢰(全聖賚)

[외조부]

성명 : 조윤렴(曺潤濂)

[출전]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奎貴11655])

-----------------------------------------------------------------------------

 

45. 전종행(全宗行)

[문과]

순조(純祖) 34년(1834) 갑오(甲午)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12위

[인적사항]

-생년 무신(戊申) 1788년 -합격연령 47세 -본관 천안(天安) -거주지 영암(靈巖)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익삼(全益參)

[조부]

성명 : 전이검(全爾儉)

[증조부]

성명 : 전성술(全聖述)

[외조부]

성명 : 정명일(鄭明一)

[출전]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奎貴11655])

-----------------------------------------------------------------------------

 

46. 전유경(全有慶)

[문과]

숙종(肅宗) 28년(1702) 임오(壬午)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20위

[인적사항]

-자 선유(善裕) -생년 계유(癸酉) 1633년 -합격연령 70세 -본관 통진(通津)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관직 전적(典籍)

[가족사항]

[부]

성명 : 전후창(全後昌)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전적(典籍)]

조선시대 성균관(成均館)에 둔 정육품(正六品) 관직으로 정원은 13원이다.

위로 지사(知事: 正二品)가 1원으로 대제학(大提學)이 정례대로 겸직하며, 동지사(同知事: 從二品) 2명, 대사성(大司成: 正三品), 좨주(祭酒: 正三品), 사성(司成: 從三品) 각 1원, 사예(司藝: 正四品) 2원, 사업(司業: 正四品) 1원, 직강(直講: 正五品) 4원이 있고, 아래로 박사(博士: 正七品), 학정(學正: 正八品), 학록(學錄: 正九品), 학유(學諭: 從九品) 각 3원씩 있다. 대사성 이하 성균관에 소속된 관원을 총칭하여 관직(館職)이라고 하였다.

조선건국 직후 성균관의 직제는 고려시대의 직제가 그대로 이어졌으며, 전부(典簿: 正六品) 1원을 두었다. 1401년(태종 1) 7월 직제의 일부가 개정되어 전부를 주부(主簿: 正六品)로 개칭하였다. 1466년(세조 12) 1월 관제개혁 때 주부를 전적(典籍)으로 바꾸면서 정원이 13원으로 증원되었고, 전적은 도적(圖籍)의 수장(收藏)과 출납·관리의 일을 맡았다. 전적의 관장 하에 성균관의 분장(分掌)인 추쇄색(推刷色)과 공방(工房)이 있었다.

종학(宗學)의 전훈(典訓: 正五品) 이하를 사예(司藝: 正四品)·직강(直講: 正五品)·전적이, 경국대전에는 양현고(養賢庫)의 주부를 전적이, 사학(四學)에서는 전적 이하 20명이 사학훈도(四學訓導)를 겸하고 있는 것 등으로 보아 겸직이 많았다. 대전회통에서는 정원의 4원이 승문원의 참외관(參外官: 從八品)이 겸하게 되었다.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

 

47. 전유형(全有亨)

[문과]

선조(宣祖) 38년(1605) 을사(乙巳) 정시(庭試) 갑과(甲科) 1[장원(壯元)]위

[인적사항]

-자 숙가(叔嘉) -호 학송(鶴松) -생년 병인(丙寅) 1566년 -합격연령 40세 -본관 평강(平康)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현감(縣監) -관직 형조참판(刑曹參判)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인(全絪)

[처부]

성명 : 안봉(安鳳)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형조참판(刑曹參判)]

조선시대 형조(刑曹)에 둔 종이품(從二品)으로 정원은 1원이다. 위로 형조판서(刑曹判書: 正二品)가 있고, 아래로 형조참의(刑曹參議: 正三品 堂上) 1원, 형조정랑(刑曹正郞: 正五品), 형조좌랑(刑曹佐郞: 正六品) 각 3원이 있다. 판서를 정경(正卿)이라고 하고, 참판은 아경(亞卿)이라고 한다.

원래 사평부(司平府)에 두었던 좌사(左使)·우사(右使)를 1404년(태종 4) 3월 참판사평부사(參判司平府使)라고 개칭했다가, 1405년(태종 5) 1월 사평부가 호조(戶曹)에 병합되고 육조의 의랑(議郞) 각 2원을 좌·우참의(左右參議)로 바꾸었다. 1432년(세종 14)에 참판·참의 각각 1원으로 개편되어 각 조(曹)의 판서를 보좌하는 차관으로, 예하 주요기관의 제조(提調)를 겸하였다. 1894년(고종 31)의 갑오개혁 이후에는 협판(協辦: 勅任官)이라 하였다.

[별칭]

법사당상(法司堂上)

[참고문헌]

《대전회통(大典會通)》

-----------------------------------------------------------------------------

 

48. 전기제(全起濟)

[문과]

숙종(肅宗) 22년(1696) 병자(丙子) 정시(庭試) 병과(丙科) 7위

[인적사항]

-자 군즙(君楫) -생년 병자(丙子) 1636년 -합격연령 61세 -본관 평강(平康)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유학(幼學) -관직 현감(縣監)

[가족사항]

[부]

성명 : 전현(全䥪)

[조부]

성명 : 전유형(全有亨)

[증조부]

성명 : 전인(全絪)

[외조부]

성명 : 홍정(洪霆)

[처부]

성명 : 이인기(李仁紀)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

 

49. 전성천(全性天)

[문과]

영조(英祖) 33년(1757) 정축(丁丑) 정시(庭試) 병과(丙科) 9위

[인적사항]

-자 복초(復初) -생년 갑오(甲午) 1714년 -합격연령 44세 -본관 평강(平康) -거주지 미상(未詳)

[생원진사시]

영조(英祖) 26년(1750) 경오(庚午)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三等) 27위

[이력사항]

-전력 진사(進士)

-타과 영조(英祖) 26년(1750) 경오(庚午) 진사시(進士試)

[가족사항]

[부]

성명 : 전명우(全命禹)

[조부]

성명 : 전이장(全爾樟)

[증조부]

성명 : 전기한(全起漢)

[외조부]

성명 : 김민(金)

[처부]

성명 : 나중경(羅重慶)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

 

50. 전내훈(全鼐勳)

[문과] 인조(仁祖) 7년(1629) 기사(己巳) 별시(別試) 병과(丙科) 17위

[인적사항]

자 태좌(台佐) -생년 경술(庚戌) 1610년 -합격연령 20세 -본관 기장(機張) -거주지 미상(未詳)

[이력사항]

-전력 생원(生員) -관직 찰방(察訪)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천덕(全天德)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

 

51. 전홍일(全弘一)

[문과]

효종(孝宗) 2년(1651) 신묘(辛卯) 식년시(式年試) 병과(丙科) 4위

[인적사항]

-자 회숙(會叔) -생년 기축(己丑) 1589년 -합격연령 63세 -본관 기장(機張) -거주지 미상(未詳)

[생원진사시] 인조(仁祖) 26년(1648) 무자(戊子)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48위

[이력사항]

-전력 생원(生員) -관직 전적(典籍)

타과 인조(仁祖) 26년(1648) 무자(戊子) 생원시(生員試)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응곤(全應坤)

[출전]

《국조문과방목(國朝文科榜目)》(규장각[奎106])

-----------------------------------------------------------------------------

 

52. 전성유(全性有)

[문과]

순조(純祖) 15년(1815) 을해(乙亥) 함경도별시(咸鏡道別試) 병과(丙科) 2위

[인적사항]

-생년 임오(壬午) 1762년 -합격연령 54세 -본관 기장(機張) -거주지 북청(北靑)

[생원진사시]

정조(正祖) 13년(1789) 기유(己酉) 식년시(式年試) 생원 3등(三等) 42위

[이력사항]

전력 생원(生員)

[가족사항]

[부]

성명 : 전치명(全致明)

[출전]

《국조방목(國朝榜目)》(규장각[奎貴11655])

 

 

2011.06.12.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