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VER

질문 창녕조씨 항렬과 파 사진 보시고 알려주세요 사진첨부합니다 (꼭 봐주세요)
chos**** 조회수 5,429 작성일2019.02.26

창녕조씨 항렬

 

창녕조씨 후손입니다

할아버지께서 환자돌림

아버지 규자돌림

저는 현자돌림

제 아들이 영자돌림입니다....

 

제가 무슨파 몇대손인지 너무 궁금합니다



 

그런데 사진에서 보면 족도에는 정곡파라고 나오는데 아무리 검색해도 그런파가 없는걸로 압니다

뭐가 잘못된거죠??아니면 삼송파?? 이건가요??

 

하나 더 궁금한게 제가 현 자 돌림인데  솥귀현자(鉉)를 쓰는게 아니고  검을현자(玄)를 씁니다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제가 26대손일것같은데 등본에도 검을현자를 쓰고있는데 잘못된건가요??어떻게 해야하는건가요??

 

프로필 사진

답변자님,

정보를 공유해 주세요.

1 개 답변
1번째 답변
프로필 사진
ryul****
수호신
전통 예절, 의식 1위, 사회문화 1위, 폭행 15위 분야에서 활동
본인 입력 포함 정보

님의 질문에 답변을 합니다.

 

창녕조씨 항렬과 파 사진 보시고 알려주세요 사진첨부합니다 (꼭 봐주세요)

창녕조씨 항렬

 

창녕조씨 후손입니다


할아버지께서환자돌림

아버지 규자돌림

저는 현자돌림

제 아들이 영자돌림입니다....

 

제가 무슨파 몇대손인지 너무 궁금합니다



 

그런데 사진에서 보면 족도에는 정곡파라고 나오는데 아무리 검색해도 그런파가 없는걸로 압니다

뭐가 잘못된거죠??아니면 삼송파?? 이건가요??

 

하나 더 궁금한게 제가 현 자 돌림인데  솥귀현자(鉉)를 쓰는게 아니고  검을현자(玄)를 씁니다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제가 26대손일것같은데 등본에도 검을현자를 쓰고있는데 잘못된건가요??어떻게 해야하는건가요??


답변 : 님은 창녕 조씨(昌寧 曺氏)정곡공파(鼎谷公派)이시군요.


창녕 조씨(昌寧 曺氏) 정곡공파(鼎谷公派)는 조대중(曺大中15491590) 문신(文臣) 자는 화우(和宇). ()는 정곡(鼎谷). 문과 급제. 동부승지(同副承旨). 이분이 바로 정곡공파(鼎谷公派)입니다.


표절에는 족보책 표면에 창녕 조씨(昌寧 曺氏)정곡공파보(鼎谷公派譜)라고 되어 있습니다.

 

삼송(三松) : 중시조(中始祖) () ()으로부터 15세손(世孫)인 휘() ()의 자제 송무(松茂), 송군(松君), 송학(松鶴) 3형제 분의 항렬표.

 

조부님 : 24세 환(煥)자 돌림이시고,

부친님 : 25세 규(圭)자 돌름이시며,

님은 : 26세손 현(鉉)자 돌림입니다.

자식 : 27세손 영(永)자 돌림입니다.

 

님은창녕 조씨 뼈대있는 가문의 후손이시니 자긍심을 가지시기 바랍니다.

 

한글과 한문을 병용합니다. 이유는 한문에는 깊은 뜻이 담겨있습니다. 이점 양해가 있으시길 바랍니다. 해당 항렬자에는 녹색 글씨로 표기합니다. 

 

아래는 창녕 조씨에 대한 정보 입니다.

 

 

창녕 조씨(昌寧 曺氏)에 대()하여

 

1. 창녕 조씨(昌寧 曺氏) 시조(始祖) : 조계룡(曺繼龍)

2. 창녕 조씨(昌寧 曺氏) 유래(由來) :

 

창녕 조씨(昌寧 曺氏) 시조(始祖)는 조계룡(曺繼龍)이다.

그의 어머니는 한림학사(翰林學士) 이광옥의 딸 예향(禮香)으로 조계룡(曺繼龍)의 출생(出生)에 대()한 다음과 같은 전설(傳說)이 전()해온다.

 

창녕 조씨(昌寧 曺氏) 시조(始祖)는 신라(新羅) 26대 진평왕(眞平王)의 사위(())라는 조계룡(曺繼龍:태사창성부원군)으로 전()하는데, 조씨(曺氏) 세보(世譜)에는 그의 5대손(代孫)인 겸()을 중시조(中始祖)로 삼고 있다. 겸은 신라(新羅) 말기(末期)에 아한시중(阿干侍中)을 지내고 시문(詩文)에도 뛰어났던 흠()의 아들로서, 고려(高麗) 태조(太祖) 왕건(王建)의 딸 덕공공주(德恭公主)와 결혼(結婚)하여 부마(駙馬)가 되었다고 한다.

 

 

 3. 창녕 조씨(昌寧 曺氏) 가문(家門)의 번영(繁榮)

 

창녕조씨세보에 의하면, 고려시대(高麗時代)에 겸의 손자(孫子) 연우(延祐)로부터 15() 자기(自奇)에 이르기까지 8대에 걸쳐 문하평장사(門下平章事)를 배출(輩出)하였는데, 이것은 광산김씨(光山金氏) 10대에 걸쳐 평장사(平章事)를 배출(輩出)한 것과 함께 기록적(記錄的)이라 하겠다. 창녕조씨(昌寧曺氏)는 삼남(三南)의 명족으로 알려져 있는데, 고려(高麗) 말기(末期)의 주요(主要) 인물(人物)로는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내고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에 봉()해진 민수(敏修)를 들 수 있다.

 

조선시대(朝鮮時代)의 유일(有一)한 정승(政丞)인 석문(錫文)은 민수(敏修)의 아우 경수(敬修)의 손자(孫子)이다. 성종(成宗) 때 성리학(性理學)의 대가(大家)로 서예(書藝)에도 뛰어나고 문집(文集) 매계집(梅溪集)을 남긴 위()는 석문(錫文의 조카이며, 명역관(名譯官)이던 신()은 위의 서형(庶兄)이고, 숙종(肅宗) 때 시((()의 삼절(三絶)로 불린 효창(孝昌)은 위의 현손(玄孫)이다. 조선(朝鮮) 중기(中期)의 인물(人物)로는 석학(碩學)인 식()이 있다. 남명집(南冥集)》 《파한잡기(破閑雜記) ()을 저술(著述)한 그의 문하(門下)에서는 김효원(金孝元정인홍(鄭仁弘정탁(鄭琢최영경(崔永慶곽재우(郭再祐)와 같은 학자(學者)들이 배출(輩出)되었다.

 

한편, 다른 파계(派系)인 조선전기(朝鮮前期)의 명신(名臣) 상치(尙治)의 후손(後孫)에서도 많은 인물(人物)이 나왔다. 중종(中宗) 때 우참찬(右參贊)을 지낸 계상(繼商), 인조(仁祖) 때 강원도(江原道)관찰사(觀察使)를 지낸 문수(文秀), 현종(顯宗) 때 예조참판(禮曹參判)을 역임(歷任)한 한영(漢英), 영조(英祖) 때 대사간(大司諫)을 지낸 하망(夏望), 영조(英祖) 때 이조참판(吏曹參判예문관제학(藝文館提學)을 지낸 명교(命敎), 초서(草書)와 예서(禮書)에 뛰어났으며 서예(書藝)에도 일가를 이루었던 윤형(允亨) ()을 들 수 있다.

 

그 밖에 연산군(燕山君) 때 대사헌(大司憲)을 지내고 주역에 조예(造詣)가 깊었던 숙기(淑沂), 중종(中宗) 때의 무신(武臣)으로 왜구(倭寇)와 야인(野人) 토벌(討伐)에 공()을 세워 병조판서(兵曹判書우찬성(右贊成) 등을 역임(歷任)한 윤손(潤孫), 중종(中宗) 때 반정공신(反正功臣)으로 알려진 계형(繼衡), 인조(仁祖) 때 시((()의 삼절(三絶)로 명성(名聲)을 떨친 우인(友仁) ()이 있다. 조선시대(朝鮮時代) 113명의 문과(文科) 급제자(及第者)를 배출(輩出)하였다.

 

예향은 창녕현(昌寧縣) 암촌(鼓岩村) 태생(胎生)으로 그녀가 자라서 혼기에 이르렀을 때 우연히 복중에 병이 생겨 화왕산 용지에 가서 목욕재계하고 기도를 올리니 신기하게 병이 완쾌되었고 몸에는 태기가 있었다. 어느날 밤 꿈에 한 남자가 나타나 "이 아이의 아버지는 용의 아들 옥결이다. 잘 기르면 자라서 경상이 될 것이며 자손만대 번영이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고 사라졌다. 그 후() 달이 차서 진평왕(眞平王) 48년에 아들이 태어나니 용모(容貌)가 준수(俊秀)하고 겨드랑이 밑에 조자가 붉게 씌여져 있었다. 이것을 본 학사(學士)는 이상히 여겨 이 사실(事實)을 왕()에게 알리자 왕도 신기하게 여기며 성은 조, 이름은 계룡 자는 인경(鱗卿)이라 특별히 하사하였다고 한다.

뒤에 부마를 삼음으로써 창성부원군에 봉해 지고 벼슬이 보국대장군 상주국대도독 총지휘제군사(輔國大將軍 上柱國大都督 總指揮諸軍事) 금자광록대부 태자태사(金紫光祿大夫 太子太師)에 이르렀다.

후손(後孫)들이 그를 시조(始祖)로 본관(本貫)을 창녕(昌寧) 으로 하고있다.

 

 

4. 창녕 조씨(昌寧 曺氏) 인물(人物)

 

고려시대(高麗時代)에 좌정승을 지낸 조익청(曺益淸)을 비롯하여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조민수(曺敏修), 조선시대(朝鮮時代)에 부제학을 지낸 조상치(曺尙治), 공조판서(工曹判書)를 지낸 조비형(曺備衡), 세종 때에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조석문(曺錫文), 예조참판의 조효문(曺孝門), 대사헌(大司憲)의 조숙기(曺淑沂) 등 많은 관직자들을 배출(輩出)하면서 번성(蕃盛)하였다.

성종 때의 성리학(性理學)의 대가(大家)로서 당시(當時) 사림간에 대학자(大學者)로 추앙되었고, 김종직(金宗直)과 더불어 신진사류의 지도자(指導者)였던 조위(曺偉)는 가문(家門)의 번영(繁榮)을 더하였다.

조신(曺伸)과 조한보(曺漢輔)는 시인(詩人)과 학자(學者)로서 명성(名聲)을 떨쳤고, 조계상(曺繼商) 1495년 증광문과에 병과(丙科)로 급제(及第)하고 대사헌(大司憲), 공조판서(工曹判書)를 지냈으며 조광원(曺光遠) 1528년 별시(別試)문과(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及第), 판중추부사(判中樞府事)를 역임(歷任)하였다.

 

조식(曺伸)은 어려서부터 학문(學文) 연구(硏究)에 열중(熱中)하여 당시(當時) 유학계의 대학자(大學者)로 추앙되었다. 그는 지리산에 은거하며 성리학(性理學)을 연구(硏究), 여러 대가(大家)의 서적(書籍)을 섭렵(涉獵)하여 독특(獨特)한 학문(學文)을 이룩했으며 조정(朝廷)에서 벼슬이 내려졌으나 모두 사퇴(辭退)하고 학문(學文)에만 정진하였다.

해방 후의 조만식(曺晩植. 1883~1950) 선생(先生)은 민족운동(民族運動)가로 너무나 잘 알려진 인물(人物)이다. 그는 인도의 독립운동(獨立運動)가 간디의 무저항주의와 민족주의를 자기사상과 민족운동의 거울로 삼아 연정회(硏政會), 신간회(新幹會), 민립대학기성회(民立大學期成會) 등을 조직하여 독립운동(獨立運動)을 전개시켰으며 조선물산장려회를 조직하기도 하였다.

 

 

5. 창녕 조씨(昌寧 曺氏) 중요(重要) 인물(人物)

 

조계상(曺繼商)

조계은(曺繼殷)

조광원(曺光遠)

조광익(曺光益)

조규승(曺逵承)

조극승(曺克承)

조긍섭(曺兢燮)

조기서(曺麒瑞)

조림(曺霖)

조만식(曺晩植)

조명교(曺命敎)

조명욱(曺明#)

조명채(曺命采)

조문수(曺文秀)

조민수(曺敏修)

조봉암(曺奉岩)

조봉진(曺鳳振)

조비형(曺備衡)

조사남(曺士男)

조상치(曺尙治)

조석문(曺錫文)

조석여(曺錫輿)

조석우(曺錫雨)

조석원(曺錫元)

조성환(曺成煥)

조세걸(曺世傑)

조수성(曺守誠)

조숙기(曺淑沂)

조시영(曺始永)

조식(曺植)

조우인(曺友仁)

조위(曺偉)

조윤대(曺允大)

조윤손(曺潤孫)

조윤형(曺允亨)

조익청(曺益淸)

조인승(曺寅承)

조인환(曺仁煥)

조재천(曺在千)

조전주(曺殿周)

조정융(曺挺融)

조좌호(曺佐鎬)

조치우(曺致虞)

조탁(曺倬)

조하망(曺夏望)

조한보(曺漢輔)

조한빈(曺漢賓)

조한영(曺漢英)

조행립(曺行立)

조현(曺顯)

조호익(曺好益)

조홍립(曺弘立)

조효문(曺孝門)

조효연(曺孝淵)

조효창(曺孝昌)

조희유(曺喜有)

 

역대(歷代) 중요(重要) 인물(人物).(시대, 관직).

 

조연우 : 고려, 평장사.

조용기 : 고려, 평장사.

조 저 : 고려, 시호 장양, 문하시중.

조익청 : 고려, 시호 양평, 좌정승.

조의생고 : , 태학사 두문동 72.

조한룡 : 고려, 시호 청간, 시중.

조민수 : 고려, 문하시중.

조희직 : 고려, 제학 두문동 72.

조 서 : 조선, 예조참판.

조문택 : 조선, 시호 충익, 이조판서.

조상치 : 조선, 시호 충정, 부제학.

조비형 : 조선, 시호 안무, 공조판서.

조석문 : 조선, 시호 충간, 영의정.

조효문 : 조선, 시호 성도 예조참판.

조숙기 : 조선, 대사헌.

조 위 : 조선, 시호 문장, 호조참판.

조계상 : 조선, 시호 충정, 판중추부사.

조광원 : 조선, 시호 충경, 판중추원사.

조 식 : 조선, 호 남영, 시호 문정, 학자.

조윤손 : 조선, 시호 장호 좌찬성.

조 탁 : 조선 호 이양당, 형조참판.

조한영 : 조선, 시호 문충, 관찰사.

조만식 : 근대 호 고당, 민족운동가.

 

 

6. 창녕 조씨(昌寧 曺氏) 계파(系派)

 

- 감사공파(監司公派)

- 상호군공파(上護軍公派)

- 사의공파(司議公派)

- 낭장공파(?將公派)

- 대사헌공파(大司憲公派)

- 대호군공파(大護軍公派)

- 문익공파(文翊公派)

- 문정공파(文貞公派)

- 문간공파(文簡公派)

- 밀직사공파(密直使公派)

- 병조참의공파(兵曹參議公派)

- 부사직공파(副司直公派)

- 사성공파(司成公派)

- 사정공파(司正公派)

- 사직공파(司直公派)

- 수찬공파(修撰公派)

- 시랑공파(侍郞公派)

- 시중공파(侍中公派)

- 양평공파(襄平公派)

- 장양공파(壯襄公派)

- 좌시중공파(左侍中公派)

- 중추공파(中樞公派)

- 지중추공파(知中樞公派)

- 진사공파(進士公派)

- 청구당공파(靑邱堂公派)

- 충간공파(忠簡公派)

- 충순위공파(忠順衛公派)

- 태복경공파(太僕卿公派)

- 부위공파(副尉公派)

- 태학사공파(太學士公派)

- 현감공파(縣監公派)

- 헌납공파(獻納公派)

- 창산군파(昌山君派)

- 시직공파(侍直公派)

- 승지공파(承旨公派)

- 지평공파(持平公派)

- 직장공파(直長公派)

- 희천공파(熙川公派)

- 참의공파(參議公派)

- 부제학공파(副提學公派)

- 부사공파(府使公派)

- 충정공파(忠貞公派) 등이 있다.

 

曺繼龍(조계룡) : 文懿公(문의공)

曺延祐(조연우) : 武烈公(무열공)

曺仲龍(조중용) : 文忠公(문충공)

曺大隆(조대륭) : 文靖公(문정공)

曺文澤(조문택) : 忠翊公(충익공)

曺益淸(조익청) : 襄平公(양평공)

曺尙治(조상치) : 忠貞公(충정공)

曺孝門(조효문) : 成度公(성도공)

曺 著(조 저) : 莊襄公(장양공)

曺漢龍(조한용) : 淸簡公(청간공)

曺仁輔(조인보) : 貞簡公(정간공)

曺潤孫(조윤손) : 莊胡公(장호공)

曺 偉(조 위) : 文莊公(문장공)

曺 植(조 식) : 文貞公(문정공)

曺 璒(조 등) : 武烈公(무열공)

曺義擧(조의거) : 文僖公(문희공)

曺寅承(조인승) : 忠憲公(충헌공)

曺秉徵(조병직) : 文靖公(문정공)

曺 欽(조 흠) : 忠純公(충순공)

曺之賢(조지현) : 忠敬公(충경공)

曺用奇(조용기) : 文忠公(문충공)

曺 直(조 직) : 恭貞公(공정공)

曺樞材(조추재) : 武肅公(무숙공)

曺信忠(조신충) : 夷簡公(이간공)

曺錫文(조석문) : 忠簡公(충간공)

曺備衡(조비형) : 安武公(안무공)

曺成漢(조성한) : 忠愍公(충민공)

曺 洽(조 흡) : 恭僖公(공희공)

曺繼商(조계상) : 忠貞公(충정공)

曺光遠(조광원) : 忠景公(충경공)

曺千齡(조천령) : 安汝公(안여공)

曺好益(조호익) : 文簡公(문간공)

曺夢禎(조몽정) : 孝安公(효안공)

曺漢英(조한영) : 文忠公(문충공)

曺錫雨(조석우) : 文靖公(문정공)

曺秉恒(조병항) : 文玄公(문현공)

 

 

7. 창녕 조씨(昌寧 曺氏) 집성촌(集姓村)

 

- 서울특별시 서초구 염곡동

- 서울특별시 중구 명동

- 대구광역시 중구

- 경상북도 김천시 금릉군 남면

- 경상북도 영천시 금호읍

- 경상북도 영천시 화북면 오산리

-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 전라남도 진도군 고군면 오산리

- 전라남도 화순군 북면과 동면

- 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분향리

-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 경상남도 창녕군 대합면 이방리

- 경상남도 의령군 화정면 상정리

- 경상남도 창녕군 고암면 원촌리

- 경상남도 창원시 가음동

- 충청남도 보령시 주포면 봉당리

 

 

8. 창녕 조씨(昌寧 曺氏) 항렬표(行列表)

 

삼송(三松) : 중시조(中始祖) () ()으로부터 15세손(世孫)인 휘() ()의 자제 송무(松茂), 송군(松君), 송학(松鶴) 3형제 분임.

22

23

24

25

26

27

28

29

30

항렬자

(行列字)

()

()

()

()

()

()

()

()

()

()

()

()

()

()

()

()

()

()

()

()

()

()

()

()

()

()

31

32

33

34

35

36

37

38

39

항렬자

(行列字)

()

()

()

()

()

()

()

()

()

()

()

()

()

()

()

()

()

()

()

()

()

()

()

()

()

()

()

 

9. 창녕 조씨(昌寧 曺氏) 대동(大同) 항렬표(行列表).

 

40 : (),

41 : (),

42 : ,,(,,)

43 : ,,(,,)

44 : ,,(,,)

45 : ,,(,,)

46 : ,,(,,)

47 : ,,(,,)

48 : ,,(,,)

49 : ,,(,,)

50 : ,,(,,)

51 : ,,(,,).

 

 

9-1. 창녕 조씨(昌寧 曺氏) 시중공파(侍中公派) 항렬표(行列表).

 

29 : ,,(,,),

30 : ,,(,,),

31 : ,,(,,),

32 : ,,(,,)

33 : ,,(,,),

34 : ,,(,,),

35 : ,,(,,),

36 : ,,(,,),

37 : ,,(,,),

38 : ,,(,,),

39 : ,,(,,),

40 : ,,(,,),

41 : ,,(,,),

42 : ,,(,,),

43 : ,,(,,),

44 : ,,(,,),

45 : ,,(,,),

46 : ,,(,,),

47 : ,,(,,),

48 : ,,(,,),

49 : ,,(,,).

 

 

10. 창녕 조씨(昌寧 曺氏) 역대 주요 인물

 

신라조(新羅朝)

 

조계룡(曺繼龍) 태사(太師),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

조수형(曺壽亨) 동각사인(東閣舍人)

조돈(曺敦) 복주밀금 도단련사(福州密金都團練使)

조흠(曺欽) 아간시중(阿干侍中)

 

고려조(高麗朝)

 

조겸(曺謙) 고려태조(高麗太祖)의 부마(駙馬) 대악서 승(大樂署丞)

조서(曺瑞) 형부 원외랑(刑部員外郞)

조연우(曺延祐)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조한지(曺漢知)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조지현(曺之賢)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조사전(曺思詮)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조정린(曺正麟)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조중룡(曺仲龍)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조의문(曺義文)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조자기(曺自奇)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

조용기(曺用奇) 이부시랑평장사(吏部侍郞平章事)

조직(曺直) 판도첨의부사(判都僉議府事)

조사단(曺思旦) 비서소감(秘書少監)

조대재(曺大才) 소감(少監)

조우(曺瑀) 동정(同正)

조송무(曺松茂) 소감(少監)

조송군(曺松君) 소감(少監)

조송학(曺松鶴) 소감(少監)

조준(曺俊) 소감(少監)

조인량(曺仁亮) (소감(少監)

조인취(曺仁取) 소감(少監)

조인탁(曺仁鐸) (소감(少監)

조대장(曺大莊) 소감(少監)

조원계(曺元桂) 찬성사(贊成事)

조우희(曺遇禧)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 시중(侍中)

조익순(曺益順) 삼중대광 상서(三重大匡尙書)

조광한(曺匡漢) 창성군(昌城君), 정당문학(政堂文學)

조추재(曺樞材) 상장군(上將軍)

조저(曺著) 도첨의정승(都僉議政丞)

조대운(曺大運) 문하시중(門下侍中))

조윤통(曺允通) 贊成事

조정통(曺精通) 철야군(鐵冶君) 시중(侍中)

조의생(曺義生) 태학사(太學士)

조유도(曺由道) 직제학(直提學)

조응룡(曺應龍) 판서

조한룡(曺韓龍) 시중

 

조희직(曺希直) 정언

조균정(曺均正) 중서랑(中書郞)

조언(曺彦) 밀직부사(密直副司)

조희정(曺希正) 소감(少監)

조흥(曺興) 태복경(太僕卿)

조원정(曺元正) 이부상서(吏部尙書)

조의충(曺義忠) 상호군(上護軍)

조민수(曺敏修) 창성부원군(昌城府院君) 문하시중(門下侍中)

조신충(曺信忠) 좌익병마사 판희천군사(左翼兵馬使判熙川郡事)

조경수(曺敬修) 좌찬성(左贊成)

조자일(曺子一) 대장군(大將軍)

 

조선조(朝鮮朝)

 

조서(曺庶) 문신(文臣). ()는 여중(汝衆), ()는 청간(淸簡). 문과 급제(文科及第). 예조 참판(禮曹參判).

조흡(曺恰) 무신. 호는 퇴사헌(退思軒), 서북도 순문사(西北道巡問使).

조문택(曺文澤) 문신. 이조 판서(吏曹判書) 시호(諡號)는 충익(忠翊)

조효문(曺孝門 ? 1462) 문신. 자는 행원(行源). 문과 급제. 예조 참판( 禮曹參判). 시호(諡號)는 성도(成度).

조항(曺沆) 문신. 전라도 관찰사(全羅道觀察使).

조상정(曺尙貞) 문신. 문경현감(聞慶縣監).

조상명(曺尙明) 문신. 덕원도호부사(德源都護府使).

조상겸(曺尙謙) 문신. 부사(府使).

조변융(曺變隆) 문신. 문과 급제. 세조(世祖)가 왕위를 찬탈(簒奪)하자 영천(永川)으로 퇴거(退居)하였다.

조변안(曺變安1413 1473) 문신. 자는 통지(通之). 문과 급제. 예조 참의(禮曹參議) 겸춘추관승문원사(兼春秋館承文院事). 저서: 홍무정운역훈(洪武正韻譯訓), 동국정운(東國正韻), 직해동자습훈세평화(直解童子習訓世評話).

조수문(曺秀文1426?) 학자. 자는 장보(章甫), 호는 죽림(竹林). 성균 생원(成均生員).

조변흥(曺變興) 문신 문과 급제. 예안현감(禮安縣監).

조숙기(曺淑沂14341509) 문신. 자는 문위(文偉). 문과 급제.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조석보(曺碩輔) 문신. 자는 사인(士仁). 문과 급제. 의정부 사인(議政府舍人) 겸춘추관 · 승문원사(兼春秋館承文院事).

조윤손(曺潤孫). 문신 자는 억지(億之). 무과 급제 좌찬성(左贊成). 시호(諡號)는 장호(莊胡).

조말손(曺末孫) 문신(文臣). 자는 찬보(纘甫). 문과 급제. 영암 군수(靈巖郡守)

조신(曺伸1455? ) 문신. 자는 숙분(叔奮). 호는 적암(適庵). 저서: 적암시고(適庵詩稿), 소문쇄록(謏聞瑣錄), 백년록(百年錄).

조언형(曺彦亨14691526) 문신. 자는 형지(亨之). 문과 급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조한보(曺漢輔) 학자. 호는 망기당(忘機堂). 고서(古書)를 널리 통독하여 학식(學識)이 풍부했으며, 선학(禪學)에도 조예(造詣)가 깊었다.

조효연(曺孝淵14861530) 문신. 자는 언박(彦博). 호는 위재(韋齋) 문과 급제 함안 군수(咸安郡守).

조명원(曺明遠) 문신. 내자시 부정(內資寺副正). 저서: 학포집(學浦集).

조윤신(曺允愼15111571) 학자. 자는 성중(誠仲), 호는 노재(魯齋). 좌참찬(左參贊)에 추증됨.

조경중(曺景中1533?) 문신. 자는 신민(信民), 호는 벽송재(碧松齋). 문과 급제. 기장 현감(機長縣監).

조숙(曺淑) 문신. 자는 선경(善卿), 호는 죽헌(竹軒). 문과 급제. 부사(府使).

조경온(曺景溫15481592)학자. 자는 여율(汝慄), 호는 임계(林溪). 임진왜란(壬辰倭亂)에 창의(倡義).

조대중(曺大中15491590) 문신(文臣) 자는 화우(和宇). ()는 정곡(鼎谷). 문과 급제. 동부승지(同副承旨).

조현(曺顯1555) 문신. 자는 희경(希慶), ()는 월헌(月軒). 문과 급제. 가리포 첨사(加里浦僉使). 병조 참의(兵曹參議)에 추증.

조탁연(曺卓然15551640) 자는 경성(景聖). 호는 낙와(樂窩). 참봉(參奉). 저서: 낙와유고(樂窩遺稿)

조기서(曺麒瑞15561591) 문신. 자는 인길(仁吉), 의금부도사(義禁府都事).

조홍립(曺弘立15581640) 문신 자는 극원(克遠). ()는 수죽헌(數竹軒). 문과 급제. 여주목사(驪州牧使).

조사남(曺士男15601592) 임진왜란(壬辰倭亂)에 창의(倡義).

조이천(曺以天15601638) 학자. 자는 순초(順初), 호는 봉곡(鳳谷). 저서: 봉곡집(鳳谷集).

조신천(曺信天) 학자.

조흥효(曺興孝1570?) 자는 경숙(敬叔). 저서: 취성집(醉醒集).

조명욱(曺明15721637) 문신. 자는 여우(汝偶), ()는 율촌(栗村). 문과 급제. 이천 부사(利川府使). 좌의정(左議政)에 추증(追贈).

조신준(曺臣俊1573?) 문신. 자는 공저(公著). 호는 영내(寧耐) · 무민옹(無悶翁). 문과 급제. 장연 부사(長淵府使).

조언호(曺彦浩15741597) 무신. 자는 의이(義而), 자호(自號)는 한송(寒松). 무과 급제. 선천군수. 병조 판서(兵曹判書)에 추증.

조전주(曺殿周15801635) 문신. 자는 만취(萬聚). 담양 부사(潭陽府使).

조면주(曺冕周) 학자. 자는 문백(文伯), 호는 송암(松菴). 저서: 송암집(松菴集).

조호문(曺虎文15801645) 자는 병여(炳如). 호는 극재(克齋). 성균관 학유(成均館學諭). 저서: 극재집(克齋集).

조행립(曺行立15801693) 문신. 자는 백원(百源), 호는 태호(兌湖). 병자호란(丙子胡亂)에 창의(倡義).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 저서: 태호집(兌湖集).

조한빈(曺漢賓15831640) 문신. 호는 계음(溪陰). 저서: 계음집(溪陰集).

조정생(曺挺生1589?) 문신. 자는 이령(以寧). 예조 좌랑(禮曹佐郞).

조문수(曺文秀15901647) 문신. 자는 자실(子實) ()는 설정(雪汀). 문과 급제. 호조 판서(戶曹判書). 하령군(夏寧君)에 봉()해짐. 저서: 설정시집(雪汀詩集).

조정융(曺挺融1598?) 문신. 자는 유첨(維瞻). ()는 호옹(湖翁). 성균관 사예(成均館司藝).

조엽(曺熀16001665) 학자. 자는 호는 구봉(九峯). 선공감 감역(繕工監監役).

조여충(曺汝忠16131678) 학자. 자는 여충(汝忠). 호는 경당(敬堂). 저서: 경당집(敬堂集).

조효창(曺孝昌16231680) 문신. 자는 행원(行源), ()는 계양청은(桂陽淸隱), 문과 급제.

조세걸(曺世傑1635?) 조선 중기의 화가(畵家).

조흔(曺訢) 자는 덕전(德全). 사마시(司馬試)에 장원.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창의(倡義), 진주성(晋州城) 전투에서 장렬히 순국(殉國).

조준남(曺俊南) 문신. 자는 이정(而挺), 호는 둔암(遁巖). 천문학 교수(天文學敎授).

조정량(曺廷亮16521693) 무신. 자는 동보(同甫), 무과 급제. 황해도 병마절도사(黃海道兵馬節度使).

조우(曺遇16531712) 학자. 자는 시회(時會), 호는 구봉(九峰).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조하언(曺夏彦16571699) 문신. 자는 미백(美伯). 호는 우의당(愚意堂). 진사(進士). 이조참판(吏曹參判)에 추증. 저서: 우의당유고(愚意堂遺稿).

조하중(曺夏重1659?)자는 공래(公來), 호는 고산당(孤山堂). 저서: 고산당유고(孤山堂遺稿).

조하기(曺夏奇16601738) 자는 위숙(偉叔), 호는 경안와(敬顔窩). 장례원 판결사(掌隷院判決事).

조유(曺逾) 학자. 자는 자고(子高), 호는 우졸당(愚拙堂). 학행(學行)으로 이조 판서(吏曹判書)에 추증.

조선장(曺善長16611726) 학자, 자는 인백(仁伯), 호는 병애(屛厓). 저서: 병애집(屛厓集), 경례차록(經禮箚錄).

조세호(曺世虎) 문신, 자는 병여(炳汝), 호는 체화당(棣華堂) · 봉촌(鳳村).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조석기(曺錫基16671724) 학자. 자는 덕보(德甫), 호는 모계(募溪). 저서: 모계집(募溪集).

조세룡(曺世龍) 문신. 자는 태여(泰汝), 호는 인재(). 학행(學行)으로 지평(持平)에 추증. 저서: 인재집(齋集).

조세봉(曺世鳳) 문신. 자는 명보(鳴甫), 호는 삼석재(三惜齋). 형제간의 우애(友愛)가 돈독하였다. 저서: 삼석재집(三惜齋集).

조하위(曺夏瑋16781752) 학자. 자는 군옥(君玉), 호는 소암(笑庵). 진사(進士). 저서: 소암집(笑庵集).

조세붕(曺世鵬) 문신. 자는 운거(雲擧), 호는 경지재(敬知齋).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하고 참봉(參奉) 역임. 저서: 경지재집(敬止齋集).

조익한(曺翼漢16801741)학자. 자는 자상(子相). 호는 묵암(). 생원(生員). 저서: 묵암집(庵集).

조하망(曺夏望16821747)문신. 강능부사(江陵府使). 자는 아중(雅仲). ()는 서주(西州). 문과 급제. 저서: 서주집(西州集).

조하종(曺夏鍾16851741) 자는 명중(鳴仲), 호는 치수(恥叟). 금산 군수(金山郡守). 저서: 치수유고(恥叟遺稿).

조명교(曺命敎16871753) 문신. 자는 이보(彛甫), ()는 담운(澹雲). 문과 급제. 이조 참판(吏曹參判). 저서: 담운유고(澹雲遺稿).

조광국(曺光國16911758) 학자. 자는 사일(士一), 호는 감로재(感露齋). 선공감 가감역(繕工監假監役). 저서: 감로재집(感露齋集).

조용한(曺龍翰16941741) 학자. 자는 운로(雲路), 호는 자계(慈溪). 저서: 자계집(慈溪集).

조선적(曺善迪 16971756) 학자. 자는 중길(仲吉), ()는 치재(). 저서: 치재집(齋集).

조붕구(曺鵬九17001735) 학자, 자는 능만(能萬), 호는 옥여재(玉余齋). 저서: 경서질의(經書質疑), 문학요통(問學要通). 홍범질의(洪範質疑), 서의삼해(書義三解), 역의집설(易義集說).역학지요(易學指要). 역언질의(易諺質疑).

조명채(曺命采17001764) 문신. 이조참판(吏曹參判). 자는 주경(疇卿). 호는 난곡(蘭谷). 문과 급제. 대사헌(大司憲). 저서: 난곡시집(蘭谷詩集).

조윤성(曺允成17031805) 무신. 자는 여현(汝賢).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조명집(曺命集17051771) 자는 사성(士成), 호는 매산(梅山). 교위(校尉). 저서: 매산유고(梅山遺稿).

조용석(曺龍錫17051774) 학자. 자는 천응(天應), 호는 북계(北溪). 저서: 북계집(北溪集).

조윤적(曺允迪1707 1772) 문신. 자는 혜중(惠仲). 산청 현감(山淸縣監).

조서구(曺舒九17101772) 학자. 초명(初名)은 세린(世麟). 자는 이견(彛見), 호는 손재(巽齋). 저서: 손재유집(巽齋遺集), 구중록(求中錄).

조림(曺霖17111790) 학자. 자는 상보(商輔). ()는 신재(新齋). 세자 시강원 자의(世子侍講院諮議) 저서: 신재집(新齋集), 의례집성(疑禮集成).

조채신(曺采臣17171797) 학자. 자는 양보(亮甫). 호는 일암(一庵) · 부지옹(不知翁). 저서: 일암집(一庵集).

조덕신(曺德臣17221792) 학자. 자는 직부(直夫). 호는 돈암(遯菴). 저서: 돈암집(遯菴集).

조윤형(曺允亨17251799) 문신. 자는 치행(穉行). ()는 송하옹(松下翁). 지돈녕부사(知敦寧府事).

조윤필(曺允弼17301780) 문신. 자는 자량(子良). 현풍 현감(玄風縣監).

조학신(曺學臣17321800) 무신. 자는 심부(心夫).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조문식(曺文栻17341789) 문신. 자는 경지(敬之), 호는 파간(巴磵). 호조 참판(戶曹參判)에 추증. 저서: 파간집(巴磵集)

조원진(曺遠振) 문신. 자는 구여(久汝). 문과 급제. 대사간(大司諫).

조회진(曺晦振17381799) 문신. 자는 중엽(仲燁).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조희유(曺喜有17421814) 문신. 자는 광보(光甫), ()는 경은(耕隱). 문과 급제. 서산 군수(瑞山郡守). 저서: 경은집(耕隱集).

조하룡(曺夏龍1747-1819)문신. 자는 극보(極甫),() 용약제(龍若齊)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저서:용약제(龍若齊)문집(文集).시집(詩集)

조윤대(曺允大17481813) 문신. 자는 사원(士元). ()는 동포(東浦). 문과 급제 . 도승지(都承旨)로 임명되어 조성 획수(曺姓劃數)에 대한 정조(正祖)의 감일획의 명을 받아 반사(頒賜)하는 역할을 하였음. 판돈녕부사(判敦寧府使).

조윤수(曺允遂17531818) 문신. 자는 계취(季就). 문과 급제. 참판(參判).

조광진(曺匡振17721840) 명필(名筆). 자는 정보(正甫). ()는 눌인(訥人). 저서: 눌인서첩(訥人書帖).

조석정(曺錫正17741821) 문신. 자는 계중(季中). 문과 급제. 사간원 대사간(司諫院大司諫).

조용진(曺龍振17861826) 문신. 자는 운경(雲卿). 문과 급제. 시강원 사서(侍講院司書).

조극승(曺克承18031877) 문신. 자는 성도(聖度). 호는 귀애(龜厓). 문과 급제. 사간원 정언(司諫院正言). 저서: 귀애집(龜厓集).

조석우(曺錫雨1810?) 문신. 자는 치용(穉用). ()는 연암(烟庵). 문과 급제. 이조 참판. 시호(諡號)는 문정(文靖).

조석원(曺錫元1817?) 문신. 자는 현로(玄老). ()는 소운(紹雲). 문과 급제. 도승지(都承旨).

조원규(曺元奎) 학자. 자는 선오(善五), 호는 칠송(七松). 문학(文學) · 명필(名筆)로 유명.

조진구(曺鎭九) 학자. 자는 희서(羲瑞), 호는 봉릉(鳳陵). 사마시(司馬試) 합격. 참봉(參奉).

조진억(曺鎭億) 문신. 자는 봉서(鳳瑞), 호는 난포(蘭圃). 사마시(司馬試) 합격. 온양 군수(溫陽郡守)를 거쳐 동지돈령부사(同知敦寧府事).

조진만(曺鎭萬) 문신. 자는 창서(昌瑞), 호는 봉고(鳳皐). 사마시(司馬試) 합격. 참봉(參奉)을 거쳐 규장각 제학(奎章閣提學).

조진백(曺鎭百) 문신. 자는 공서(公瑞), 호는 하석(霞石). 사마시(司馬試) 합격. 공조(工曹) · 형조(刑曹) · 병조(兵曹)의 정랑(正郞).

조문환(曺文煥18281906) 학자. 자는 주백, 호는 죽남(竹南). 저서: 죽남집(竹南集).

조규승(曺逵承18271908) 문신(文臣) 자는. 경휘(景輝). 호는 성재(省齋). 문과 급제. 사헌부 지평(司憲府持平). 저서: 성재유고(省齋遺稿).

조인승(曺寅承18421896) 문신. 자는 경빈(景賓). ()는 동곡(東谷). 문과 급제. 춘천부관찰사. 시호(諡號)는 충헌(忠憲).

조현수(曺賢洙18421913) 학자. 자는 치일(治一), 호는 기산(奇山). 저서: 기산집(奇山集)

조시영(曺始永18431912) 문신. 자는 치극(致克). ()는 후계(後溪). 문과 급제. 저서: 후계집(後溪集).

조병소(曺秉韶18461921) 학자. 자는 학부(學夫), 호는 창래(蒼來). 사마시(司馬試) 합격. 저서: 창래집(蒼來集).

조병문(曺秉文18511916) 학자. 자는 경백(景伯), 호는 퇴암(退庵). 참봉(參奉). 저서: 퇴암집(退庵集).

조세환(曺世煥18541941) 학자. 자는 국견(國見), 호는 시남(市南) · 청의자(靑衣子). 사마시(司馬試) 합격. 저서: 시남집(市南集).

조석환(曺奭煥18741923) 학자. 자는 명욱(), 호는 금고(錦皐). 진사(進士).

조경환(曺京煥)18761909) 일명(一名) 준환(準煥). 호는 대천(大川). 한말의 의병장(義兵將).

 

 

[등과록(登科錄)]

 

고려조(高麗朝)

 

문과(文科)

진사(進士) 조서(曺庶) 공민왕(恭愍王) 20(1371), 조상주(曺尙周) 공양왕(恭讓王) 1(1389)

학생(學生) 조유인(曺由仁) 공양왕(恭讓王) 1(1389)

 

조선조(朝鮮朝)

 

문과(文科)

조유인(曺由仁) 태조(太祖) 5(1396) 식년시(式年試),

조중림(曺仲林) 태조(太祖) 5(1396) 식년시(式年試),

조회(曺繪) 정종(定宗) 1(1399) 식년시(式年試),

조상(曺尙) 태종(太宗) 1(1402) 식년시(式年試),

조숭덕(曺崇德) 태종(太宗) 5(1404)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조상치(曺尙治) 세종(世宗) 1(1419) 식년시(式年試),

조윤성(曺允誠) 세종(世宗) 1(1419)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휘(曺彙) 세종(世宗) 9(1427) 친시(親試)

문소전직(文昭殿直) 조석문(曺錫文) 세종(世宗) 16(1434) 알성시(謁聖試)

생원(生員) 조변안(曺變安) 세종(世宗) 17(1435) 식년시(式年試),

조변흥(曺變興) 세종(世宗) 17(1435)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조효문(曺孝門) 세종(世宗) 26(1444)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조변융(曺變隆) 세종(世宗) 26(1444) 식년시(式年試)

승문정자(承文正字) 조변융(曺變隆) 세종(世宗) 26(1444) 중시(重試)

진사(進士) 조호지(曺好智) 단종(端宗) 2(1454) 증광시(增廣試)

부위(副尉) 조극치(曺克治) 단종(端宗) 2(1454)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조연하(曺兗河) 세조(世祖) 5(1459) 식년시(式年試),

조상겸(曺尙謙) 세조(世祖) 6(1460) 별시(別試)

선전(宣傳) 조간(曺幹) 세조(世祖) 10(1464) 온양별시(溫陽別試)

선교(宣敎) 조석보(曺碩輔) 예종(睿宗) 1(1469) 식년시(式年試),

조말손(曺末孫) 성종(成宗) 3(1472) 별시(別試)

생원(生員) 조위(曺偉) 성종(成宗) 5(1474) 식년식(式年試)

생원(生員) 조숙기(曺淑沂) 성종(成宗) 5(1474)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조호(曺浩) 성종(成宗) 20(1489)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조세당(曺世唐) 成宗) 23(1492)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조치우(曺致虞) 성종(成宗) 25(1494) 별시(別試)

진사(進士) 조계상(曺繼商) 연산(燕山) 1(1495) 증광시(增廣試)

성박(成博) 조세당(曺世唐) 연산(燕山) 3(1497) 중시(重試)

진사(進士) 조계형(曺繼衡) 연산(燕山) 7(1501)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조언형(曺彦亨) 연산(燕山) 7(1501) 식년식(式年試)

생원(生員) 조상현(曺尙賢) 중종(中宗) 2(1507)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조윤문(曺允文) 중종(中宗) 5(1510)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조한필(曺漢弼) 중종(中宗 5(1510) 식년시(式年試)

군수(郡守) 조계은(曺繼殷) 중종(中宗) 6(1511) 별시(別試), 조언경(曺彦卿) 중종(中宗) 10(1515) 별시(別試), 조희(曺禧) 중종(中宗) 12(1517) 별시(別試)

생원(生員) 조효연(曺孝淵) 중종(中宗) 14(1519) 식년시(式年試), 조상(曺祥) 중종(中宗) 17(1522) 별시(別試)

부솔(副率) 조광원(曺光遠) 중종(中宗) 23(1528) 별시(別試)

생원(生員) 조숙(曺淑) 중종(中宗) 35(1540)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조언박(曺彦博) 중종(中宗) 35(1540)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천령(曺千齡) 명종(明宗) 15(1560) 별시(別試)

생원(生員) 조광익(曺光益) 명종(明宗) 19(1564) 별시(別試), 조경중(曺景中) 선조(宣祖) 즉위년(1567) 식년시(式年試)

감찰(監察) 조광익(曺光益) 선조(宣祖) 즉위년(1567) 중시(重試)

진사(進士) 조대중(曺大中) (선조(宣祖) 15(1582)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조홍립(曺弘立) 선조(宣祖) 21(1588) 식년시(式年試)

부솔(副率) 조탁(曺倬) 선조(宣祖) 32(1599) 별시(別試)

참봉(參奉) 조우인(曺友仁) 선조(宣祖) 38(1605) 정시(庭試)

별제(別提) 조명욱(曺明) 선조(宣祖) 38(1605) 별시(別試)

생원(生員) 조신준(曺臣俊) 선조(宣祖) 39(1606) 증광시(增廣試), 조수홍(曺守弘) 선조(宣祖) 38(1606) 식년시(式年試), 조응서(曺應瑞) 광해(光海) 1(1609)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조정립(曺挺立) 광해(光海) 1(1609) 증광시(增廣試)

유학(幼學) 조길(曺佶) 광해(光海) 2(1610) 별시(別試)

유학(幼學) 조정생(曺挺生) 광해(光海) 5(1613) 증광시(增廣試)

참봉(參奉) 조삼성(曺三省) 광해(光海) 7(1615) 식년시(式年試)

사평(司評) 조척(曺倜) 인조(仁祖) 1(1623) 개시(改試)

현감(縣監) 조문수(曺文秀) 인조(仁祖) 2(1624) 정시(庭試)

진사(進士) 조희인(曺希仁) 인조(仁祖) 5(1627) 식년시(式年試), 조수(曺璲) 인조(仁祖) 6(1628) 별시(別試)

유학(幼學) 조시일(曺時逸) 인조(仁祖) 7(1629) 정시(庭試)

종사(從仕) 조정융(曺挺融) 인조(仁祖) 9(1631) 별시(別試)

생원(生員) 조시량(曺時亮) 인조(仁祖) 13(1635)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조한영(曺漢英) 인조(仁祖) 15(1637) 정시(庭試)

유학(幼學) 조정() 인조(仁祖) 26(1648) 식년시(式年試)

장사(將仕) 조치중(曺致中) 효종(孝宗) 2(1651)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정우(曺挺宇) 효종(孝宗) 2(1651)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조헌경(曺憲卿) 현종(顯宗) 1(1660) 식년시(式年試), 조하경(曺夏卿) 현종(顯宗) 14(1673) 식년시(式年試)

유학(儒學) 조정선(曺廷善) 현종顯宗) 14(1673)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조효창(曺孝昌) 숙종(肅宗) 4(1678) 정시(庭試)

충의(忠義) 조징한(曺徵漢) 숙종(肅宗) 7(1681)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무훈(曺武勛) 숙종(肅宗) 8(1682) 춘당대(春塘台)

참봉(參奉) 조석(曺錫) 숙종(肅宗) 8(1682) 증광시(增廣試)

생원(生員) 조복경(曺復卿) 숙종(肅宗) 13(1687) 식년시(式年試), 조하영(曺夏榮) 숙종(肅宗) 16(1690)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선휘(曺善徽) 숙종(肅宗) 19(1693) 식년시(式年試), 조명교(曺命敎) 숙종(肅宗) 45(1719) 증광시(增廣試), 조윤주(曺潤周) 영조(英祖) 5(1729) 식년시(式年試)

통덕(通德) 조명경(曺命敬) 영조(英祖) 6(1730) 정시(庭試)

통덕(通德) 조윤제(曺允濟) 영조(英祖) 8(1732) 정시(庭試)

군수(郡守) 조하망(曺夏望) 영조(英祖) 12(1736) 정시(庭試)

통덕(通德) 조명채(曺命采) 영조(英祖) 12(1736) 정시(庭試), 조명윤(曺命胤) 영조(英祖) 17(1741) 식년시(式年試), 조경수(曺敬脩) 영조(英祖) 20(1744) 식년시(式年試), 조명업(曺命業) 영조(英祖) 41(1765) 식년시(式年試), 조희유(曺喜有) 영조(英祖) 47(1771) 식년시(式年試), 조원진(曺遠振) 영조(英祖) 48(1772) 정시(庭試), 조문권(曺文權) 영조(英祖) 50(1774)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윤대(曺允大) 정조(正祖) 3(1779) 광주정시(廣州庭試), 조형수(曺亨壽) 정조(正祖) 4(1780)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윤수(曺允遂) 정조(正祖) 9(1785) 알성시(謁聖試)

진사(進士) 조석중(曺錫中) 정조(正祖) 18(1794) 정시(庭試)

진사(進士) 조석정(曺錫正) 정조(正祖) 22(1798) 정시(庭試), 조석곤(曺錫鯤) 순조(純祖) 1(1801) 정시(庭試)

진사(進士) 조봉진(曺鳳振) 순조(純祖) 5(1805) 증광시(增廣試)

부사과(副司果) 조석정(曺錫正) 순조(純祖) 16(1816) 중시(重試), 조상진(曺相振) 순조(純祖) 22() 식년시(式年試)

부사과(副司果) 조용진(曺龍振) 순조(純祖) 23(1823) 정시(庭試), 조운승(曺雲承) 순조(純祖) 29(1829) 정시(庭試), 조극성(曺克承) 순조(純祖) 31(1831)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석형(曺錫亨) 순조(純祖) 34(1834) 식년시(式年試), 조석우(曺錫雨) 헌종(憲宗) 1(1836) 별시(別試), 조형승(曺瑩承) 헌종(憲宗) 9(1843) 식년시(式年試)

참봉(參奉) 조석여(曺錫輿) 헌종(憲宗) 14(1848) 증광시(增廣試)

진사(進士) 조석원(曺錫元) 철종(哲宗) 1(1850) 증광시(增廣試), 조석만(曺錫萬) 철종(哲宗) 2(1851) 정시(庭試), 조경승(曺璟承) 철종(哲宗) 3(1852) 식년시(式年試)

진사(進士) 조은승(曺殷承) 철종(哲宗) 7(1856) 별시(別試), 조승탁(曺承鐸) 철종(哲宗) 13(1862) 정시(庭試)

유학(幼學) 조규승(曺逵承) 고종(高宗) 4(1867)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인승(曺寅承) 고종(高宗) 9(1872) 식년시(式年試)

생원(生員) 조병선(曺秉先) 고종(高宗 ) 14(1877) 정시(庭試)

진사(進士) 조시영(曺始永) 고종(高宗) 19(1882) 정시(庭試)

진사(進士) 조만승(曺萬承) 고종(高宗) 22(1885) 증광시(增廣試)

유학(幼學) 조기영(曺基榮) 고종(高宗) 25(1888)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병용(曺秉庸) 고종(高宗) 27(1890) 별시(別試)

좌랑(佐郞) 조강환(曺康煥) 고종(高宗) 28(1891) 식년시(式年試)

유학(幼學) 조대환(曺大煥) 고종(高宗) 29(1892) 별시(別試)

 

무과(武科)

조구서(曺九敍) 영흥판관(永興判官) 의정부 좌찬성(議政府左贊成) 창성군(昌城君)에 추증.

조윤손(曺潤孫) 좌찬성(左贊成)

조현(曺顯) 가리포 첨절제사(加里浦僉節制使)

조응량(曺應亮) 임진왜란(壬辰倭亂)에 무공(武功)을 세우고 순국(殉國). 선무(宣武) · 진무(振武) 원종공신(原從功臣)에 책록(策錄)

조정량(曺廷亮) 황해도 병마절도사(黃海道兵馬節度使)

조윤성(曺允成) 평안도 병마절도사(平安道兵馬節度使)

조학신(曺學臣) 별병사(別兵使)

조당(曺讜) 첨정(僉正)

조계주(曺繼周) 현감(縣監)

조정화(曺挺華) 선전(宣傳)

조정리(曺挺履) 선전(宣傳)

조병식(曺秉植) 군수(郡守)

조학신(曺學臣)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조희승((曺喜承) 도정(都正)

조병진(曺秉鎭) 호군(護軍)

 

 

[벌열(閥閱)]

 

공신(功臣)

: 조익청(曺益淸) 충숙왕 순성직절동덕찬화(純誠直節同德贊化) 일등공신(一等功臣)

조민수(曺敏修) 공민왕 10년 홍건적(紅巾賊)의 침입을 물리치고 2등공신(二等功臣)에 충근 보리공신(忠勤輔理功臣)에 녹훈(錄勳) 창왕(昌王)을 옹립(擁立)한 공으로 충근 양절선위동덕안사공신(忠勤亮節宣威同德安社功臣)

조이(曺怡) 태종왕 좌익공신(佐翼功臣)

조항(曺沆) 세종왕 순충적덕보조공신(純忠積德補助功臣)

조변안(曺變安) 세종왕 원종일등공신(原從一等功臣)에 녹훈(錄勳) 훈민정음(訓民正音) 제정에 참여(參與).

조효문(曺孝門) (세조조.세조즉위3등공신(世祖卽位三等功臣))

조석문(曺錫文) 세조조 . 세조즉위 3등공신(世祖卽位三等功臣) 이시애난토벌1등공신(李施愛亂討伐一等功臣). 예종조 . 정난익대3등공신(定難翊戴三等功臣). 성종조 . 성종즉위1등공신(成宗卽位一等功臣)

조계상(曺繼商) 중종조 . 중종반정2등공신(中宗反正 二等功臣)

조계은(曺繼殷) 중종조 . 중종반정4등공신(中宗反正四等功臣)

조계형(曺繼衡) 연산조 . 정국공신(靖國功臣)에 녹훈(錄勳)

조응량(曺應亮) 선조왕 임란(壬亂) 때의 무공(武功)으로 선무공신(宣武功臣)에 녹().

조탁(曺倬) 선조왕 임란(壬亂) 때 정난선무 3등공신(靖亂宣武三等功臣)에 선무청난원 종1등공신(宣務淸難原從一等功臣)

 

 

11. 창녕 조씨(昌寧 曺氏) 인구수(人口數)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2000년 현재 338,222.

 

 

끝으로 님의 건강과 행복이 충만 하시기를 빌겠습니다.

2019.02.26.

  • 채택

    질문자가 채택한 답변입니다.

이 답변의 추가 Q&A
질문자와 답변자가 추가로 묻고 답하며 지식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었다면 UP 눌러주세요!
UP이 많은 답변일수록 사용자들에게 더 많이 노출됩니다.